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녹차추출물이 Aeromonas hydrophila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the survival of Aeromonas hydrophila in culture bro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565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천연물에서 보존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연구는 천연물인 녹차로부터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으로 여러 가지 기능성을 검토함으로서 합성품으로서가 아닌 천연의 보존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녹차를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세균중 Aeromonas hydrophila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녹차 추출물 혹은 합성보존료인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를 tryptic soy broth(TSB)에 0∼2%(w/v)첨가하여 pH를 5.5∼7.0으로 조정한후 A. hydrophila를 ?∼? CFU/ml 되게 접종하여 35℃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하면서 생균수를 측정하였으며 녹차추출물에 의한 생육저해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녹차추출물과 보존료의 생균수변화로부터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와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A. hydrophila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활성은 pH가 높을수록 컸으나 보존료의 항균활성은 pH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pH 6.5와 7.0에서 A. hydrophila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MIC는 0.28∼0.35%였으며 MBC는 1.5∼2.0%였다. 보존류의 경우에는 pH 5.5∼6.5에서 1.5∼2.0%에서 억제되었으나 pH 7.0에서는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녹차 추출물의 A. hydrophila에 대한 항균활성은 합성보존료 보다 월등히 강하여 앞으로 식품에서 천연보존료로서의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천연물에서 보존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연구는 천연물인 녹차로부터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으로 여러 가지 기능성을 검토함으로서 ...

      천연물에서 보존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연구는 천연물인 녹차로부터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으로 여러 가지 기능성을 검토함으로서 합성품으로서가 아닌 천연의 보존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녹차를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세균중 Aeromonas hydrophila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녹차 추출물 혹은 합성보존료인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를 tryptic soy broth(TSB)에 0∼2%(w/v)첨가하여 pH를 5.5∼7.0으로 조정한후 A. hydrophila를 ?∼? CFU/ml 되게 접종하여 35℃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하면서 생균수를 측정하였으며 녹차추출물에 의한 생육저해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녹차추출물과 보존료의 생균수변화로부터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와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A. hydrophila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활성은 pH가 높을수록 컸으나 보존료의 항균활성은 pH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pH 6.5와 7.0에서 A. hydrophila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MIC는 0.28∼0.35%였으며 MBC는 1.5∼2.0%였다. 보존류의 경우에는 pH 5.5∼6.5에서 1.5∼2.0%에서 억제되었으나 pH 7.0에서는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녹차 추출물의 A. hydrophila에 대한 항균활성은 합성보존료 보다 월등히 강하여 앞으로 식품에서 천연보존료로서의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een tea water extract(GTW) and green tea ethanol(GTE)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 pathogenic bacteria. The inhibi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the growth of Aeromonas hydropila was determined.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0∼2% (w/v) of green tea extracts adjusted to pH 5.5, 6.0, 6.5 and 7.0 was inoculated with ??CFU/ml of pathogenic bacteria and incubated at 35℃ for 24∼48 hours. The plate counting tecnique and clear zone test were used to test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was derived from the survival curves of A. hydrophila.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green tea extra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eservatives. A. hydrophila was very resistant to preservatives but very sensitive to green tea extracts. Green tea extracts showed excellent growth inhibiting activities for A. hydrophila.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otassium sorbate and sodium benzoate were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while those of green tea extract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Minuin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n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of green tea extracts and preservatives were determined at 35℃. A. hydrophila was completely inhibited at level of 0.28∼0.35% and bactrericidal at 1.5∼2.0% at pH 6.5∼7.0. A. hydrophila was inhibited at level of 0.5∼2.0% preservatives at pH 5.5∼6.5 and non inhibitory at pH 7.0. This result suggests that green tea extrac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번역하기

      Green tea water extract(GTW) and green tea ethanol(GTE)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 pathogenic bacteria. The inhibi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the growth of Aeromonas hydropila was determined. Tryptic soy broth(...

      Green tea water extract(GTW) and green tea ethanol(GTE)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 pathogenic bacteria. The inhibi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the growth of Aeromonas hydropila was determined.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0∼2% (w/v) of green tea extracts adjusted to pH 5.5, 6.0, 6.5 and 7.0 was inoculated with ??CFU/ml of pathogenic bacteria and incubated at 35℃ for 24∼48 hours. The plate counting tecnique and clear zone test were used to test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was derived from the survival curves of A. hydrophila.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green tea extra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eservatives. A. hydrophila was very resistant to preservatives but very sensitive to green tea extracts. Green tea extracts showed excellent growth inhibiting activities for A. hydrophila.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otassium sorbate and sodium benzoate were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while those of green tea extract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Minuin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n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of green tea extracts and preservatives were determined at 35℃. A. hydrophila was completely inhibited at level of 0.28∼0.35% and bactrericidal at 1.5∼2.0% at pH 6.5∼7.0. A. hydrophila was inhibited at level of 0.5∼2.0% preservatives at pH 5.5∼6.5 and non inhibitory at pH 7.0. This result suggests that green tea extrac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