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영환, "한국어 동음어 교육의 실제 -최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학회 8 (8): 95-123, 2013
2 박영환, "한국어 동음어 교육 연구" 한국현대언어학회 26 (26): 57-76, 2010
3 최현무, "한국문학과 기호학" 문학과비평사 1988
4 이승훈, "한국문학과 구조주의" 문학과비평사 1988
5 고영근, "텍스트이론" 아르케 1999
6 박영환, "지시어의 의미 기능" 한남대학교 출판부 1991
7 박영환, "중국에서 한국어 의미교육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17 (17): 145-165, 2009
8 심재기, "영산홍의 시문법적 구성 분석, In 언어 1-2" 1976
9 이정민, "언어과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지성사 1977
10 김대행, "어학과 문학이 만나는 길, 국어국문학의 통합적 연구" 2004
1 박영환, "한국어 동음어 교육의 실제 -최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학회 8 (8): 95-123, 2013
2 박영환, "한국어 동음어 교육 연구" 한국현대언어학회 26 (26): 57-76, 2010
3 최현무, "한국문학과 기호학" 문학과비평사 1988
4 이승훈, "한국문학과 구조주의" 문학과비평사 1988
5 고영근, "텍스트이론" 아르케 1999
6 박영환, "지시어의 의미 기능" 한남대학교 출판부 1991
7 박영환, "중국에서 한국어 의미교육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17 (17): 145-165, 2009
8 심재기, "영산홍의 시문법적 구성 분석, In 언어 1-2" 1976
9 이정민, "언어과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지성사 1977
10 김대행, "어학과 문학이 만나는 길, 국어국문학의 통합적 연구" 2004
11 김태옥, "시의 언어학적 소고, In 언어 1-1" 1976
12 신문수, "문학 속의 언어학" 문학과지성사 1989
13 김태옥, "담화․텍스트 언어학 입문" 양영각 1991
14 윤평현, "국어의미론" 도서출판 역락 2008
15 임지룡,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1992
16 박영환, "‘설야’의 시문법적 분석" 19 : 1993
17 Sebeok, T. A., "Style in Language" The MIT Press 1961
18 Bierwisch, M., "Poetics and Linguistics in Freeman" 1965
19 Jakobson, R., "Linguistics and Poetics in Sebeok" 1958
20 Freeman, D. C., "Linguistics and Literary Style"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0
21 de Beaugrande, R.,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gman 1981
22 Halliday, M. A.K., "Cohesion in English" Longman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