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 해체를 통한 패션디자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40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재확산되고 있는 해체주의 패션 현상을 고찰하고 이를 오랫동안 고정된 형태를 지닌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에 적용하여 패션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문헌연구를 통해 테일러드 재킷을 사적고찰하고 테일러드 재킷의 구성 요소를 고찰하였으며, 사례연구로서 최근 패션에 나타나고 있는 해체주의 표현 특성과 테일러드 재킷에 나타난 패턴 해체의 표현 특성을 탐구하였다. 최근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적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 측면의 특성으로는 ‘복식구조 및 디자인원리의 해체’, ‘비확정적인 착장방식’, 그리고 ‘구멍내기’의 사례가 고찰되었으며, ‘복식구조 및 디자인 원리의 해체’ 방식에 따른 현대패션의 사례연구에서 테일러드 재킷의 구성요소 중 나타나지 않은 몸판과 소매, 그리고 디테일 패턴의 해체를 적용한 패션디자인 5점을 개발, 작품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개발은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특성 중 복식구조 및 디자인원리의 해체로 의복을 구조적으로 분리한 뒤 재구성하여 기존의 위치와 기능을 무시하는 전위 방식과 탈비율, 탈균형, 탈중심의 디자인 원리해체의 방식을 모두 반영하여 진행하였으며, 어도비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패턴 조각의 자유로운 위치이동 및 확대와 왜곡을 통한 형태변화를 시도하였다. 각각의 디자인은 비율파괴, 위치이동, 균형파괴, 중심해체, 구성요소의 기능상실 등 해체주의적 표현방식 5가지와 패턴조각 8가지(앞 몸판, 앞 옆판, 뒷 몸판, 뒤 옆판, 바깥소매, 안소매, 칼라, 라펠)를 개별 혹은 중복으로 조합하여 개발되었다. 개발된 작품은 울 서지 소재의 원피스드레스 2점과 재킷 2점, 그리고 울나일론 멜톤 소재의 오버코트 1점이며, 모두 솔리드 블랙 색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테일러드 재킷을 구성하는 다양한 패턴조각의 해체주의적 조작 실험을 통해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특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 방식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재확산되고 있는 해체주의 패션 현상을 고찰하고 이를 오랫동안 고정된 형태를 지닌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에 적용하여 패션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문헌...

