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을 가르치는 초등 교사-되기: 예비 교사와 함께하는 예술 기반 연구 = Becoming Art Teacher: An Arts-Based Research with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31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 초등 교사들이 미술을 가르치는 초등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겪는 미술 수업에 대한 경험, 생각, 고민 등과 관련한 예술 기반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질 들뢰즈, 맥신 그린,...

      본 연구는 예비 초등 교사들이 미술을 가르치는 초등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겪는 미술 수업에 대한 경험, 생각, 고민 등과 관련한 예술 기반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질 들뢰즈, 맥신 그린, 아토그래피(a/r/tography)의 “becoming(-되기, 생성, 되어가기, 되어감)”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예비 초등 교사들이 미술 교육과 관련하여 생성한 이미지와 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타자와의 만남을 통한 새로운 자기-되기로의 미술 교사-되기’, ‘대안적 미래를 상상하는 미술 교사-되기’, ‘끊임없는 과정의 미술 교사-되기’, ‘예술을 통해 사고하는 미술 교사-되기’의 네 주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을 가르치는 초등 교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일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예비 초등 교사들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자 시도하였으 며, 따라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타자와의 차이를 긍정하는 생성의 미술 교육은 어떻게 가능할 수있을 것인가? 둘째, 미술 교육의 다양한 대안적 미래를 상상할 수 있는 만들어가는 공동체를 어떻게 시작할 수 있을 것인가? 셋째, 정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고민하도록 하는 미술 학습적 환경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인가? 넷째, 기술, 표현의 향상에 머무는 미술 교육이 아닌 미술을 통해 사고하는 교육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rts-based research (ABR) revealing experiences, thoughts, and concerns on art edu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coming teachers who teach art. Images and texts created by preservice teachers were analyzed utilizing the philo...

      This study is arts-based research (ABR) revealing experiences, thoughts, and concerns on art edu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coming teachers who teach art. Images and texts created by preservice teachers were analyzed utilizing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becoming, presented by Gilles Deleuze, Maxine Greene, and a/r/tography. This article discusses becoming art teacher as encountering others, imagining alternative art educational realities, continuous process, and thinking through art. From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teachers living in the contemporary era, this article provokes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can we create becoming art education affirms diversity? 2) How can we start community-in-the-making imagining alternative realities of becoming art education? 3) How can we design art learning environments of becoming rather than forcing “the” correct answer? 4) How can we break free from skill improvement and create becoming art education space where students and teachers think through a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Ⅱ. (예비) 초등 교사와 미술 교육의 관계 Ⅲ. 연구 방법 Ⅳ. 미술 수업에 대한 이미지와 글로 살펴보는 교사-되기 V. 결론 및 제언
      • I. 서론 Ⅱ. (예비) 초등 교사와 미술 교육의 관계 Ⅲ. 연구 방법 Ⅳ. 미술 수업에 대한 이미지와 글로 살펴보는 교사-되기 V.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옥희, "한국 학교 미술교육의 사회문화적 담론 분석" 한국조형교육학회 (36) : 321-350, 2010

      2 김사라, "초등미술 교원교육의 현재와 미래- 비전공 출신 초등교사의 미술 전공경험이 미술 신념과 삶에 준 변화를 통해 -"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8 (18): 211-236, 2017

      3 김지수, "초등교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술수업의 상과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65 : 131-160, 2021

      4 추미경, "초등 미술 수업 딜레마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29) : 545-584, 2007

      5 김황기, "초등 교사들의 미술교수 자기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105-126, 2005

      6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7 이재영, "자아 반성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이용한 교사 양성 기관 조소 수업 방안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3 : 145-164, 2008

      8 정옥희,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예술교육 내러티브 탐구" 한국조형교육학회 (62) : 165-185, 2017

      9 김미남, "예비 초등 교사를 위한 미술 프로젝트: 이해를 목적으로 한 미술, 삶을 위한 미술, 삶과 연관된 미술"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79-106, 2011

      10 박우정, "수업실습: 초등예비교사의 미술수업 경험 분석"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7 (17): 107-131, 2016

      1 정옥희, "한국 학교 미술교육의 사회문화적 담론 분석" 한국조형교육학회 (36) : 321-350, 2010

      2 김사라, "초등미술 교원교육의 현재와 미래- 비전공 출신 초등교사의 미술 전공경험이 미술 신념과 삶에 준 변화를 통해 -"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8 (18): 211-236, 2017

      3 김지수, "초등교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술수업의 상과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65 : 131-160, 2021

      4 추미경, "초등 미술 수업 딜레마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29) : 545-584, 2007

      5 김황기, "초등 교사들의 미술교수 자기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105-126, 2005

      6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7 이재영, "자아 반성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이용한 교사 양성 기관 조소 수업 방안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3 : 145-164, 2008

      8 정옥희,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예술교육 내러티브 탐구" 한국조형교육학회 (62) : 165-185, 2017

      9 김미남, "예비 초등 교사를 위한 미술 프로젝트: 이해를 목적으로 한 미술, 삶을 위한 미술, 삶과 연관된 미술"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79-106, 2011

      10 박우정, "수업실습: 초등예비교사의 미술수업 경험 분석"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7 (17): 107-131, 2016

      11 김해경, "미술과 지도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들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9 (29): 53-73, 2011

      12 김재춘, "들뢰즈와 교육: 차이생성의 배움론" 학이시습 2016

      13 공완욱, "두 초등 신규교사의 미술 수업에서 이상과 실재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교육연구원 38 (38): 107-130, 2018

      1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유·초·중등교육통계편" 한국교육개발원 2020

      15 Greene, M., "Variations on a blue guitar: The Lincoln Center Institute lectures on aesthetic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2011

      16 Rita Irwin, "Turning to A/r/tography"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5 (15): 21-40, 2014

      17 Greene, M, "Toward a pedagogy of thought and a pedagogy of imagination"

      18 Jackson, A. Y., "Thinking with theory in qualitative research: Viewing data across multiple perspectives" Routledge 2012

      19 Greene, M., "Releasing the imagination: Essays on education, the arts, and social change" The Jossey-Bass Education Series 1995

      20 Irwin, R. L., "Encyclopedia of curriculum studies" Sage 42-43, 2010

      21 김재춘, "Deleuze의 되기 · 생성의 교육(학)적 해석" 한국교육원리학회 15 (15): 1-38, 2010

      22 Irwin, R. L., "Being with a/r/tography" Sense Publisher 2008

      23 Irwin, R. L., "Being with a/r/tography" Sense Publisher 71-80, 2008

      24 Boulton, A., "Becoming teacher : A/r/tographical inquiry and visualizing metaphor" 36 (36): 200-214, 2017

      25 Irwin, R. L., "Becoming a/r/tography" 54 (54): 198-215, 2013

      26 Irwin, R. L., "Arts education and curriculum studies: The contributions of Rita L. Irwin" Routledge 133-138, 2017

      27 Irwin, R. L., "A/r/tography: Rendering self through arts-based living inquiry" Pacific Educational Press 27-38, 2004

      28 Springgay, S., "A/r/tography as living inquiry through art and text" 11 (11): 897-912, 2005

      29 Deleuze, G., "A thousand plateaus: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조형교육
      외국어명 : ART EDUCATION REVIEW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6 0.94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