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대생의 성희롱과 성폭력의 인식, 경험과 대처행동 유형과의 상관관계 = The Correla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Cognition and Experience on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nd Types of Coping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2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correlations on cognition and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sexual violence and it’s coping behavior type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ubjects of 211 college students in K-providence were surveyed wit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ermission. All data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of cognition,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using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SPSS/WIN22.0 program. Results showed that the negative correlations were on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nd alleviation of coping behavior types(r=-0.152, p=.031),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nd mediation of coping behavior types(r=-0.141, p=.028) and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nd confrontation of coping behavior types((r=-0.133, p=.016). Therefore, a higher experience rat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means significantly a lower alleviation, mediation and confrontation of coping behavior types for college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correlations on cognition and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sexual violence and it’s coping behavior type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ubjects of 211 college students in K-providence were surveyed with v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correlations on cognition and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sexual violence and it’s coping behavior type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ubjects of 211 college students in K-providence were surveyed wit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ermission. All data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of cognition,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using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SPSS/WIN22.0 program. Results showed that the negative correlations were on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nd alleviation of coping behavior types(r=-0.152, p=.031),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nd mediation of coping behavior types(r=-0.141, p=.028) and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nd confrontation of coping behavior types((r=-0.133, p=.016). Therefore, a higher experience rat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means significantly a lower alleviation, mediation and confrontation of coping behavior types for college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성희롱과 성폭력의 인식, 경험과 대처행동 유형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하여 서명한 K도 소재의 여대생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경우를 제외하고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성희롱, 성폭력 변수의 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성희롱 인식, 경험과 대처유형의 관계를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활용하였다. 대상자의 성희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한 결과 평균은 7.84±2.1점으로 나타났으며 성희롱, 성폭력 경험과 완화 간 상관관계(r=-0.152, p=.031), 성희롱, 성폭력 경험과 조정 간 상관관계(r=-0.141, p=.028) 및 성희롱, 성폭력 경험과 직면 간 상관관계(r=-0.133, p=.016)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성희롱, 성폭력 경험 정도가 높을수록 대처유형 중 완화, 조정과 직면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성희롱과 성폭력의 인식, 경험과 대처행동 유형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하여 서명...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성희롱과 성폭력의 인식, 경험과 대처행동 유형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하여 서명한 K도 소재의 여대생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경우를 제외하고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성희롱, 성폭력 변수의 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성희롱 인식, 경험과 대처유형의 관계를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활용하였다. 대상자의 성희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한 결과 평균은 7.84±2.1점으로 나타났으며 성희롱, 성폭력 경험과 완화 간 상관관계(r=-0.152, p=.031), 성희롱, 성폭력 경험과 조정 간 상관관계(r=-0.141, p=.028) 및 성희롱, 성폭력 경험과 직면 간 상관관계(r=-0.133, p=.016)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성희롱, 성폭력 경험 정도가 높을수록 대처유형 중 완화, 조정과 직면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 H. Ko, "The Recognition, Experience and Related Factors about Sexual Harrassment in the Workplace of Hospital Nurses" Donga University 2012

      2 Y. Y. Kim, "The Perception and Actual Experiences of Sexual Harrassmen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3 J. I. Kim, "The Comprehension and its practice of sexual harassment behavior: Psychological Approach" Education-sciencesa 2000

      4 G. O. Bayram, "Sexual harassment among health workers and students" 9 (9): 20-34, 2012

      5 P. H. Jang, "Sexual Harassment at Workplace and its Countermeasurement" 11 : 113-145, 1996

      6 Y. H. Kim, "Sexual Harassment at Work" 2 (2): 17-32, 1995

      7 K. J. Park,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Assault" 26 : 307-342, 2005

      8 D. M. Park, "Legal Comprehension and Countermeasure about Sexual harassment" 23 (23): 253-278, 2003

      9 Y. A. Kim, "Experiences of sexual harassment and coping behavio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teacher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3

      10 J. S. Lee, "Cognition of Sexual Harassment according to Variables at Workplace" Sangmyung University 2002

      1 J. H. Ko, "The Recognition, Experience and Related Factors about Sexual Harrassment in the Workplace of Hospital Nurses" Donga University 2012

      2 Y. Y. Kim, "The Perception and Actual Experiences of Sexual Harrassmen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3 J. I. Kim, "The Comprehension and its practice of sexual harassment behavior: Psychological Approach" Education-sciencesa 2000

      4 G. O. Bayram, "Sexual harassment among health workers and students" 9 (9): 20-34, 2012

      5 P. H. Jang, "Sexual Harassment at Workplace and its Countermeasurement" 11 : 113-145, 1996

      6 Y. H. Kim, "Sexual Harassment at Work" 2 (2): 17-32, 1995

      7 K. J. Park,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Assault" 26 : 307-342, 2005

      8 D. M. Park, "Legal Comprehension and Countermeasure about Sexual harassment" 23 (23): 253-278, 2003

      9 Y. A. Kim, "Experiences of sexual harassment and coping behavio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teacher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3

      10 J. S. Lee, "Cognition of Sexual Harassment according to Variables at Workplace" Sangmyung University 2002

      11 M. E. Kim, "A Study on Damaging Experiences, Effects, Knowledge and Coping for Sexual Harassment of Dental Hygienist's"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5

      12 N. Y. Choi, "A Study on Damage Experience and Its Mediation Behavior of Sexual Harassment for Nursing Students" 2018

      13 K. H. Kim, "(A) study on the campus policies against sexual harassment" Hakjisa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