      본 연구는 최근 재확산되고 있는 해체주의 패션 현상을 고찰하고 이를 오랫동안 고정된 형태를 지닌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에 적용하여 패션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문헌연구를 통해 테일러드 재킷을 사적고찰하고 테일러드 재킷의 구성 요소를 고찰하였으며, 사례연구로서 최근 패션에 나타나고 있는 해체주의 표현 특성과 테일러드 재킷에 나타난 패턴 해체의 표현 특성을 탐구하였다. 최근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적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 측면의 특성으로는 ‘복식구조 및 디자인원리의 해체’, ‘비확정적인 착장방식’, 그리고 ‘구멍내기’의 사례가 고찰되었으며, ‘복식구조 및 디자인 원리의 해체’ 방식에 따른 현대패션의 사례연구에서 테일러드 재킷의 구성요소 중 나타나지 않은 몸판과 소매, 그리고 디테일 패턴의 해체를 적용한 패션디자인 5점을 개발, 작품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개발은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특성 중 복식구조 및 디자인원리의 해체로 의복을 구조적으로 분리한 뒤 재구성하여 기존의 위치와 기능을 무시하는 전위 방식과 탈비율, 탈균형, 탈중심의 디자인 원리해체의 방식을 모두 반영하여 진행하였으며, 어도비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패턴 조각의 자유로운 위치이동 및 확대와 왜곡을 통한 형태변화를 시도하였다. 각각의 디자인은 비율파괴, 위치이동, 균형파괴, 중심해체, 구성요소의 기능상실 등 해체주의적 표현방식 5가지와 패턴조각 8가지(앞 몸판, 앞 옆판, 뒷 몸판, 뒤 옆판, 바깥소매, 안소매, 칼라, 라펠)를 개별 혹은 중복으로 조합하여 개발되었다. 개발된 작품은 울 서지 소재의 원피스드레스 2점과 재킷 2점, 그리고 울나일론 멜톤 소재의 오버코트 1점이며, 모두 솔리드 블랙 색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테일러드 재킷을 구성하는 다양한 패턴조각의 해체주의적 조작 실험을 통해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특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 방식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deconstructive fashion phenomenon that is being expanded again and apply it to a tailored jacket and develop fashion design. It conducted the literature research to investigate pattern pieces of a tailored jacket maintaining a standardized form for a long time with the historical examination and the case study to explor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on shown from fashion recently and those of pattern deconstruction shown from a tailored jacket which are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the indeterminate mode of wearing’, and ‘the perforating’.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on the contemporary fashion under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5 fashion design works applying the deconstruction of the bodice, sleeve and detail patterns of a tailored jacket were developed and manufactured. As for the design development, tailored jacket was separated and reorganized in a structural manner using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or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ve fashion, reflecting the avant-garde neglecting the existing positions and functions and also de-proportioned, de-balanced and de-centered deconstruction of design principles. Besides, there was an attempt at the formative changes through free locational movement, extension and distortion of a pattern piece using Photoshop. Each design was developed by 5 expressive methods of the deconstruction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proportion and balance, movement of location, deconstruction of center and the functional loss of elements and by individual or overlapped combination of 8 pattern pieces(front bodice, front side, rear bodice, rear side, outer sleeve, undersleeve, collar and lapels). The works developed contain 2 one-piece dresses and 2 jackets made of wool serge, 1 overcoat made of wool nylon melton in solid black.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deconstructive fashion phenomenon that is being expanded again and apply it to a tailored jacket and develop fashion design. It conducted the literature research to investigate pattern pieces of a tailored jacket maintai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deconstructive fashion phenomenon that is being expanded again and apply it to a tailored jacket and develop fashion design. It conducted the literature research to investigate pattern pieces of a tailored jacket maintaining a standardized form for a long time with the historical examination and the case study to explor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on shown from fashion recently and those of pattern deconstruction shown from a tailored jacket which are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the indeterminate mode of wearing’, and ‘the perforating’.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on the contemporary fashion under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5 fashion design works applying the deconstruction of the bodice, sleeve and detail patterns of a tailored jacket were developed and manufactured. As for the design development, tailored jacket was separated and reorganized in a structural manner using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or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ve fashion, reflecting the avant-garde neglecting the existing positions and functions and also de-proportioned, de-balanced and de-centered deconstruction of design principles. Besides, there was an attempt at the formative changes through free locational movement, extension and distortion of a pattern piece using Photoshop. Each design was developed by 5 expressive methods of the deconstruction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proportion and balance, movement of location, deconstruction of center and the functional loss of elements and by individual or overlapped combination of 8 pattern pieces(front bodice, front side, rear bodice, rear side, outer sleeve, undersleeve, collar and lapels). The works developed contain 2 one-piece dresses and 2 jackets made of wool serge, 1 overcoat made of wool nylon melton in solid blac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테일러드 재킷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 테일러드 재킷의 정의와 구성요소
      • 2. 테일러드 재킷에 대한 사적 고찰
      • 요약
      • Ⅰ. 서론
      • Ⅱ. 테일러드 재킷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 테일러드 재킷의 정의와 구성요소
      • 2. 테일러드 재킷에 대한 사적 고찰
      • Ⅲ. 최근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표현 특성
      • 1.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 2. 최근 패션에 나타난 테일러드 재킷의 해체주의 테일러드 재킷의 표현 특성
      • Ⅳ. 작품 제작
      • 1. 디자인 의도 및 방법
      • 2. 디자인 전개 및 해설
      • Ⅴ.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e, H. C., "패턴의 정석" Gyomoon Publishers 2012

      2 Worsley, H, "패션을 뒤바꾼 아이디어 100" Seedpost 2012

      3 권혜숙,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모드와 특성-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1 (11): 110-123, 2007

      4 Kim, S. B., "패션디자인과 해체주의" 18 (18): 487-511, 1994

      5 Cho, G. Y., "클래식 여성복 패턴" Booknamu 2016

      6 Lee, S. R., "이승렬의 패턴 이야기 2" Technique & Sensibility 2004

      7 Choi, G. M., "어패럴 메이킹 여성복 재킷" Gyohakyeongusa 2009

      8 김성은, "신 - 해체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 베트멍, 마르케스 알메이다, 자크뮈스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6 (16): 129-150, 2016

      9 Chung, H. S., "서양복식문화사" Gyomun Publishers 2003

      10 Shin, S. O., "서양 복식사" Soohaksa 2016

      1 Lee, H. C., "패턴의 정석" Gyomoon Publishers 2012

      2 Worsley, H, "패션을 뒤바꾼 아이디어 100" Seedpost 2012

      3 권혜숙,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모드와 특성-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1 (11): 110-123, 2007

