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학은 1916년 원불교의 교조인 소태산 박중빈(1891-1943)의 대각과 함께 시작 한 원불교의 종교적 특성을 학문적 기법을 통해 본질적으로 변증하고 유지하는데 그 특색을 드러내야 하는 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07378
이승현 (원광대학교)
2013
Korean
진리적 종교의 신앙 ; 교단 ; 원불교학 ; 불교학 ; 신학 ; Faith ; Religious order ; Won-Buddhism ; Theology ; Buddhism
228
KCI등재
학술저널
1-38(3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원불교학은 1916년 원불교의 교조인 소태산 박중빈(1891-1943)의 대각과 함께 시작 한 원불교의 종교적 특성을 학문적 기법을 통해 본질적으로 변증하고 유지하는데 그 특색을 드러내야 하는 과...
원불교학은 1916년 원불교의 교조인 소태산 박중빈(1891-1943)의 대각과 함께 시작 한 원불교의 종교적 특성을 학문적 기법을 통해 본질적으로 변증하고 유지하는데 그 특색을 드러내야 하는 과제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원불교학이란 원불교를 대상으로 하고 분류와 방법을 선행시켰을 때 이루어지는 학문이다. 더불어 학문(Science)으로서의 원불교학은 “원불교적”이라 불릴수 있는 주관적인 것을 대상으로 “가급적 객관적인 시각”에서 실증적으로 검토해 나가야 하는 과학적 탐구를 요구한다. 따라서 원불교학은 학문적인 개방성과 더불어 원불교의 신앙과 수행을 동시에 경건하게 추구해야 하는 강도 높은 면면들을 연구자에게 요구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가지고 원불교 100년의 종교문화시대에 성립되어지는 원불교학의 전개과정의 본질과 전망을 고찰의 대상으로 삼는다. 특히 크리스트교 신학과 불교의 교학에 비해 짧은 경험과 근대적 학문의 바탕위에 서 있는 원불교학의 특징을 살려, 기존의 신학과 불교학의 전개 과정의 과제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은 100년을 맞이하는 원불교학의 현실이 동일·영속·불변한 것을 맞이하여 가변적 혹은 일시적인 것과 어떻게 도전하고 응전하는 체제로 굳어져 왔으며, 오늘날의 종교적 요구를 실행하고 있는지의 진단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916 is the founder of Won-Buddhism wonbulgyohak Sotaesan Park Chung-bin (1891-1943) begins with the diagonal of the religious nature of the academic and Won Buddhism techniques and maintaining the essentially apologetic task is to reveal the characte...
1916 is the founder of Won-Buddhism wonbulgyohak Sotaesan Park Chung-bin (1891-1943) begins with the diagonal of the religious nature of the academic and Won Buddhism techniques and maintaining the essentially apologetic task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 In that sense, wonbulgyohak What Won-Buddhism and classify targets and how is the study takes place when the leading sikyeoteul. In addition the study wonbulgyohak as the “Won-Buddhism enemy” that can be called subjective targets that “objective view as possible” to get out in the review of empirical scientific inquiry requires. Thus, the academic openness wonbulgyohak Won Buddhism, with faith and reverence at the same time do you need to pursue every aspect of high intensity is characterized by requiring researchers. Therefore, this study has this perspective Won-Buddhism religious culture in the age of 100 years, which is established wonbulgyohak development of the study of the nature and prospects of the target as the cut Teaching of Buddhism, Christianity theology, especially compared to the short experience on the basis of academic standing and modern features wonbulgyohak make use of the existing challenges in the evolution of Buddhist theology and analyzed to investigate. This effort to greet the 100 years wonbulgyohak·immutable reality of the same·persistent or temporary variable as the one that I welcome challenge and response system that has been hardened by today’s religious needs, whether you are running to enable the diagnosis of wil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균진, "학문으로서의 신학의 개념에 대한 연구" 45 (45): 1984
2 김경재, "폴 틸리히 신학연구" 대한기독교서회 1987
3 심재관, "탈식민시대 우리의 불교학" 책세상 2001
4 송천은, "종교학적 측면에서 본 원불교학"
5 김성장, "원불교학의 범주와 개념 연구" 원불교사상연구원 (45) : 223-252, 2010
6 한기두, "원불교학의 기초개념" 원광대 원불교학회 6 : 1974
7 정순일, "원불교학과 불교학" 원불교사상연구원 27 : 1988
8 유병덕, "원불교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 원불교학회 (창간) : 1996
9 유병덕, "원불교 해석학의 방향" 원불교사상연구원 27 : 1988
10 "원불교 전서" 원불교정화사 1977
1 김균진, "학문으로서의 신학의 개념에 대한 연구" 45 (45): 1984
2 김경재, "폴 틸리히 신학연구" 대한기독교서회 1987
3 심재관, "탈식민시대 우리의 불교학" 책세상 2001
4 송천은, "종교학적 측면에서 본 원불교학"
5 김성장, "원불교학의 범주와 개념 연구" 원불교사상연구원 (45) : 223-252, 2010
6 한기두, "원불교학의 기초개념" 원광대 원불교학회 6 : 1974
7 정순일, "원불교학과 불교학" 원불교사상연구원 27 : 1988
8 유병덕, "원불교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 원불교학회 (창간) : 1996
9 유병덕, "원불교 해석학의 방향" 원불교사상연구원 27 : 1988
10 "원불교 전서" 원불교정화사 1977
11 김동환, "불교학 개론" 백영사 1954
12 조성택, "불교와 불교학" 돌베개 2012
13 Peter Wood, "다양성-오해와 편견의 역사" 해바라기 2001
14 Aleida Assmann,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출판부 2003
15 김균진, "기독교 조직신학" 연세대학교출판부 1984
16 김광식, "기독교 신학개론" 연세대학교출판부 11-, 1984
17 양은용, "교학수립과 교리해석" 원불교사상연구원 24 : 1985
18 "교단 제3대 3회 설계보고서" 교단 제3대 3회 설계위원회 2012
19 이수창, "自燈明 法燈明의 번역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회 6 : 6-184, 2003
20 末木剛博, "東洋の合理思想" 講談社 1970
21 Hans Kϋng, "Was Ist Kirche" Verlag Herder 1970
22 P. Tillich, "The Protestant Era" The University of Chicago 1973
23 P. Tillich, "Systematlsche Theologie, Ⅱ, Ⅳ" Stuttgdt 1955
24 E. Troeltsch, "Religion in History" Augsburg Fortress Publishers 1990
25 "Mahāvagga⦗The Great Division of Discipline⦘Ⅰ,Ⅱ.1; The Book of Discipline Ⅳ"
26 K. Barth, "Kirchliche Dogmatik Ⅱ" 1960
27 Otto Weber, "Grundlagen der Dogmatik, I" Neukirchen-Vluyn 1955
28 "21세기와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11 : 200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6-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768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