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모델링 실천을 통한 과학 영재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 분석 = Analysis of the Cognitive Level of Meta-modeling Knowledge Component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hrough Modeling Pract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718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modeling practice program integrated with meta-modeling knowledge by analyzing the cognition level for each meta-modeling knowledge components through model- ing practice in the context of the chemistry discipline content. A chemistry teacher conducted inquiry-based modeling prac- tice including anomalous phenomena for 16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a science gifted school, and in order to analyze the cognition level for each of the three meta-modeling knowledge components such as model variability, model multiplicity, and modeling process, the inquiry notes recorded by the students and observation note recorded by the researcher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cognition level was classified from 0 to 3 lev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on level of the modeling process was the highest and the cognition level of the multiplicity of the model was the lowest. The cause of the low recognitive level of model vari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perception of conceptual models as objec- tive facts. The cause of the low cognitive level of model multiplicity has to do with the belief that there can only be one cor- rect model for a given phenomenon. Students elaborated conceptual models using symbolic models such as chemical symbols, but lacke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ata interpretation affecting the entire model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intro- duce preliminary activities that can explicitly guide the nature of the model, and guide the importance of data interpretation through specific examples. Training to consider and verify the accept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an mine should be done through a modeling practice progra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modeling practice program integrated with meta-modeling knowledge by analyzing the cognition level for each meta-modeling knowledge components through model- ing practice in the co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modeling practice program integrated with meta-modeling knowledge by analyzing the cognition level for each meta-modeling knowledge components through model- ing practice in the context of the chemistry discipline content. A chemistry teacher conducted inquiry-based modeling prac- tice including anomalous phenomena for 16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a science gifted school, and in order to analyze the cognition level for each of the three meta-modeling knowledge components such as model variability, model multiplicity, and modeling process, the inquiry notes recorded by the students and observation note recorded by the researcher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cognition level was classified from 0 to 3 lev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on level of the modeling process was the highest and the cognition level of the multiplicity of the model was the lowest. The cause of the low recognitive level of model vari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perception of conceptual models as objec- tive facts. The cause of the low cognitive level of model multiplicity has to do with the belief that there can only be one cor- rect model for a given phenomenon. Students elaborated conceptual models using symbolic models such as chemical symbols, but lacke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ata interpretation affecting the entire model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intro- duce preliminary activities that can explicitly guide the nature of the model, and guide the importance of data interpretation through specific examples. Training to consider and verify the accept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an mine should be done through a modeling practice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화학교과 내용 맥락 하에서 모델링 실천을 통해 드러난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을 진단함으로써 메타모델링 지식과 통합된 모델링 실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A 과학 영재학교 2학년 재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화학 교사가 변칙현상이 포함된 탐구기반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 모델의 가변성 , 모델의 다중성 , 모델링 과정 등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이 기록한 탐구노트와 연구자가 기록한 관찰노트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 인식수준은 0단계부터 3단계까지 분류하였다 . 분석 결과 , 메타모델링 지식의 구성요소 중 모델링 과정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모델의 다중성 다음으로 모델의 가변성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모델 가변성에 대한 낮은 인식수준의 원인은 학생들이 개념모델을 객관적 사실로 인식하는 것과 관련이 깊고 , 모델 다중성에대한 낮은 인식수준의 원인은 주어진 현상에 대해 오직 하나의 올바른 모델이 존재한다는 신념과 관련이 있다 . 학생들은 개념모델을 화학기호와 같은 상징적 모델을 이용하여 정교화하였으나 모델링 전 과정에 영향을 주는 자료해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 모델의 본성을 명시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사전활동의 도입하고 , 자료해석의 중요성을 구체적 예시를통해 안내할 필요가 있다 . 다른 관점에서 제안된 모델의 수용 가능성을 고려하고 검증하는 훈련이 모델링 실천 프로그램을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화학교과 내용 맥락 하에서 모델링 실천을 통해 드러난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을 진단함으로써 메타모델링 지식과 통합된 모델링 실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본 연구는 화학교과 내용 맥락 하에서 모델링 실천을 통해 드러난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을 진단함으로써 메타모델링 지식과 통합된 모델링 실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A 과학 영재학교 2학년 재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화학 교사가 변칙현상이 포함된 탐구기반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 모델의 가변성 , 모델의 다중성 , 모델링 과정 등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이 기록한 탐구노트와 연구자가 기록한 관찰노트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 인식수준은 0단계부터 3단계까지 분류하였다 . 분석 결과 , 메타모델링 지식의 구성요소 중 모델링 과정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모델의 다중성 다음으로 모델의 가변성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모델 가변성에 대한 낮은 인식수준의 원인은 학생들이 개념모델을 객관적 사실로 인식하는 것과 관련이 깊고 , 모델 다중성에대한 낮은 인식수준의 원인은 주어진 현상에 대해 오직 하나의 올바른 모델이 존재한다는 신념과 관련이 있다 . 학생들은 개념모델을 화학기호와 같은 상징적 모델을 이용하여 정교화하였으나 모델링 전 과정에 영향을 주는 자료해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 모델의 본성을 명시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사전활동의 도입하고 , 자료해석의 중요성을 구체적 예시를통해 안내할 필요가 있다 . 다른 관점에서 제안된 모델의 수용 가능성을 고려하고 검증하는 훈련이 모델링 실천 프로그램을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abak, I., 16 : 307-, 2008

