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탐색 - 소위 '다문화 교육'을 넘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5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yun-Suk Jee. 2010. The New Inquiry of Researching Culture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Passing ‘Multi-Cultural Educatio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7-1. 261-290. If we design Culture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should go beyond the unilateral explan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assimilation. We need to overcome multi-culturalism and find a new educational agenda for the 21st century. In this research, I analyzed seven kinds of Korean textbooks and 30 institutions that teach the Curriculum of Korean Culture. Moreover,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40 stake-holders lik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rofessors who teach in the Korean Department, Korean faculty and staff members.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not only are they narrow-minded and assimilate Korean learners to Korean customs, but also that they focused o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nd not the 'culture'. In terms of designing an alternative Cultura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suggest that we should consider three factors: first, Cultural Education for raising cultural awareness, second, Cultural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social norms, and third, Cultural Education for practicing attitude.(Paichai University)
      번역하기

      Hyun-Suk Jee. 2010. The New Inquiry of Researching Culture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Passing ‘Multi-Cultural Educatio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7-1. 261-290. If we design Culture Curricu...

      Hyun-Suk Jee. 2010. The New Inquiry of Researching Culture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Passing ‘Multi-Cultural Educatio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7-1. 261-290. If we design Culture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should go beyond the unilateral explan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assimilation. We need to overcome multi-culturalism and find a new educational agenda for the 21st century. In this research, I analyzed seven kinds of Korean textbooks and 30 institutions that teach the Curriculum of Korean Culture. Moreover,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40 stake-holders lik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rofessors who teach in the Korean Department, Korean faculty and staff members.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not only are they narrow-minded and assimilate Korean learners to Korean customs, but also that they focused o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nd not the 'culture'. In terms of designing an alternative Cultura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suggest that we should consider three factors: first, Cultural Education for raising cultural awareness, second, Cultural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social norms, and third, Cultural Education for practicing attitude.(Paichai Univers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들어가기
      • II.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 교육의 비판적 분석
      • 1. 분석의 시각
      • 2. 한국어 교육기관의 문화 교육과정
      • Abstract
      • I. 들어가기
      • II.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 교육의 비판적 분석
      • 1. 분석의 시각
      • 2. 한국어 교육기관의 문화 교육과정
      • 3. 문화를 다룬 한국어 학습자용 교재
      • III.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관점
      • 1.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모형
      • 2. 문화 교육과정 설계의 세 차원
      • 3. 문화 교육과정 설계의 원칙
      • IV. 나가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현식, "함께 배우는 한국어2" 한선협 2008

      2 백봉자, "한국언어문화사진집" 도서출판하우 2005

      3 백봉자, "한국언어문화듣기집" 도서출판하우 2005

      4 왕한석, "한국어와 한국 사회" 교문사 2008

      5 지현숙, "한국어교육학에서 제재를 중심으로 한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시학과언어학회 (18) : 17-42, 2010

      6 조수진, "한국어교육의 간문화 교육 연구-정의적 영역에서의 접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6 (6): 185-207, 2009

      7 민현식, "한국어교육에서 소위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5 (5): 2008

      8 배재대학교 교재개발팀, "한국문화읽기" 배재대학교 출판부 2007

      9 박춘연,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문화 교육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75-195, 2010

      10 박흥순, "이주민의 정체성과 포스트콜로니얼 대안, 다문화 사회와 국제이해 교육" 동녘 2009

      1 민현식, "함께 배우는 한국어2" 한선협 2008

      2 백봉자, "한국언어문화사진집" 도서출판하우 2005

      3 백봉자, "한국언어문화듣기집" 도서출판하우 2005

      4 왕한석, "한국어와 한국 사회" 교문사 2008

      5 지현숙, "한국어교육학에서 제재를 중심으로 한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시학과언어학회 (18) : 17-42, 2010

      6 조수진, "한국어교육의 간문화 교육 연구-정의적 영역에서의 접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6 (6): 185-207, 2009

      7 민현식, "한국어교육에서 소위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5 (5): 2008

      8 배재대학교 교재개발팀, "한국문화읽기" 배재대학교 출판부 2007

      9 박춘연,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문화 교육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75-195, 2010

      10 박흥순, "이주민의 정체성과 포스트콜로니얼 대안, 다문화 사회와 국제이해 교육" 동녘 2009

      11 강현화, "외국인 학습자의 문화 요구조사 - 문화교재 개발을 위해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1 : 99-128, 2006

      12 배두본, "외국어교육과정론" 한국문화사 2000

      13 Press. H. D. Brown,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 Longman 2005

      14 국립국어원,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2"

      15 국립국어원,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1"

      16 박경수, "쉽고 재미있는 한국어문화1" 한글파크 2010

      17 최현덕, "세계화, 이주, 문화 다양성, 다문화 사회와 국제이해 교육" 동녘 2009

      18 Patrick R. Moran, "문화 교육" 경문사 2004

      19 한경구, "다문화사회란 무엇인가?, 다문화사회의 이해" 동녘 2008

      20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 교육원, "다문화 사회의 이해: 다문화 교육의 현실과 전망" 동녘 2008

      21 Banks, James A., "다문화 교육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22 Christine I. Bennett, "다문화 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23 왕한석,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및 문화 적응 실태 연구" 국립국어원 2005

      24 W. F. Pinar, "교육과정이론이란 무엇인가?" 문음사 2005

      25 김선정, "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회 (33) : 421-444, 2007

      26 J. K. Hall, "Teaching and Researching Language and Culture" Longman 2002

      27 D.Nunan, "Syllabus의 구성과 응용" 범문사 2002

      28 Jack C. Richards,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9 Barry Tomalin, "Cultural Awareness" Oxford University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07 1.73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