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감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현재까지 주로 화학 살충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화학 살충제의 과다 사용은 해충 저항성과 농약 잔류 문제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31561
김종철 (전북대학교) ; 유정선 (전북대학교) ; 송민호 (전북대학교 농생물학과) ; 이미롱 (전북대학교 농생물학과) ; 김시현 (전북대학교) ; 이세진 (전북대학교) ; 김재수 (전북대학교) ; Kim, Jong Cheol ; Yu, Jeong Seon ; Song, Min Ho ; Lee, Mi Rong ; Kim, Sihyeon ; Lee, Se Jin ; Kim, Jae Su
2016
Korean
감꼭지나방 ; 단감 ; 배추좀나방 ; 유기농자재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KCI등재
학술저널
319-327(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단감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현재까지 주로 화학 살충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화학 살충제의 과다 사용은 해충 저항성과 농약 잔류 문제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
단감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현재까지 주로 화학 살충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화학 살충제의 과다 사용은 해충 저항성과 농약 잔류 문제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EFOP)의 주요 단감 해충인 감꼭지나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 활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11 종을 실험실 조건에서 대상 해충에 분무 처리하였다. 대조 약제는 화학 살충제인 buprofezin+dinotefuran (20+15) 수화제를 사용하였다. 감꼭지나방에 대한 유기농자재의 살충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감꼭지나방 유충의 개체수 부족 문제로 인하여 배추좀나방 유충을 1차 실험충으로 사용하였으며, 세 종류의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사전 선발하였다. 선발된 친환경 유기농자재는 목초액 (EFOP-1), 회화나무, 양명아주, 멀구슬나무의 혼합추출물 (EFOP-2),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NT0423 (EFOP-11)이었으며, 선발된 유기농자재의 감꼭지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력 실험 결과, EFOP-2의 처리구에서 생충율이 27.7% (5 일차), 13.3% (7 일차), 6.7% (10 일차)로 가장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 효과 평가에서는 회화나무, 양명아주, 멀구슬나무의 혼합추출물 (EFOP-2, EFOP-9)과 고삼, 데리스의 혼합추출물 (EFOP-10)이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특히 EFOP-2의 처리구에서 생충율이 20.0% (5 일차), 16.7% (10 일차)로 가장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친환경 유기농자재인 EFOP-2를 이용하여 단감의 주요 해충인 감꼭지나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포함한 다양한 노린재 해충에 대한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to control persimmon pests, however the overuse of the pesticides caused insect resistance, followed by failure in pest management and residual problems. Herein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eco-friendly organic pe...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to control persimmon pests, however the overuse of the pesticides caused insect resistance, followed by failure in pest management and residual problems. Herein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EFOP) on the control persimmon pests, Stathmopoda masinissa (persimmon fruit moth) and Riptortus pedestris (bean bug). Ten commercially available plant-derived organic pesticides and one microbial pesticide were sprayed on the target insects in laboratory conditions. The chemical pesticide, buprofezin+dinotefuran wettable powder served as a positive control. In the first bioassay against persimmon fruit moth, alternatively Plutella xylostella larvae were used due to the lack of persimmon fruit moth population from fields, and three organic pesticides showed high control efficacy, such as pyroligneous liquor (EFOP-1), the mixture of Chinese scholar tree extract, goosefoot and subtripinnata extracts (EFOP-2) and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NT0423 (EFOP-11). When the three selected organic pesticides were treated on the persimmon fruit moths, the EFOP-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icacy: 27.7% (5 days), 13.3% (7 days) and 6.7% (10 days) of survival rates. In the bioassay against bean bugs, the mixture of Chinese scholar tree, goosefoot and subtripinnata extracts (EFOP-2 and EFOP-9) and the extracts of sophora and derris (EFOP-10) showed high control efficacy, particularly the highest in the treatment of EFOP-2: 20.0% (5 days) and 16.7% (10 days) of survival 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xture of Chinese scholar tree, goosefoot and subtripinnata extracts (EFOP-2) has high and multiple potential in the management of the persimmon pes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선, "친환경농업 해충방제용 제제의 현황과 전망, 그리고 산업화의 중요성" 한국환경농학회 28 (28): 301-309, 2009
