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장기구로서 인천 송도 경제자유지구의 개발 특성 = Songdo Free Economic Zone as a Growth Mach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0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Songdo Free Economic District, which is a part of Incheon Free Economic Zone, based on the growth machine theory. Contrary to the cases in the United States, Incheon Metropolitan City has turned out to be the most prominent agent in the growth coalition. The city decides upon the substantive matters concerning the major direction of the project. It also heavily invests in Sondo's real estate business. The central government has not used its authority to dictate the landscape of Songdo. Major corporations based in Incheon are dependent on national firms by contract-out and supply contract. They are active only as far as asking Incheon Metropolitan City more access to the project. National firms, on the other hand, can not be the main actor as the district is for foreign businesses by design. Various local and national regulations, including the regulations against further development of the Capital Region, also makes national firms less than prominent in the growth machine.
      번역하기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Songdo Free Economic District, which is a part of Incheon Free Economic Zone, based on the growth machine theory. Contrary to the cases in the United States, Incheon Metropolitan City has turned out to be...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Songdo Free Economic District, which is a part of Incheon Free Economic Zone, based on the growth machine theory. Contrary to the cases in the United States, Incheon Metropolitan City has turned out to be the most prominent agent in the growth coalition. The city decides upon the substantive matters concerning the major direction of the project. It also heavily invests in Sondo's real estate business. The central government has not used its authority to dictate the landscape of Songdo. Major corporations based in Incheon are dependent on national firms by contract-out and supply contract. They are active only as far as asking Incheon Metropolitan City more access to the project. National firms, on the other hand, can not be the main actor as the district is for foreign businesses by design. Various local and national regulations, including the regulations against further development of the Capital Region, also makes national firms less than prominent in the growth machi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인천 경제자유경제구역에 속하는 송도 경제자유지구의 개발을 성장기구론에 입각하여 설명하고자 했다. 미국의 경우와 달리 인천광역시는 성장연합에 있어 가장 주도적인 주체로 밝혀졌다. 인천광역시는 송도지구의 실질적인 개발 방향의 결정과 부동산 투자에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중앙정부는 송도 경제자유지구의 개발 내용을 결정할 권한을 갖고 있지만 이를 사용하지 않아 왔다. 인천지역의 재계는 대기업에 납품이나 하청관계로 종속되어 있는데, 송도 경제자유지구의 개발에서도 사업 참여확대를 인천광역시에 요구하는 정도의 수동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대기업들은 외국인을 위한 특구라는 송도 경제자유지구의 특성에 의해 많은 부분에서 참여가 원천적으로 배제되어 왔다. 수도권 요지를 공급받는 입장이라는 점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각종 규제도 대기업의 성장기구에서의 존재감을 약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인천 경제자유경제구역에 속하는 송도 경제자유지구의 개발을 성장기구론에 입각하여 설명하고자 했다. 미국의 경우와 달리 인천광역시는 성장연합에 있어 가장 주도적인 주체로 ...

      이 글은 인천 경제자유경제구역에 속하는 송도 경제자유지구의 개발을 성장기구론에 입각하여 설명하고자 했다. 미국의 경우와 달리 인천광역시는 성장연합에 있어 가장 주도적인 주체로 밝혀졌다. 인천광역시는 송도지구의 실질적인 개발 방향의 결정과 부동산 투자에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중앙정부는 송도 경제자유지구의 개발 내용을 결정할 권한을 갖고 있지만 이를 사용하지 않아 왔다. 인천지역의 재계는 대기업에 납품이나 하청관계로 종속되어 있는데, 송도 경제자유지구의 개발에서도 사업 참여확대를 인천광역시에 요구하는 정도의 수동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대기업들은 외국인을 위한 특구라는 송도 경제자유지구의 특성에 의해 많은 부분에서 참여가 원천적으로 배제되어 왔다. 수도권 요지를 공급받는 입장이라는 점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각종 규제도 대기업의 성장기구에서의 존재감을 약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헤럴드경제, 2008, “글로벌 R&D센터 포스코 송도에건립,”(4월 24일자)"

      2 유재원, "한국지방정치론: 이론과 실제" 박영사 2003

      3 김준우, "한국 경제자유구역의 개발 배경과 동인 - 인천 송도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 한국도시지리학회 9 (9): 79-87, 2006

      4 "인천일보, 2006b, “송도 국제업무단지 개발지역 관심 높아 책임 가중,”(12월 7일자)"

      5 "인천일보, 2006a, 가천의대 송도 부지 도마에, 10월 22일자"

