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주민의 문해 특성 연구: 장기 거주 결혼이주여성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s' Literac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1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s literacy in Korea. The expansion of school education lowered the rate of illiteracy in Korea, while the recent surveys report the gradual increase of the illiterate. Most of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s literacy in Korea. The expansion of school education lowered the rate of illiteracy in Korea, while the recent surveys report the gradual increase of the illiterate. Most of those who are not enough literate for their everyday life are married immigrant women, but their long residence in Korea as well as their completion of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is usually regarded as the mark of their successful adaptation into Korean society. Eight married women, who have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seven years and completed KIIP,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 in-depth interview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ir development of literacy from the beginning of immigr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ll the eight subjects are not as literate as the average Koreans. Second, all of them differ in their development of literacy: two reached the average level of Koreans, whereas the other six did not. Third, their development depends surely upon their attitude toward learning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s for immigrants. The last is that the ongoing literacy development is identified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official education for immigrants, and even enhanc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husband and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Korean social network.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e long residence itself does not lead to develop their literacy and suggests that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s for immigrants should be redesigned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기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통해 지금까지 간과됐던 이주민 문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양적과 질적의 혼합 방식을 적용하여 이들의 문해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

      본 연구는 장기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통해 지금까지 간과됐던 이주민 문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양적과 질적의 혼합 방식을 적용하여 이들의 문해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심층 면담으로 이주 초기부터 현재 일상까지 문해 발전을 알아보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7년 이상 거주하고 있으며 이주민 교육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이수한 결혼이주여성 8명의 사례를 살펴보면, 연구 참여자 전원이 이주 초기 비문해자 모습에서 문해 발전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 2명만이 한국인 평균 수준과 동등하게 측정되었으며, 교육 시기에 적극적인 참여로 종합평가에 합격하였고 현재 일상에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살고 있다. 그러나 나머지 6명은 한국인 평균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주민의 문해는 거주 기간 외, 학습기의 참여 태도에 영향을 받았으며, 남편을 포함한 가족의 지지, 한국인과의 사회적 관계 형성과 지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이주민 교육이 지향하는 목표와 이들의 일상과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이주민의 부족한 문해를 향상하기 위해 평생교육 차원에서 이주민 교육이 지속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이주민 특성이 이들의 교육 지원 정책에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대학교, "한국어교육학 사전" 하우 2014

      2 김아름,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및 화용오류에 대한 인식" 한국국어교육학회 (100) : 143-173, 2014

      3 이희수, "한국 성인의 비문해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4 이영선,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참여방법에 따른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네트워크 분석 – 사이버 학습과 면대면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279-305, 2014

      5 오치옥, "성인문해능력조사 2019년 정기통계품질진단결과보고서" 통계청 통계정책국 품질관리과 2019

      6 이유정, "사회연결망이 자녀의 교육지원행위에 미치는 영향 : 아시아출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이지혜, "비문해자 학습의 일상성 :그들은 어떻게 문자세계를 극복하는가"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51-78, 2013

      8 이아진, "문화적응 유형화를 중심으로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과 가족상담자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기대" 한국생활과학회 20 (20): 71-90, 2011

      9 최운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원 46 (46): 141-181, 2007

      10 이지연,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영향요인" 가정과삶의질학회 32 (32): 1-15, 2014

      1 서울대학교, "한국어교육학 사전" 하우 2014

      2 김아름,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및 화용오류에 대한 인식" 한국국어교육학회 (100) : 143-173, 2014

      3 이희수, "한국 성인의 비문해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4 이영선,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참여방법에 따른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네트워크 분석 – 사이버 학습과 면대면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279-305, 2014

      5 오치옥, "성인문해능력조사 2019년 정기통계품질진단결과보고서" 통계청 통계정책국 품질관리과 2019

      6 이유정, "사회연결망이 자녀의 교육지원행위에 미치는 영향 : 아시아출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이지혜, "비문해자 학습의 일상성 :그들은 어떻게 문자세계를 극복하는가"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51-78, 2013

      8 이아진, "문화적응 유형화를 중심으로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과 가족상담자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기대" 한국생활과학회 20 (20): 71-90, 2011

      9 최운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원 46 (46): 141-181, 2007

      10 이지연,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영향요인" 가정과삶의질학회 32 (32): 1-15, 2014

      11 이혜림, "결혼이주여성의 동화유형과 사회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분석"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4

      12 김경령, "결혼이민자의 거주 기간별, 언어권별에 따른 한국어 능력 - 10개국 출신의 전국 거주자를 대상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8 : 1-27, 2013

      13 김영순, "강화도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언어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197-211, 2011

      14 Byeonggon Min, "Immigrants' communication in Korean: The path model for factors affecting the difficulty, and the length of learning period required to overcome the difficulty" Assoc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1 (51): 291-324, 2016

      15 Yong-Kyu Lee, "A study on the path that the linguistic competence of Marriage migrants affects to the quality of life"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3 (13): 37-47, 2015

      16 여성가족부, "2018년 전국다문화가구실태조사 연구" 한학문화 2019

      17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7년 성인문해능력조사 총괄 결과"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이민인종연구회 -> 이주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and Ethnicity Studies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History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