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탄뎀소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 Methodische Ansätze zur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durch das Tandem-Lern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1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Frage, wie die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Erziehungssystems institutionell gefördert werden kann. Die Zunahme ausländischer Studierender an den meisten Universitäten in Korea verlangt eine Intensivierung zur Förderung des interkulturellen Verständnisses. Das Tandem-Lernen ist eine hierzu passende Lernmethode.
      Es gibt drei verschiedene Realisierungsmöglichkeiten des Tandem-Lernens zur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Studiums. Der Tandemunterricht mit zwei Zielsprachen ist eine Möglichkeit davon. Dabei steht das Sprachlernen an erster Stelle, aber da finde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utomatisch statt, da die Sprecher aus zwei verschiedenen Ländern stammen.
      Eine weitere Möglichkeit bietet der Tandemunterricht mit über 3 Zielsprachen.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ergibt sich dabei automatisch aus dem kommunikationsstrukturellen Grund. Die dritte und letzte Möglichkeit wird im Curriculum für allgemeine Bildung angeboten. Diese Art des Tandemunterrichts wird hier 'interkultureller Tandemunterricht zur allgemeinen Bildung' genannt. In diesem Unterricht steh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n erster Stelle.
      번역하기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Frage, wie die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Erziehungssystems institutionell gefördert werden kann. Die Zunahme ausländischer Studierender an den meisten Unive...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Frage, wie die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Erziehungssystems institutionell gefördert werden kann. Die Zunahme ausländischer Studierender an den meisten Universitäten in Korea verlangt eine Intensivierung zur Förderung des interkulturellen Verständnisses. Das Tandem-Lernen ist eine hierzu passende Lernmethode.
      Es gibt drei verschiedene Realisierungsmöglichkeiten des Tandem-Lernens zur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Studiums. Der Tandemunterricht mit zwei Zielsprachen ist eine Möglichkeit davon. Dabei steht das Sprachlernen an erster Stelle, aber da finde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utomatisch statt, da die Sprecher aus zwei verschiedenen Ländern stammen.
      Eine weitere Möglichkeit bietet der Tandemunterricht mit über 3 Zielsprachen.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ergibt sich dabei automatisch aus dem kommunikationsstrukturellen Grund. Die dritte und letzte Möglichkeit wird im Curriculum für allgemeine Bildung angeboten. Diese Art des Tandemunterrichts wird hier 'interkultureller Tandemunterricht zur allgemeinen Bildung' genannt. In diesem Unterricht steh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n erster Stel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은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사회 곳곳에서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한국사회로 유입되고 있는 다문화인들의 한국사회 적응교육과 더불어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은 다양한 사회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면서, 초·중등뿐만 아니라 고등교육 그리고 평생교육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 필요성은 한국의 산업구조와 일자리 창출과도 관련이 있다. 한국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한국에 진출하는 외국기업들로 다양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수출 지향적 산업구조를 가진 한국에 글로벌 시장 개척은 피할 수 없는 당면 과제이다.
      대학생들이 전공을 불문하고 상호문화 소통능력을 함양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들이 살아갈 국내외의 생활환경이 이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상호문화 소통능력 함양은 이에 대한 이론적 지식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은 더 이상 논의가 필요 없는 사실이다. 지식 이해와 더불어 다양한 조건에서 상호문화 소통을 경험하면서 노하우를 쌓아야 한다. 오늘날 적잖은 대학생들이 해외여행, 교환학생 참여, 어학연수 등으로 해외에 체류하거나, 국내외에서의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하기, 온라인으로 외국인 친구와 소통하기 등을 경험하면서 나름의 상호문화 소통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가까이에 있고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여건과 기회를 충분하게 활용하지 않는 것이 있다. 즉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되고 있는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인 대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상호문화 소통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대학교육 환경의 글로벌화를 대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역량 강화에 활용하는 교육적 수단으로 탄뎀학습을 제안하고, 탄뎀학습이 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 역량 함양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우선 제2장에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에 대한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기술하고, 이어 제3장에서 탄뎀학습을 통한 상호문화 소통역량 교육의 특수성과 구현방법을 기술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함양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조사한 수업경험과 설문조사 결과를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방법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한국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은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한 사회적 갈...

      한국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은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사회 곳곳에서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한국사회로 유입되고 있는 다문화인들의 한국사회 적응교육과 더불어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은 다양한 사회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면서, 초·중등뿐만 아니라 고등교육 그리고 평생교육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 필요성은 한국의 산업구조와 일자리 창출과도 관련이 있다. 한국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한국에 진출하는 외국기업들로 다양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수출 지향적 산업구조를 가진 한국에 글로벌 시장 개척은 피할 수 없는 당면 과제이다.
      대학생들이 전공을 불문하고 상호문화 소통능력을 함양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들이 살아갈 국내외의 생활환경이 이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상호문화 소통능력 함양은 이에 대한 이론적 지식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은 더 이상 논의가 필요 없는 사실이다. 지식 이해와 더불어 다양한 조건에서 상호문화 소통을 경험하면서 노하우를 쌓아야 한다. 오늘날 적잖은 대학생들이 해외여행, 교환학생 참여, 어학연수 등으로 해외에 체류하거나, 국내외에서의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하기, 온라인으로 외국인 친구와 소통하기 등을 경험하면서 나름의 상호문화 소통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가까이에 있고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여건과 기회를 충분하게 활용하지 않는 것이 있다. 즉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되고 있는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인 대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상호문화 소통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대학교육 환경의 글로벌화를 대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역량 강화에 활용하는 교육적 수단으로 탄뎀학습을 제안하고, 탄뎀학습이 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 역량 함양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우선 제2장에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에 대한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기술하고, 이어 제3장에서 탄뎀학습을 통한 상호문화 소통역량 교육의 특수성과 구현방법을 기술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함양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조사한 수업경험과 설문조사 결과를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방법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금숙, "한국 학생과 유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토의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7) : 297-322, 2015

