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치매유발물질인 염화알루미늄으로 손상된 C<sub>6</sub> 신경교종 세포주에서의 항산화 효과 = Antioxidative Effect of Aster yomena (Kitm.) Extract on C<sub>6</sub> Glioma Cell Line Damaged by AlCl<sub>3</sub>, Dementia Induc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3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치매유발물질의 하나인 염화알루미늄(AlCl<sub>3</sub>)의 신경독성을 C<sub>6</sub> glioma세포를 배양하여 조사하였으며, AlCl<sub>3</sub>의 독성에 대한 쑥부쟁이[...

      본 연구는 치매유발물질의 하나인 염화알루미늄(AlCl<sub>3</sub>)의 신경독성을 C<sub>6</sub> glioma세포를 배양하여 조사하였으며, AlCl<sub>3</sub>의 독성에 대한 쑥부쟁이[Aster yomena (Kim.), AY]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항산화능 분석인 XO 저해능과 SAR-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lCl<sub>3</sub>는 배양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적으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 과정에서 XTT<sub>50</sub>값이 130.0 μM로 나타나 Borenfreund와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의하여 중간독성(mid-cytotoxic)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제인 QU는 AlCl<sub>3</sub>의 독성으로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AlCl<sub>3</sub>의 독성에 대한 AY 추출물의 방어효과에 있어서, AY 추출물은 AlCl<sub>3</sub>만의 처리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와 동시에 XO 저해능과 SAR-소거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Cl<sub>3</sub>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AY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AlCl<sub>3</sub>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AY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은 질환유발제인 AlCl<sub>3</sub>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이 있는 중금속화합물의 독성 완화나 질환의 치료적 개선을 위한 대체물질개발에 있어 유용한 소재인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neuronal cytotoxicity of aluminum chloride (AlCl<sub>3</sub>), a dementia inducer, and the protective effects of Aster yomena (Kitam.)(AY) extract on AlCl<sub>3</sub>-induced cytotoxicity in cultured C&l...

      This study examined the neuronal cytotoxicity of aluminum chloride (AlCl<sub>3</sub>), a dementia inducer, and the protective effects of Aster yomena (Kitam.)(AY) extract on AlCl<sub>3</sub>-induced cytotoxicity in cultured C<sub>6</sub> glioma cells. The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the inhibitory ability of xanthine oxidase (XO) and superoxide anion-radical (SAR) scavenging ability, on cell viability were examined. AlCl<sub>3</sub>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XTT<sub>50</sub> value was 130.0 μM in these cultures. The cytotoxicity of AlCl<sub>3</sub> was determined to be mid-toxic according to the Borenfreund and Puerner’ toxic criteria. Quercetin (QU), an antioxidant,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reduced by AlCl<sub>3</sub>-induced cytotoxicity.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AY extract on AlCl<sub>3</sub>-induced cytotoxicity was analyzed. The AY extract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remarkably compared to the AlCl<sub>3</sub>-treated group and showed the inhibitory ability of XO and SAR-scavenging ability. The cytotoxicity of AlCl<sub>3</sub> was cor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and the AY extract effectively prevented AlCl<sub>3</sub>-induced cytotoxicity through its antioxidative effects. In conclusion, natural resources, such as the AY extract, may be a putative agent for improving the cytotoxicity of heavy metallic compounds cor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such as AlCl<sub>3</sub>, a morbid agent.
      Copyright Ⓒ 2020 The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ll rights reserv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