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스마트폰의 탐색적 사용과 충분한 활용에 대한 연구 = 지속적 사용과 습관이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60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IT산업의 그 중심에서 스마트폰이 활약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도 스마트폰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도 소비자들이 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한 선행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사용자 만족과 습관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 폰 사용에 대한 원인과 결과에 관해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 27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이 스마트 폰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발견은 사용자 만족이 스마트폰 사용 습관과 탐색적 사용에 (+)정의 영향을 주지만 충분한 활용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습관이라는 매개 효과가 충분한 활용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자기효능감의 통제변수가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할수록 사용자는 탐색적으로 새로운 스마트폰 기능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번역하기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IT산업의 그 중심에서 스마트폰이 활약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도 스마트폰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도 소비자들이 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IT산업의 그 중심에서 스마트폰이 활약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도 스마트폰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도 소비자들이 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한 선행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사용자 만족과 습관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 폰 사용에 대한 원인과 결과에 관해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 27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이 스마트 폰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발견은 사용자 만족이 스마트폰 사용 습관과 탐색적 사용에 (+)정의 영향을 주지만 충분한 활용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습관이라는 매개 효과가 충분한 활용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자기효능감의 통제변수가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할수록 사용자는 탐색적으로 새로운 스마트폰 기능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mart phones play a significant part in the evolution IT industry. In domestic market, smart phones have grown rapidly. However, until today, precedent studies on smart phones, particularly about the reason why consumers use smart phones are uncommon. Thus, in this study we adopted IS continuance and habit theory to study smart phones’ use behavior. The results reveal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satisfaction of smart phone usage, continuous use, and habit showed the causes and effects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smart phone user satisfaction. Moreover, smart phone us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mart phone habits and explorative use. However, smart phone user satisfaction showed insignificant effect toward exploitive use. That is, satisfied users regularly use the smart phone but need to formulate habit of use, and then influence exploitive use. Habi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both exploitive use and explorative use. Finally, we found that users are likely to pay more attention on new features of smart phones while they are using the devices.
      번역하기

      Smart phones play a significant part in the evolution IT industry. In domestic market, smart phones have grown rapidly. However, until today, precedent studies on smart phones, particularly about the reason why consumers use smart phones are uncommon....

      Smart phones play a significant part in the evolution IT industry. In domestic market, smart phones have grown rapidly. However, until today, precedent studies on smart phones, particularly about the reason why consumers use smart phones are uncommon. Thus, in this study we adopted IS continuance and habit theory to study smart phones’ use behavior. The results reveal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satisfaction of smart phone usage, continuous use, and habit showed the causes and effects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smart phone user satisfaction. Moreover, smart phone us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mart phone habits and explorative use. However, smart phone user satisfaction showed insignificant effect toward exploitive use. That is, satisfied users regularly use the smart phone but need to formulate habit of use, and then influence exploitive use. Habi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both exploitive use and explorative use. Finally, we found that users are likely to pay more attention on new features of smart phones while they are using the dev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모델 및 가설의 설정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모델 및 가설의 설정
      • 4. 연구 방법론
      • 5. 토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