      2 김미승, "탄뎀학습에서 이문화간 의사소통의 의미와 기능"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50 (50): 7-28, 2011

      3 브라머츠, 헬무트, "탄뎀학습법 : 자기주도 외국어 학습법의 결정판 : Tandem Language Learning 지침서"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2

      4 박분주, "타문화 교환학생들과의 협력학습이 영어학습자들의 상호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언어과학회 (81) : 81-107, 2017

      5 이희숙,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225-248, 2017

      6 진광호, "중국어-한국어 Tandem 학습법의 도입" 대한중국학회 (36) : 31-48, 2010

      7 하수권, "자기주도 학습 기반 외국어 교육에 학습상담 기법 도입 방안" 한국독일어문학회 19 (19): 405-430, 2011

      8 하수권, "이중언어학습법의 교육과정 및 수업 적용 방안"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5) : 195-220, 2009

      9 UNESCO, "유네스코 상호문화교육 지침서"

      10 하수권, "외국어 수업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활동 관리 방안 - 탄뎀수업에 거꾸로 수업 적용 방안"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7 (67): 7-33, 2016

      1 김금숙, "한국 학생과 유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토의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7) : 297-322, 2015

      2 김미승, "탄뎀학습에서 이문화간 의사소통의 의미와 기능"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50 (50): 7-28, 2011

      3 브라머츠, 헬무트, "탄뎀학습법 : 자기주도 외국어 학습법의 결정판 : Tandem Language Learning 지침서"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2

      4 박분주, "타문화 교환학생들과의 협력학습이 영어학습자들의 상호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언어과학회 (81) : 81-107, 2017

      5 이희숙,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225-248, 2017

      6 진광호, "중국어-한국어 Tandem 학습법의 도입" 대한중국학회 (36) : 31-48, 2010

      7 하수권, "자기주도 학습 기반 외국어 교육에 학습상담 기법 도입 방안" 한국독일어문학회 19 (19): 405-430, 2011

      8 하수권, "이중언어학습법의 교육과정 및 수업 적용 방안"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5) : 195-220, 2009

      9 UNESCO, "유네스코 상호문화교육 지침서"

      10 하수권, "외국어 수업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활동 관리 방안 - 탄뎀수업에 거꾸로 수업 적용 방안"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7 (67): 7-33, 2016

      11 이병준, "상호문화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1-24, 2016

      12 이병준, "상호문화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2 (12): 39-60, 2017

      13 민춘기, "상호문화 소통능력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구상 연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49 (49): 65-87, 2010

      14 유수연, "문화간 의사소통 이해" 한국문화사 2008

      15 배고운,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151-169, 2014

      16 하수권, "독일어교육에 탄뎀방식 서비스러닝 적용 방법"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70 (70): 25-44, 2017

      17 이민경, "대학평생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과정 방향성 고찰: 유럽상호문화역량학위(EDICC) 사례를 중심으로" 4 (4): 1-35, 2014

      18 안옥희, "다문화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웰니스학회 11 (11): 253-265, 2016

      19 이은미,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문화적 민감성이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459-468, 2017

      20 김순임, "‌‘상호문화 능력’ 학습을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을 위하여"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517-555, 2014

      21 Fornet-Batancourt, R., "Zur interkulturellen Transformation der Philosophie in Lateinamerika" Iko-Verlag 2010

      22 Rathje, S., "Was ist interkulturelle Kompetenz und interkulturelle Öffnung?"

      23 Byram, M.,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ultilingual Matters 1997

      24 하수권, "Tandem 학습법을 활용한 외국어 교육 방안"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3) : 5-25, 2008

      25 하수권, "Tandem 학습법 적용 외국어 학습자료 특성과 유형"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7) : 131-153, 2010

      26 진광호, "Tandem 수업이 한국인 대학생의 중국 문화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외국학연구소 (34) : 255-278, 2015

      27 Scherpinski, A., "Kultur = Nationalkultur? Zum Paradigmawechsel in der Interkulturalitätsforschung" (46) : 3-16, 2018

      28 Wiseman, 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29 Lustig, M., "Intercultural Competence" pearson 2013

      30 Bennett, J., "Comtemporary Leadership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95-110, 2008

      31 Chen, G., "A Review of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Awareness" 2 : 27-54,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2 0.425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