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이버교육에서 실재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effect of ‘presence’ in Cyb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94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온라인 대규모 강좌의 실재감과 상호작용의 정도를 규명할 목적으로 사이버대학의 교육요소와 강의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강좌에서 실재감의 중요성을 유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온라인 강좌의 개발과정에서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실재감 중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온라인 강좌 개발 시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LMS 기능 활용 관련 요인이 강의 콘텐츠 관련 요인에 못지않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한 강의 콘텐츠 개발에 대한 강조 뿐 아니라 교수자의 강의실 운영에 대한 관심도 제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강의 흥미로움과 학생 수준 고려 요인의 영향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강좌 개발 시에 강의 수강 학생의 수준과 니즈를 충분히 고려하여 흥미로운 주제와 내용을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온라인 대규모 강좌의 실재감과 상호작용의 정도를 규명할 목적으로 사이버대학의 교육요소와 강의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

      본 연구는 온라인 대규모 강좌의 실재감과 상호작용의 정도를 규명할 목적으로 사이버대학의 교육요소와 강의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강좌에서 실재감의 중요성을 유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온라인 강좌의 개발과정에서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실재감 중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온라인 강좌 개발 시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LMS 기능 활용 관련 요인이 강의 콘텐츠 관련 요인에 못지않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한 강의 콘텐츠 개발에 대한 강조 뿐 아니라 교수자의 강의실 운영에 대한 관심도 제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강의 흥미로움과 학생 수준 고려 요인의 영향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강좌 개발 시에 강의 수강 학생의 수준과 니즈를 충분히 고려하여 흥미로운 주제와 내용을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factors of Cyber Education and the level of lecture satisfaction, in an attempt to define ‘presence’ of the large size lecture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level of interac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presence’ in on-line lectures was ascertained as being substantial. Second,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were found to be exceedingly consequential. Third, the factor regarding the usage of LMS function, among the factors affecting ‘presence’, proved itself to be as influential as one concerning the lecture contents. Lastly, it was found that amongst the various factors making impact upon ‘presence’, the appeal of the lecture and consideration for the student level are extremely crucial elements.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factors of Cyber Education and the level of lecture satisfaction, in an attempt to define ‘presence’ of the large size lecture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level of interaction. ...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factors of Cyber Education and the level of lecture satisfaction, in an attempt to define ‘presence’ of the large size lecture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level of interac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presence’ in on-line lectures was ascertained as being substantial. Second,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were found to be exceedingly consequential. Third, the factor regarding the usage of LMS function, among the factors affecting ‘presence’, proved itself to be as influential as one concerning the lecture contents. Lastly, it was found that amongst the various factors making impact upon ‘presence’, the appeal of the lecture and consideration for the student level are extremely crucial ele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Ⅱ. 기존연구 검토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결과
      • 요약
      • I. 서론
      • Ⅱ. 기존연구 검토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