      6 정영태, "인천의 권력구조와 정치과정" (4) : 1998

      7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사" 2002

      8 허동훈,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의 현황과과제" 2 : 37-49, 2006

      9 인천광역시, "인천경제자유구역 백서" 2005

      10 인천광역시,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2003

      1 "헤럴드경제, 2008, “글로벌 R&D센터 포스코 송도에건립,”(4월 24일자)"

      2 유재원, "한국지방정치론: 이론과 실제" 박영사 2003

      3 김준우, "한국 경제자유구역의 개발 배경과 동인 - 인천 송도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 한국도시지리학회 9 (9): 79-87, 2006

      4 "인천일보, 2006b, “송도 국제업무단지 개발지역 관심 높아 책임 가중,”(12월 7일자)"

      5 "인천일보, 2006a, 가천의대 송도 부지 도마에, 10월 22일자"

      6 정영태, "인천의 권력구조와 정치과정" (4) : 1998

      7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사" 2002

      8 허동훈,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의 현황과과제" 2 : 37-49, 2006

      9 인천광역시, "인천경제자유구역 백서" 2005

      10 인천광역시,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2003

      11 고미선, "이익집단의 활동,”정인섭 외 공저, 인천지역의 이해" 인하대학교출판부 186-203, 1999

      12 박재욱, "위천공단조성을 둘러싼 지역간 갈등의 정치경제학" 극동문제연구소 17 (17): 339-371, 2001

      13 한미섭, "위상과 비전을 고려한 공간정책" 인천의 재발견(하) 25-58, 2001

      14 "연합뉴스, 2008, “인천시의회 송도테크노파크 확대 제동,”(5월 27일자)"

      15 신동아, "신동아, 2006, “송도국제도시 개발 주도하는 조용경사장의 한숨,”558호: 196-205"

      16 김준우, "송도경제자유지구의 이상과 현실 ― 세계화와 국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경제지리학회 7 (7): 245-260, 2004

      17 인천도시개발공사, "사업현황-주택건설사업"

      18 인천도시개발공사, "공사안내-경영공시-예산현황"

      19 장원호, "공간이론의 산책 39. 성장기제와 상품으로서의 도시: 로간과 몰로치의 도시공간이론" 223 : 102-107, 2000

      20 박추환, "경제자유구역 추진현황 평가와 개선방안, 국회예산정책처" 2006

      21 "경인일보, 2007, “송도‘더프라우’5000 : 1,”(4월 6일자)"

      22 "경인일보, 2006, “송도 소형주택 왜 안 짓나,”(9월 7일자)"

      23 "경기일보, 2007b, “포스코 건설 송도사옥 첫삽,”(1월 25일자)"

      24 "경기일보, 2007a, “송도 지식산업단지 투기바람,”(1월 10일자)"

      25 Short,J.R., "Urban Imagineers: Boosterism and the Representation of Cities The Urban Growth Machine: Critical Perspectives, Two Decades Late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37-54, 1999

      26 Logan, J., "Urban Fortune: The Political Economy of Place" University of California. 1987

      27 Jonas, A. E. G., "The Urban Growth Machine: Critical Perspectives, Two Decades Late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9

      28 Molotch,H.L., "The City as a Growth Machine: Toward a Political Economy of Place" 82 (82): 309-332, 1976

      29 Broadbent,J., "Strategies and Structural Contradictions: Growth Coalition Politics in Japan" 54 : 707-721, 1989

      30 Levison,C., "Regional and Interregional Accounts in Perspective" 13 : 140-144, 1964

      31 Wood,A., "Organizing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The Growth Coalition as a Cross- National Comparative Framew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63-176, 1999

      32 Johnson,C.,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Stanford University 1982

      33 Bassett, K., "Growth Coalitions in Britain’s Waning Sunbelt: Some Reflections The Urban Growth Machine: Critical Perspectives, Two Decades Late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77-194, 1999

      34 "Gale International"

      35 Kirby, A., "Employing the Growth Machine Heuristic in a Different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 The Case of Israel"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13-226, 1999

      36 Harding,A., "Coalition-formation and Urban Redevelopment: A Cross-national Study, Unpublished Study Summary" European Institute for Urban Affairs, Liverpool John Moores University 1996

      37 인천상공회의소, "2006 사업보고서" 2006

      38 인천상공회의소, "2004 사업보고서" 2004

      39 안영진, "1990년대 이후 도시정치의 변화와 새로운 도시화" 한국경제지리학회 6 (6): 421-44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