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한경직 목사의 삶과 사상적 특징을 연구하는 것이다. 한경직은 한국 근현대사에 있어 대표적 개신교 지도자로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그에 관한 연구는 주로 목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06590
2021
-
900
KCI등재
학술저널
65-91(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한경직 목사의 삶과 사상적 특징을 연구하는 것이다. 한경직은 한국 근현대사에 있어 대표적 개신교 지도자로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그에 관한 연구는 주로 목회...
본 논문의 목적은 한경직 목사의 삶과 사상적 특징을 연구하는 것이다. 한경직은 한국 근현대사에 있어 대표적 개신교 지도자로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그에 관한 연구는 주로 목회자로서의 삶과 봉사 활동, 해방 이후 기독교 건국과 관련한 정치·사회적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교회 지도자로서의 한경직의 삶을 조명하였고, 이후 역사적 활동의 영역을 국가로 확장하는 등 나름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다소 부족한 점으로 크게 2가지를 말할 수 있다. 먼저 해방 정국에서 그가 보여주었던 정치적 발언을 볼 때 그는 개신교인에게 ‘정교분리’가 아닌 정치적 활동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종교인의 정교분리라는 선험적 논의가 한경직 연구에 그대로 덧입혀진 느낌이 강하다. 따라서 여기에 관한 역사적 의미를 다루어야 한다고 본다. 다른 하나는 정치적 활동에 대한 의견을 분석한 논문에서도 그의 정치 활동의 사상적 연원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정치하게 밝혀내지를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관한 답을 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life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stor Han Kyung Chik. He was a representative Protestant leader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However, research on him focuses mainly on life and volunte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life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stor Han Kyung Chik. He was a representative Protestant leader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However, research on him focuses mainly on life and volunteer work as a pastor. And it is only talking about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related to the foundation of Christianity after liberation. These studies shed light on the lives of church leader Han Kyung Chik and expanded the scope of historical activities to the nation. But I can say two things in a big way because of the shortcomings. First of all, given his political remarks in the liberation regime, he claims political activities, not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o Protestants. Therefore, I think we should deal with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is. The other is also a problem in a paper that analyzes opinions on political activities. In other words, it is not clear exactly where the ideological training of political activities he sees comes from. In this study, we want to find an answer to the proble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명수, "해방 후 월남기독교인들의 국가건설운동과 영락교회 청년회의 탄생" 2019
2 박명수, "해방 직후 신의주 기독교인들과 공산주의자들의 건국투쟁" 숭실사학회 (43) : 253-285, 2019
3 박용규, "한국기독교회사Ⅱ"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6
4 박용규, "한국기독교회사Ⅰ"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9
5 김권정, "한국기독교와 역사 5" 1996
6 최재건, "한국교회사론" 사)기독교문서선교회 2018
7 이은선, "한경직의 민족복음화 운동"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4 (44): 255-282, 2012
8 이혜정,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 대한기독교서회 2011
9 박명수, "한경직과 대한민국 건국 운동:1945-1948" 2017
10 김은섭, "한경직과 김재준, 그들의 삶과 사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81 : 45-77, 2015
1 박명수, "해방 후 월남기독교인들의 국가건설운동과 영락교회 청년회의 탄생" 2019
2 박명수, "해방 직후 신의주 기독교인들과 공산주의자들의 건국투쟁" 숭실사학회 (43) : 253-285, 2019
3 박용규, "한국기독교회사Ⅱ"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6
4 박용규, "한국기독교회사Ⅰ"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9
5 김권정, "한국기독교와 역사 5" 1996
6 최재건, "한국교회사론" 사)기독교문서선교회 2018
7 이은선, "한경직의 민족복음화 운동"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4 (44): 255-282, 2012
8 이혜정,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 대한기독교서회 2011
9 박명수, "한경직과 대한민국 건국 운동:1945-1948" 2017
10 김은섭, "한경직과 김재준, 그들의 삶과 사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81 : 45-77, 2015
11 한승홍, "한경직 예수를 닮은 인간, 그리스도를 보여준 교부" 북코리아 2007
12 이혜정,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0) : 157-180, 2009
13 한승홍, "한경직 목사의 영성과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 2002
14 이광순, "한경직 목사의 선교관과 선교 사역" 19 : 2003
15 이계자, "한경직 목사의 사회봉사 사상" CLC 2015
16 김은섭, "한경직 목사의 사상과 사역" 나눔사 2014
17 허준수, "한경직 목사의 봉사 사역2 한경직 목사님의 복지사역:영락교회와 영락사회복지재단을 중심으로" 2009
18 손의성, "한경직 목사의 봉사 사상" 2009
19 이승준, "한경직 목사의 목회사상" 2002
20 이승준, "한경직 목사와 한국전쟁" 15 : 2001
21 (사)한경직목사기념사업회 기획, "한경직 목사와 한국교회" 대한기독교서회 2015
22 (사)한경직목사기념사업회, "한경직 목사 성역 50년" 세신문화사 1986
23 김병희, "한경직 목사" 규장문화사 1982
24 이만열, "원로와의 대담 : 한경직 목사를 만남" 1 : 1991
25 정승우, "예수는 어떻게 한국에서 민족과 반공의 아이콘이 되었는가? - 한국 교회의 민족/반공담론에 나타난 예수像 -" 한국신약학회 20 (20): 573-612, 2013
26 유장춘, "영락교회를 넘어서 한국사회를 섬긴 한경직 목사의 사회봉사 연구" 9 : 2009
27 "신한민보"
28 "삼천리"
29 홍준기, "발터 벤야민과 도시경험-벤야민의 도시인문학 방법론에 대한 고찰"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12 (12): 175-199, 2010
30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31 "국민일보"
32 김운용, "강단의 거성 한경직의 설교 세계" 18 : 2002
33 신상목, "가장 존경하는 목회자, 한경직·옥한흠·주기철·손양원·조용기 목사"
조선후기 충청도 관찰사의 사환과 역할:심이지(沈頤之)의 『금영일기(錦營日記)』를 중심으로
독일 자유군단 대원들의 남성성 형성과정, 1918-1919:잃어버린 세대와 전쟁청년세대를 중심으로
중일전쟁시기 중소 양국의 협력과 갈등:비행기 제조공장 합작 설립 논의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12-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서양문화사학회 -> 한국세계문화사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Western Civilization -> Korea Association of World History and Culture | ![]() |
2018-12-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 ->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Western History and Culture -> World History and Culture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서양사학연구 -> 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Western History -> Journal of Western History and Cultu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29 | 0.671 | 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