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 앤 사례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4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사회는 IT시대에서 DT시대, 즉 디지털과 데이터 시대로 변화하면서 제품 및 서비스 이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데이터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유되고 확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모...

      현대 사회는 IT시대에서 DT시대, 즉 디지털과 데이터 시대로 변화하면서 제품 및 서비스 이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데이터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유되고 확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패션 제품 소비방식인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인 ‘프로젝트 앤’이 시작된 2016년 9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카페, 지식인, 뉴스 문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검색을 위한 키워드는 ‘프로젝트 앤’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위하여 소셜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텍스톰을 활용하여 키워드 추출 빛 빈도 분석을 하였으며 일원 모드 대칭형 메트릭스를 도출하였다. 키워드 간 연결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Ucinet6.628을 사용하였으며 NetDraw 기능을 활용하여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추출된 키워드는 총 2,453 텍스트가 도출되었으며 ‘프로젝트 앤’,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 ‘SK플래닛’, ‘렌탈’, ‘옷’, ‘소유’, ‘공유’, ‘브랜드’ 순으로 핵심 키워드가 나타났다. CONCOR 분석결과 4개의 요인으로 그룹화 되었다. 각각은 이용권, 렌탈, 스마트폰, 앱, 반납 등과 같은 키워드 중심의 ‘서비스 이용방식’과 스트리밍, 서비스, 공유, 옴니채널이라는 키워드로 이루어진 ‘패션 제품 서비스 형태’, 국내외, 신진, 브랜드, 명품, 디자이너로 이루어진 ‘패션 제품 콘텐츠’, 이벤트, 체험, 이용, 유행, 무한옷장 등과 같은 키워드의 ‘경험 추구 소비방식’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패션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된 형태의 새로운 패션디자인 접근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소셜미디어의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패션디자인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데 활용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ety today is progressing from IT era to DT era, that is to say, the transformation into digital and data period means that consumers’ data on the use of products and services are shared and spread through soci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inve...

      Society today is progressing from IT era to DT era, that is to say, the transformation into digital and data period means that consumers’ data on the use of products and services are shared and spread through soci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by users of fashion streaming service, which is a new style of fashion product consumption based on mobile, by analyzing social media big data. For this purpose, web blogs, cafés, Q&A section (‘Ji-Sik-In’) and news documents, provided by Naver.com, from September 2016 (when the most representative fashion streaming service, ‘PROJECT ANNE’ was established) to January 2018, were the subject of analysis. The keyword for the data research was ‘PROJECT ANNE’.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using the social metrics program, Textom, keywords extraction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one-way mode symmetric matrix was derived. Ucinet6.628 was used to understand the linkage structure between the keywords, and the results were visualized using the functions of NetDraw.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total of 2,453 texts as keywords could be extracted, and the central keywords appeared, in the order beginning with highest frequency, ‘PROJECT ANNE’, ‘fashion’, ‘streaming’, ‘service’, ‘SK Planet’, ‘rental’, ‘clothing’, ‘possession’, ‘sharing’ and ‘brand’. CONCOR analysis grouped these into 4 factors. ‘service usage’, ‘fashion product service forms’, ‘fashion product contents’ and ‘experience seeking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sights for establishing a new fashion design approach strategy that brings together both fashion products and services; and for searching methods that can apply the data mining technology, which extracts useful information from the unstructured data of social media, to the field of fashion desig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
      • 2. SNS와 텍스트 마이닝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
      • 2. SNS와 텍스트 마이닝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 연구대상 및 범위
      • 2. 분석방법 및 절차
      • Ⅳ. 연구결과
      • 1.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 2.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 3. 네트워크 분석결과
      • Ⅴ.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동은, "화장품 서브스크립션 커머스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6 (16): 109-123, 2015

      2 장형유, "패션의류산업의 소셜네트워크 및 개인특성이 사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 및 SNS지속이용의도와의 관련성"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9 (19): 23-49, 2017

      3 Suh, S. E., "패션 스트리밍 플랫폼으로서공유패션 사례 연구: 프로젝트 앤" 67-68, 2017

      4 Kim, J. H., "패션 산업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과 역할" 73-74, 2017

      5 박유나, "패션 관심도와 취향에 따른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태도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20~30대 큐레이션 서비스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173-188, 2017

      6 양지윤,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웨일즈 밀레니엄 센터 건축의 대중적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93-201, 2017

      7 전종근, "카셰어링 이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자혁신성의 조절효과"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2 (22): 49-66, 2017

      8 Kim, K. W., "실무로 배우는 빅데이터 기술" Wiki Books 2017

      9 안재웅,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와 기존 디지털 음악 서비스들 간의 대체 가능성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정보사회학회 17 (17): 31-56, 2016

      10 이정학,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해양스포츠 인식변화"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2 (22): 31-46, 2017

      1 최동은, "화장품 서브스크립션 커머스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6 (16): 109-123, 2015

      2 장형유, "패션의류산업의 소셜네트워크 및 개인특성이 사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 및 SNS지속이용의도와의 관련성"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9 (19): 23-49, 2017

      3 Suh, S. E., "패션 스트리밍 플랫폼으로서공유패션 사례 연구: 프로젝트 앤" 67-68, 2017

      4 Kim, J. H., "패션 산업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과 역할" 73-74, 2017

      5 박유나, "패션 관심도와 취향에 따른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태도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20~30대 큐레이션 서비스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173-188, 2017

      6 양지윤,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웨일즈 밀레니엄 센터 건축의 대중적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93-201, 2017

      7 전종근, "카셰어링 이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자혁신성의 조절효과"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2 (22): 49-66, 2017

      8 Kim, K. W., "실무로 배우는 빅데이터 기술" Wiki Books 2017

      9 안재웅,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와 기존 디지털 음악 서비스들 간의 대체 가능성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정보사회학회 17 (17): 31-56, 2016

      10 이정학,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해양스포츠 인식변화"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2 (22): 31-46, 2017

      11 Kwak, K. Y., "소셜네트워크분석" Cheonglam 2014

      12 장미화,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캠핑에 대한 정부 정책과 국민들의 인식 변화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91-112, 2016

      13 이승신, "소비자의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태도 및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55 (55): 105-124, 2017

      14 이정학,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수영복 인식에 관한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8 (28): 104-116, 2017

      15 안효선, "디자인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성평가방법 모색 - 한복 연관 디자인 요소, 감성적 반응, 평가어휘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 40 (40): 1034-1044, 2016

      16 최상옥, "뉴노멀 시대 新공공성 탐색" 정부학연구소 22 (22): 5-25, 2016

      17 이일영, "뉴노멀 경제와 한국형 뉴딜: 동아시아 발전 모델의 전환을 위한 전략"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00) : 78-117, 2017

      18 Hinssen, P., "뉴 노멀" Next Wave Publishing Co 2014

      19 안명숙,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기법을 적용한 특급호텔 패키지이용에 대한 태도 분석 - 포털사이트 활용 -"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163-181, 2015

      20 윤지연, "공유경제를 위한 패션 공유플랫폼 활성화 방안 연구 -패션 대여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8 (8): 199-205, 2017

      21 오미현, "SNS 특성에 의한 패션제품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 및 온라인구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4 (14): 101-120, 2014

      22 Doh, J. Y., "DT 시대 마케팅 뉴노멀 10" Knowledge nomad 2017

      23 Kim, E. D., "A study on the ergonomic fashion design in fashion website since 2000" Ewha Womans University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9-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7-04-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학회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1 1.41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41 1.549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