2 전흥용, "친환경 시설상추에서 작기별 주요 해충의 피해와 발생소장" 한국응용곤충학회 45 (45): 275-282, 2006
3 이규철, "수은유아등과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단감원 노린재류의 발생소장" 한국응용곤충학회 41 (41): 233-238, 2002
4 이대홍, "소형포장에서 친환경농자재가 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7 (47): 75-86, 2008
5 이동운, "몇 가지 한약재 추출물이 곤충병원성선충과 누에 및 먼지벌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335-345, 2009
6 황인천, "멀구슬과 고삼을 원료로 한 식물추출물의 주요해충과 천적에 대한 독성평가"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87-94, 2009
7 김유화, "농업해충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들의 살충력 및 섭식저해력 평가" 한국응용곤충학회 54 (54): 99-109, 2015
8 박종권, "감 과원에서 감관총채벌레(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의 발생과 피해"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431-437, 2009
9 최덕수, "갈색날개매미충(신칭, Ricania sp.)의 발생생태와 친환경 방제자재 선발" 한국응용곤충학회 51 (51): 141-148, 2012
10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certificated amoun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1 김인선, "친환경농업 해충방제용 제제의 현황과 전망, 그리고 산업화의 중요성" 한국환경농학회 28 (28): 301-309, 2009
2 전흥용, "친환경 시설상추에서 작기별 주요 해충의 피해와 발생소장" 한국응용곤충학회 45 (45): 275-282, 2006
3 이규철, "수은유아등과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단감원 노린재류의 발생소장" 한국응용곤충학회 41 (41): 233-238, 2002
4 이대홍, "소형포장에서 친환경농자재가 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7 (47): 75-86, 2008
5 이동운, "몇 가지 한약재 추출물이 곤충병원성선충과 누에 및 먼지벌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335-345, 2009
6 황인천, "멀구슬과 고삼을 원료로 한 식물추출물의 주요해충과 천적에 대한 독성평가"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87-94, 2009
7 김유화, "농업해충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들의 살충력 및 섭식저해력 평가" 한국응용곤충학회 54 (54): 99-109, 2015
8 박종권, "감 과원에서 감관총채벌레(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의 발생과 피해"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431-437, 2009
9 최덕수, "갈색날개매미충(신칭, Ricania sp.)의 발생생태와 친환경 방제자재 선발" 한국응용곤충학회 51 (51): 141-148, 2012
10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certificated amoun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11 Yamada, E, "Synthesis and activity of novel insect control compound MTI-446 and its derivatives" 86-, 1999
12 Lee, S.C, "Sweet persimmon science and health" Cheongwoon Publishing Co 2012
13 Banken, J.A.O, "Stage and age influence on the susceptibility of Coccinella septempunctata (Coleoptera: Coccinellidae)after direct exposure to meemix, a neem inseciticide" 90 : 1102-1105, 1997
14 SPSS Institute, "SPSS version 12.0"
15 Chiasson, H, "Insecticidal properties of a Chenopodium-based botanical" 97 : 1378-1383, 2004
16 Höfte, H, "Insecticidal crystal proteins of Bacillus thuringiensis" 53 : 242-255, 1989
17 Lü, M, "Insecticidal and feeding deterrent effects of fraxinellone from Dictamnus dasycarpus against four major pests" 18 : 2754-2762, 2013
18 Abrol, D.P, "Field toxicity of pesticides to honeybee, Apis mellifera L" 16 : 19-26, 2001
19 Park, Y.H, "Ecology and control of fruit tree insect pests with colour plates" Agricultural Sciences Institute 1988
20 Park, E.C,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immon Fruit Moth, Stathomopoda masinissa Meyrick (Lepidoptera;Stathmopodidae), a Major Insect Pest of Diospyros kaki" Chongbuk National University 2002
21 Bae, S.D, "Comparison in damaged aspect of wild persimmon fruit by second generation larva of persimmon fruit moth, Stathmopoda masinissa Meyrick" 39 : 57-60, 1997
22 Ishaaya, I, "Buprofezin - a novel IGR for controlling whitefies and scale insects" 54 : 1003-1008, 1989
23 Scott, I.M, "Botanical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agricultural pests: piperamides and the Colorado Potato Beetle Leptinotarsa decemlineata say (Coleoptera: Chrysomelidae)" 54 : 212-225, 2003
24 Faria, M, "Biological control of Bemisia tabaci with fungi" 20 : 767-778, 2001
25 Sivasubramanian, A, "A new antifeedant clerodane diterpenoid from Tinospora cordifolia" 27 : 1431-1436, 2013
26 Forestry Research Institute, "A list of insect pest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1995
답전윤환 포장 내 옥수수 및 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발생 특성
한국산 점톨물방개속(딱정벌레목 : 물방개과)의 분류학적 연구
EPG 파형과 감로 분비, 미세절편 관찰로 해석된 애멸구의 벼 섭식행동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31 | 0.41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