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원격개방대학 국제비교연구  :  인도네시아 개방대학 현황조사 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26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도네시아 개방대학(Universitas Terbuka: UT)의 현황을 조사한 보고서이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시행된「원격개방대학 국제비교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보고서는 UT 관련 자료에 대한 분...

      인도네시아 개방대학(Universitas Terbuka: UT)의 현황을 조사한 보고서이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시행된「원격개방대학 국제비교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보고서는 UT 관련 자료에 대한 분석과 UT 현지 방문 동안 진행된 교직원과의 인터뷰를 기초로 작성되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인도네시아의 역사 및 원격교육 발전 과정 2) UT의 설립 과정 및 목적 3) UT의 조직 및 현황 3) 교육과정 체제 4) 교수-학습 방식 및 학습자 지원 체제. 본문에서는 각 영역의 핵심 사항을 분석하였다.
      인도네시아는 340년에 걸친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를 청산하고 1945년 독립하였으며 1950년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18,000여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도서국가가 갖는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재정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일찍부터 원격교육에 관심을 기울였다. 통신교육을 통한 교원 양성 과정에서 시작한 인도네시아의 원격교육은 교사교육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 지리적, 사회적 이유로 정규 학교 교육을 받을 없는 학령기 아동 또는 성인을 위한 초중등 교육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UT는 당시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인도네시아 내 일반 대학의 수용 범위를 넘게 배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일반 대학에 진학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도 고등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4년 대통령령으로 설립된 국립 대학인 UT는 재학생 수가 578,698명(2011년 11월 30일 기준)에 이르는 메가 유니버시티이다. UT에는 4개의 학부(경제학부, 사회.정치학부, 수리.자연과학학부, 교사양성.교육학부)가 있다. 이를 통해 34개의 학위 및 비학위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으며, 1000여개 이상의 코스가 원격교육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학부 별 학생수를 비교하면 4개 학부 가운데 교사양성.교육 학부 소속 학생이 전체의 약 80%로 가장 많다. 또한 석사 과정은 경영관리, 행정학, 수산관리, 수학교육 등 4개 전공에서 개설되어 있다.
      UT의 전체 교직원은 약 1,860명(2010)인데 본부가 있는 자카르타에 886명, 전국 37개 지역센터에 974명이 근무한다. 행정조직으로는 교원 인사 관리, 학사 관리, 대외 협력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학사.교무.대외 협력처(BAAK)와 총무, 기획 및 모니터링, 재정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기획.재정처(BAUPK)가 있다. UT는 원거리 거주 학생들의 학업 참여와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인도네시아 전역의 32개 지역에 37개소의 지역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UT 지역센터는 학업 상담, 실습 수업 지원, 튜토리알 시행, 입학시험 및 학기말시험, 졸업시험 등 각종 시험 실시, 등록, 대외 협력 등 다양한 학습 및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UT 교육과정 개발에는 UT 교원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국립 대학의 교수들이 참여한다. UT에서 펴낸 책자에는 학습 자료 개발이 ‘집필자-편집자’의 팀 체제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인쇄물 및 비인쇄물 자료의 개발 과정을 살펴보면, 집필자, 코스 매니저, 교육프로그램 책임자, 편집자, 디자이너 등이 단계별로 참여하는 체제로서 팀 체제와는 차이가 있다.
      UT의 교수-학습 체제에서 모듈 형식의 인쇄물 학습 자료가 기본이며 비인쇄물 형태의 자료가 보조적으로 활용된다. 학습자가 코스를 통해 배워야 할 기본적인 내용이 인쇄물 자료에 모두 반영되어 있으며, 비인쇄물 자료는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보조 자료이다. UT에서는 학생들이 혼자 학습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면대면, 온라인, 라디오, TV 등 다양한 방식의 튜토리알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화, 인터넷, 이메일 등을 통해 학생들의 질문에 답하는 학생 지원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학습 결과 평가는 면대면 튜토리알(TTM)과 온라인 튜토리알(Tuton), 실용강좌와 실습, 학기말 고사, 최종 과제물(TAP) 성적을 종합하여 이루어진다.

      UT는 원격 고등교육 기관으로서 우리 대학에 다음과 같은 특징 및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장기적인 비전을 수립하고 주기적으로 성과 달성 현황을 조사한다. 둘째, 대학구성원의 참여를 통한 질관리 시스템을 구축․운영한다. 셋째, 국내외에 다양한 협력관계를 구축한다. 넷째, 사회의 수요를 반영한 유연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