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주영 ; 이나경 ; 윤서현 ; 최보경 ; 김승섭, "한국의 비정규직 고용과 건강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119-157, 2016
2 김윤희, "한국근로자의 직장 내 유해인자 노출과 장기적인 건강문제의 관련성: 제5차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9 (29): 58-68, 2020
3 공선영 ; 최권호 ; 한인임 ; 신하나 ; 김유경, "콜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직장 내 괴롭힘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72 : 5-34, 2022
4 조기옥 ; 박태준 ; 오재일 ; 백도명 ; 박정선 ; 조성일, "직장 내 물리적, 화학적 유해인자 노출과 정신건강 문제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3 (23): 287-297, 2011
5 최요한, "주관적 건강은 실제 건강의 좋은 대리변수인가"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7-28, 2018
6 손신영, "정규직 및 비정규직 근로 형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 (20): 346-355, 2011
7 조교영 ; 김용진 ; 박정근, "임금노동자 유형에 따른 일-삶 균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1 (31): 569-577, 2020
8 박보현 ; 오연재, "임금근로자의 근로조건과 우울의 관련성: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47) : 31-56, 2018
9 이윤경 ; 임윤아 ; 최요한 ; 이태진,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별 건강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40): 437-475, 2020
10 정주환 ; 조영준 ; 정해수 ; 조교영, "안전보건교육에 따른 고령 근로자의 사고자 및 질병자 수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1 (31): 1049-1059, 2020
1 박주영 ; 이나경 ; 윤서현 ; 최보경 ; 김승섭, "한국의 비정규직 고용과 건강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119-157, 2016
2 김윤희, "한국근로자의 직장 내 유해인자 노출과 장기적인 건강문제의 관련성: 제5차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9 (29): 58-68, 2020
3 공선영 ; 최권호 ; 한인임 ; 신하나 ; 김유경, "콜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직장 내 괴롭힘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72 : 5-34, 2022
4 조기옥 ; 박태준 ; 오재일 ; 백도명 ; 박정선 ; 조성일, "직장 내 물리적, 화학적 유해인자 노출과 정신건강 문제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3 (23): 287-297, 2011
5 최요한, "주관적 건강은 실제 건강의 좋은 대리변수인가"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7-28, 2018
6 손신영, "정규직 및 비정규직 근로 형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 (20): 346-355, 2011
7 조교영 ; 김용진 ; 박정근, "임금노동자 유형에 따른 일-삶 균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1 (31): 569-577, 2020
8 박보현 ; 오연재, "임금근로자의 근로조건과 우울의 관련성: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47) : 31-56, 2018
9 이윤경 ; 임윤아 ; 최요한 ; 이태진,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별 건강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40): 437-475, 2020
10 정주환 ; 조영준 ; 정해수 ; 조교영, "안전보건교육에 따른 고령 근로자의 사고자 및 질병자 수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1 (31): 1049-1059, 2020
11 장원기 ; 정혜선, "안전보건 위험요인에 관한 정보 제공이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9 (29): 363-371, 2020
12 이원철 ; 하재혁, "비정규직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제 1-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토대"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3 (23): 89-97, 2011
13 채덕희 ; 김자선 ; ASAMIKEIKO ; 김종대, "국내 이주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6 (36): 37-50, 2019
14 정혜주 ; Carles Muntaner ; EMCONET Network, "고용관계와 건강불평등: 경로와 메커니즘에 관한 탐색"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245-287, 2011
15 Jung Y., "Worker health inequities by employment status and firm size: current issues and policy challenges"
16 Lim HJ,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self-rated health among wage workers in south korea : The moderating role of household income" 40 (40): 26-33, 2014
17 Moscone F, "The impact of precarious employment on mental health : The case of italy" 158 : 86-95, 2016
18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OSHRI), "The Result of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2-5, 2021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HW), "The 5th National health plan"
20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The 5th 5-Year plan for occupational injury prevention"
21 Dawson C, "Temporary employment, job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38 (38): 69-98, 2017
22 Cislaghi B, "Self-rated health as a valid indicator for health-equity analyses : Evidence from the italian health interview survey" 19 (19): 533-, 2019
23 Bombak AE, "Self-rated health and public health : A critical perspective" 1 : 15-, 2013
24 An SH, "Precarious employment and self-rated health in young adults : A longitudinal study from korea" 64 (64): 470-475, 2022
25 Koranyi I, "Precarious employment and occupational accidents and injuries – a systematic review" 44 (44): 341-350, 2018
26 Benach J, "Precarious employment and health : Developing a research agenda" 61 (61): 276-277, 2007
27 Jonsson J, "Precarious employment and general,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 stockholm, sweden : A cross-sectional study" 49 (49): 228-236, 2021
28 Jaydarifard S, "Precarious employment and associated health and social consequences; a systematic review" 47 (47): 1-7, 2023
29 Kim YY, "Low self-rated health as a risk factor for depression in south korea : A survey of young males and females" 9 (9): 452-, 2021
30 Dement JM, "Impacts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and wellness programs on health care utilization and costs" 57 (57): 1159-1169, 2015
31 O’Donnell MP,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Delmar Thomson Learning 11-17, 2002
32 Alli BO, "Fundamental principle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ternational Labour Offic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113-116, 2008
33 Statistics Korea(KOSTAT),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29-, 2023
34 Borys D, "D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rofessionals improve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of an organisation" 7 (7): 2-13, 2015
3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of South of Korea,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for cerebrovascular disease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Announcement No. 2022-91)"
36 Oenning NSX, "Associations between occupational factors and self-rated health in the national brazilian working population" 19 (19): 1-9, 2019
37 Cho YH,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places with fatal accidents: focusing on the effective labor inspectio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Press 31-33, 2022
38 Robson L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training" 193-208, 2012
39 Cho HH,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labor relations and occupational accident"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Press 25-37, 2013
4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2021 Health inequality in statistics: the labor side" 13-40,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