      4 Kim, S. B., "패션디자인과 해체주의" 18 (18): 487-511, 1994

      5 Cho, G. Y., "클래식 여성복 패턴" Booknamu 2016

      6 Lee, S. R., "이승렬의 패턴 이야기 2" Technique & Sensibility 2004

      7 Choi, G. M., "어패럴 메이킹 여성복 재킷" Gyohakyeongusa 2009

      8 김성은, "신 - 해체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 베트멍, 마르케스 알메이다, 자크뮈스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6 (16): 129-150, 2016

      9 Chung, H. S., "서양복식문화사" Gyomun Publishers 2003

      10 Shin, S. O., "서양 복식사" Soohaksa 2016

      11 Yoo, S. O., "복식 문화" Gyomun Publishers 1996

      12 "Yves Saint Laurent (1936-2008)" The Red List

      13 "Yohji Yamamoto-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14 "Yohji Yamamoto-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15 Walking costume, "V&A"

      16 Lee, H. S., "The study on deconstructionism in contemporary art: Focused on Jacquse Derrida" Korea University 2002

      17 Na, S. I., "The historical changes of pourpoint, a jacket of western men’s costume" 12 : 1-26, 2003

      18 "The Architects at Work: Issey Miyake, Rei Kawakubo, and Yohji Yamamoto" what grandma wore

      19 "Stephanie Seymour for Ralph Lauren, 1995" WORDPRESS

      20 "Rei Kawakubo-Comme des Garçons (1942)" The Red List

      21 Vivienne Westwood, "My Haute Wardrobe"

      22 "Martin Margiela-Haute Couture-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23 "Martin Margiela-Haute Couture-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24 "Marques Almeida-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25 Cawthorne, N., "Key moments in fashion: From haute couture to streetwear, key collections, major figures and crucial moments that changed the course of fashion history from 1890 to the 1990s" Hamlyn 1998

      26 "John Paul Gaultier backwards jacket" FIDM MUSEUM & GALLERIES

      27 "Jacques Fath" The Red List

      28 "Jacquemus-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29 "Jacquemus-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30 Vetements_offical, "Instagram"

      31 Choi, Y. O., "Focused on western heraldry, dress and its ornaments of the middle ages: A study on symbolism of western heraldry" 18 (18): 140-159, 1994

      32 Lee, J. J., "Fashion & culture" Yekyong 2011

      33 Jang, J. I., "Deconstructive fashion expressed in the work of Martin Margiela" 4 (4): 64-77, 2006

      34 Kim, J. Y., "Deconstruction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costum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95

      35 Jiang, M., "Decomposition of deconstruction in denim fash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7

      36 Lim, G. T., "De-constructivism and architecture theory" Spacetime 2014

      37 "Comme des Garçons-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38 "Christian Dior" The Red List

      39 "Chanel-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40 Pierre, A., "Balenciaga: Cristobal Balenciaga Museoa" Thames & Hudson 2011

      41 "Balenciaga-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42 "Balenciaga-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43 "Balenciaga - Prince of Wales-checked asymmetric wool coat" Matchesfashion

      44 "Balenciaga - 18SS Prince of Wales-checked asymmetric wool coat" FeelWAY

      45 "Alexander McQueen-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46 Kim, H. 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women's suits in modern fashion: Focused on fashion collections from 2003 F/W to 2009 S/S" Dongguk University 2010

      47 "Acne-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48 "Acne-Ready-to-Wear-Runway Collection-Women" firstVIEW

      49 Lee, J. Y., "A study on the forms and meanings of women's pants in fashion history" Hongik University 2007

      50 Kim. G. Y., "A study on the collar construction factors of the women's tailored jacket"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8

      51 Ahn, H. N., "A study on tailored collar pattern for jacket" Konkuk University 2008

      52 Kim, J. H., "A study on deconstructional methods in mordern fashion design and consumer acceptance" 7 (7): 578-596, 1999

      53 Boucher, F., "A history of costume in the west" Thames and Hudson 1996

      54 Buxbaum, G., "20세기 패션 아이콘" Misulmunhwa 2009

      55 박상희, "17세기 ~ 19세기 남성 재킷류의 소매패턴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0 (10): 105-115,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9-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7-04-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학회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1 1.41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41 1.549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