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고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에서 사분면에 위치하는 요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25286
2018
-
373
KCI등재
학술저널
627-647(21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고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에서 사분면에 위치하는 요인...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고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에서 사분면에 위치하는 요인과 항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S 대학교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일부터 12월15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1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대학생들의 진로역량의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활용하였고,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역량에 대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진로역량 구성요인 IPA 분석 결과는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중점관심 요인으로 진로관리 요인이 나타났으며, 현상유지 필요 영역은 자기성찰, 진로탐색 요인이 포함되었다. 초과달성 영역에 포함된 요인은 자기표현이었으며, 우선순위가 낮아 점진개선이 필요한 영역에는 네트워킹이 포함되었다.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중점관심 영역에 대한 실행노력이 시급하다. 특히 중점관심에 포함된 항목은 진로관리를 위해 구체적인 실천계획 수립, 변화 능동적 대처, 진로목표 지속적 검토를 위한 진로교육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러한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s, if any,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areer competencie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 factors and items in the quadrant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for the care...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s, if any,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areer competencie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 factors and items in the quadrant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for the career competencies perceived by them.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450 students at S University in Seoul from December 1, 2017 to December 15, 2017 and 417 were used for analysis. As for methodology, it used IPA for their career competencies and carried out t-test to test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of career competences; second, the IPA results of components of career competencies show that career management was a factor that required initial improvement and intensive interest. Self-examination and career search were found in the area that needed to maintain status quo. Self-expression belonged to the area of over-achievement, and networking was in the area that was low in priority and needed gradual improvement.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efforts to reflect career management, which was the area of intensive interest with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on career education actively.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o identify the priority of career competencies in education for career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in college and proposed policy directions for the realization of learner-centric career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혁기, "한국형 스포츠클럽 시범사업 마케팅믹스 4Cs의 IPA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427-436, 2009
2 김창환,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Ⅲ) : 대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3 최인재,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4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 "한국 청소년 지표조사 Ⅳ 청소년 진로·직업지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5 김병석, "학교진로상담(2판)" 학지사 2006
6 류재윤,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99-116, 2012
7 장주희, "청년층 고용확대를 위한 직무역량중심 채용시스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8 김영지, "진로별 교육과정에서 학생의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9 최동선, "진로교육 정책의 성과와 추진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0 오은주, "중소기업에서 요구되는 직업역량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17-531, 2012
1 이혁기, "한국형 스포츠클럽 시범사업 마케팅믹스 4Cs의 IPA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427-436, 2009
2 김창환,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Ⅲ) : 대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3 최인재,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4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 "한국 청소년 지표조사 Ⅳ 청소년 진로·직업지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5 김병석, "학교진로상담(2판)" 학지사 2006
6 류재윤,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99-116, 2012
7 장주희, "청년층 고용확대를 위한 직무역량중심 채용시스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8 김영지, "진로별 교육과정에서 학생의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9 최동선, "진로교육 정책의 성과와 추진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0 오은주, "중소기업에서 요구되는 직업역량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17-531, 2012
11 황현정,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2 윤정일,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한국교육학회 45 (45): 233-260, 2007
13 임 언, "역량중심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탐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4 하지철, "마케팅조사실무노트Ⅲ-분석편: 각종분석기법과 통계분석(비즈니스13)" 이담books 2010
15 이병식, "대학생의 진로역량개발에 대한 대학 특성 요인의 영향 분석: 층위 간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1 (51): 213-247, 2013
16 김경화,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59-379, 2012
17 정은이, "대학생의 진로 장애와 대학 적응의 관계에 대한 진로 몰입 및 진로 적응성의 매개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21, 2014
18 정은이, "대학생의 자기 주도성과 대학 적응의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도 및 진로 역량의 매개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651-679, 2016
19 김성남, "대학생의 구직역량 개발에 대한 요구 분석 - 대학생, 대학교 취업담당관, 기업체 인사담당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91-113, 2012
20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21 정지은, "대학생 진로역량과 학생 및 대학 특성의 다층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2 정은이, "대학생 진로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401-428, 2015
23 문윤경, "대학생 구직역량 체계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5
24 정지선, "대졸자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방안 마련"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4
25 김이주, "글로벌 인턴십 참여자들의 글로벌 역량과 진로역량 향상 경험이 취업 후 현업적용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26 통계청, "국내통계"
27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교육부 2016
28 김승보, "고등교육의 진로지도 체계 현황과 과제" 2014 (2014): 37-75, 2014
29 남수정, "고교생의 진로교육의 현황 및 진로역량과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83-304, 2011
30 진성미, "경력 역량 탐색을 위한 평생학습의 시사" 원격교육연구소 5 (5): 21-44, 2009
31 Hackett, G., "The development of a taxonomy of career competencies for professional women" 12 (12): 393-409, 1985
32 DeFillippi, R. J., "The boundaryless career : A competency based perspective" 15 (15): 307-324, 1994
33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y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34 White, R., "Motivation reconsidered : The concept of competence" 66 : 279-333, 1959
35 엄미리, "IPA를 활용한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역량분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89-107, 2008
36 Inkson, K., "How to be a successful career capitalist" 30 (30): 48-61, 2001
37 Francis-Smythe,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competencies indicator(CCI)" 21 (21): 227-248, 2012
38 Akkermans, J., "Competencies for the contemporary career :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career competencies questionnaire" 40 (40): 245-267, 2013
39 Kuijpers, M. A., "Career competencies for the modern career" 32 (32): 303-319, 2006
40 정철영, "2010년대 국민경제의 인력개발" 서울대학교 2014
시각매체와 소설읽기를 통한 교양교육: 『로빈슨 크루소』 읽고 보기
발명교육 프로그램 운영 개선 방안 연구: 현장 적용 사례 분석 중심으로
액션러닝(Action Learning) 적용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소기업 진정성 리더십이 학습조직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