      2 Clement, J. J., 22 : 1041-, 2000

      3 Grosslight, L., 28 : 799-, 1991

      4 Van Driel, J. H., 24 : 1255-, 2003

      5 Schwarz, C. V., 46 : 632-, 2009

      6 Lazenby, K., 57 : 794-, 2020

      7 Schwarz, C. V., 23 : 165-, 2005

      8 Justi, R., 25 : 1369-, 2003

      9 Lehrer, R., 21 : 39-, 2000

      10 Berland, L. K., 53 : 1082-, 2016

      1 Tabak, I., 16 : 307-, 2008

      2 Clement, J. J., 22 : 1041-, 2000

      3 Grosslight, L., 28 : 799-, 1991

      4 Van Driel, J. H., 24 : 1255-, 2003

      5 Schwarz, C. V., 46 : 632-, 2009

      6 Lazenby, K., 57 : 794-, 2020

      7 Schwarz, C. V., 23 : 165-, 2005

      8 Justi, R., 25 : 1369-, 2003

      9 Lehrer, R., 21 : 39-, 2000

      10 Berland, L. K., 53 : 1082-, 2016

      11 Greene, J. A., 3 : 45-, 2015

      12 Windschitl, M., 92 : 941-, 2008

      13 Grandy, R., 16 : 141-, 2017

      14 Park, J. W., 18 : 283-, 1998

      15 Justi, R., 24 : 369-, 2002

      16 Lederman, N. G., 29 : 331-, 1992

      17 Lee, S. W., 72 : 273-, 2002

      18 Oh, P. S, 33 : 1109-, 2011

      19 Paik, S. H., 92 : 1484-, 2015

      20 Gobert, J. D., 22 : 891-, 2000

      21 Chamizo, J. A., 22 : 1613-, 2013

      22 윤혜경, "초등 예비교사의 자기 모델 탐구 과정과 과학적 모델에 대한 이해 변화"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353-366, 2011

      23 김기향 ; 백성혜, "전자 이동 모델과 산화수 변화 모델에 대한 화학 I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및 화학교육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대한화학회 61 (61): 204-210, 2017

      24 이선경 ; 이규호 ; 최취임 ; 신명경,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탐구 글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이론과 증거의 조정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201-209, 2012

      25 김성기 ; 최희 ; 박철용 ; 백성혜, "세 가지 산-염기 모델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인식과 해석" 대한화학회 63 (63): 56-65, 2019

      26 김성기 ; 김정은 ; 박세희 ; 백성혜, "모델링을 통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 발달 단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457-464, 2019

      27 오필석, "귀추적 사고 과정에서 모델의 역할 - 이론과 경험 연구를 통한 도식화 -"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551-561, 2016

      28 박희경 ; 최종림 ; 김찬종 ; 김희백 ; 유준희 ; 장신호 ; 최승언,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을 통한 과학 영재 학생들의 모델링 능력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15-28, 2016

      29 조은진 ; 김찬종 ; 최승언, "과학적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859-877, 2017

      30 김정은 ; 김성기 ; 백성혜,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MMK) 발달 및 MMK 발달 수준과 실제 수행과의 관계 탐색" 대한화학회 64 (64): 111-118, 2020

      31 김성기 ; 김정은 ; 백성혜, "과학영재 학생들의 과학 메타모델링 지식 발달 단계 탐구" 대한화학회 63 (63): 102-110, 2019

      32 조혜숙 ; 남정희, "과학교육에서 모델과 모델링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539-552, 2017

      33 조혜숙 ; 남정희 ; 오필석, "과학교육에서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고찰 -메타모델링 지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239-252, 2017

      34 강남화, "과학 탐구와 과학 교수학습에서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143-154, 2017

      35 Baek, H., "Tracing Fifth-Grade Students' Epistemologies in Modeling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a Model-Based Curriculum Unit"

      36 Gobert, J.,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Epistemologies and Model-Based Reasoning"

      37 Crawford, B. A., "Research and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Springer Netherlands 2005

      38 Morrison, M., "Models as mediato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9 Schwarz, C. V., "Helping Students Make Sense of the World Using Next Gener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ces" National Science Teachers'Association Press 2016

      40 Schwarz, C, "Fostering Middle School Students'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ing"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