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세 가지 ‘변명’ 문제를 통해 제주4⋅3사건 당시 가창된 혁명가의, 기억 노래로서의 특징을 논한 것이다. 대상은 4⋅3체험담에 수록된 <적기가>, <빨찌산 추도가>, <인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세 가지 ‘변명’ 문제를 통해 제주4⋅3사건 당시 가창된 혁명가의, 기억 노래로서의 특징을 논한 것이다. 대상은 4⋅3체험담에 수록된 <적기가>, <빨찌산 추도가>, <인민...
본 연구는 세 가지 ‘변명’ 문제를 통해 제주4⋅3사건 당시 가창된 혁명가의, 기억 노래로서의 특징을 논한 것이다. 대상은 4⋅3체험담에 수록된 <적기가>, <빨찌산 추도가>, <인민항쟁가>이다. 이를 위해 혁명가의 기원을 확인하고 그 표상성을 탐색하였다.
먼저 일제 강점기의 항일독립운동가, 혹은 해방기의 데모가인 이들 노래가 4⋅ 3체험담에 빈번히 등장한다는 점을 통해 체험담 화자들이 4⋅3의 기원을 일제강점기와 해방기의 정치 상황으로 소급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체험담의 관련 문맥을 분석한 결과 이들 혁명가는 운동의 주체들에게는 좌익의 표상으로서 투쟁 수단이었지만, 그외 제주민들에게는 열정적 참여를 환기하는 노래로 각인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상적 무지’, ‘보편성’, ‘불가피성’ 등 혁명가를 소환하는 과정에서 동원된 ‘변명’들을 통해, 구연 당시까지 잔존하는 4⋅3 및 혁명가 금기, 그 영향으로 인한 4⋅3 기억의 문제를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olutionary songs sung during Jeju 4⋅3 Incident as a taboo memory song through three excuse problems in this study. The subjects are <Red Flag>, <Memorial Song for Partisan>, and <People’s Re...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olutionary songs sung during Jeju 4⋅3 Incident as a taboo memory song through three excuse problems in this study. The subjects are <Red Flag>, <Memorial Song for Partisan>, and <People’s Resistance Song> included in the Jeju4⋅3 Experience Stories. To this end, I reviewed the origin of the revolutionary songs and explored their representation.
First, These songs that were the Songs for Anti-Japanese Independ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r the protest song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ppear frequently in Jeju4⋅3 Experience Stories. Through these points confirms that the storytellers trace the origins of Jeju 4⋅3 Incident back to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liberation period.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evant context of the Jeju4⋅3 Experience Stories,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se revolutionary songs were a symbol of the left wing and a means of struggle for the subjects of the movement, they were imprinted on the general Jeju people as songs that evoked passionate participation. Lastly, through excuses for singing revolutionary songs, such as ‘ideological ignorance,’ ‘universality,’ and ‘inevitability,’ I confirmed the taboo on Jeju4⋅3 and revolutionary songs that remained at the time of the performance and the problem of memory of 4.3 due to its influence
‘ᄒᆞᆫ’의 철학과 21세기 세계관의 변화 - 한철학의 존재⋅인식⋅가치론을 중심으로
5⋅18과 만난 재일(在日)의 4⋅3 - 김석범과 김시종의 난민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