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타이포그래피를 통한 디자인 감상 학습 콘텐츠 연구 - 옥외 간판의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Contents for Appreciation Focusing on Typography in Desig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6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변 생활에서 보이는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와 흥미, 체험의 반영에 유의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 활용의 디자인 감상 학습 콘텐츠 제시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현 디자인교육은 실생활과 유리된 표현 결과물 중심 교육으로 특히 디자인 영역의 감상 학습에 대한 콘텐츠는 아직 빈약한 수준이다. 3학년 교과서 내용에서 ‘문자와 초대장’ 의 단원을 재구성하여 옥외 간판의 타이포그래피 활용을 콘텐츠로 연구한다. 이는 실생활에서 감상 학습으로 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얻고 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학습 방향을 지향한다. 초등 3학년은 언어 구사력이나 미술용어 이해가 미발달되었으므로 미술 전문 용어를 제한하여 반복 사용한다.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강조된 감상 연구와 기호학의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사실분석, 의미분석, 가치분석의 3단계 분석 도구를 재구성하여 타이포그래피 활용의 디자인 교수-학습안으로 제시한다.
      번역하기

      주변 생활에서 보이는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와 흥미, 체험의 반영에 유의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 활용의 디자인 감상 학습 콘텐츠 제시를 본 연구의 목적으...

      주변 생활에서 보이는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와 흥미, 체험의 반영에 유의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 활용의 디자인 감상 학습 콘텐츠 제시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현 디자인교육은 실생활과 유리된 표현 결과물 중심 교육으로 특히 디자인 영역의 감상 학습에 대한 콘텐츠는 아직 빈약한 수준이다. 3학년 교과서 내용에서 ‘문자와 초대장’ 의 단원을 재구성하여 옥외 간판의 타이포그래피 활용을 콘텐츠로 연구한다. 이는 실생활에서 감상 학습으로 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얻고 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학습 방향을 지향한다. 초등 3학년은 언어 구사력이나 미술용어 이해가 미발달되었으므로 미술 전문 용어를 제한하여 반복 사용한다.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강조된 감상 연구와 기호학의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사실분석, 의미분석, 가치분석의 3단계 분석 도구를 재구성하여 타이포그래피 활용의 디자인 교수-학습안으로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notices the value of typography in sign design around city as the subject of for appreciation study, and proposed a three-step analysis system, the semiotic, which helps learners find out intricate signs included in typography, interpret their implications and appreciate their valu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four-fold: to understand education system and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diverse elements including symbols in typography; to get an overall perspective on various aspects of life; and to develop contents for appreciation study which points to help learners perceived values. The necessity of appreciation study comes from the reality that the primary focus of design education is put on outputs abrupt with true life and learners have infrequent moments for learning how to appreciate and evaluate arts, although several efforts are made to integrate fine arts into real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The year of grade 3 is contemplate as an first moment for appreciation study, because in this period young learners develop a wide-ranging sight for fine arts, sense of beauty, particularly of shape, creative and logical thinking and a low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번역하기

      The study notices the value of typography in sign design around city as the subject of for appreciation study, and proposed a three-step analysis system, the semiotic, which helps learners find out intricate signs included in typography, interpret the...

      The study notices the value of typography in sign design around city as the subject of for appreciation study, and proposed a three-step analysis system, the semiotic, which helps learners find out intricate signs included in typography, interpret their implications and appreciate their valu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four-fold: to understand education system and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diverse elements including symbols in typography; to get an overall perspective on various aspects of life; and to develop contents for appreciation study which points to help learners perceived values. The necessity of appreciation study comes from the reality that the primary focus of design education is put on outputs abrupt with true life and learners have infrequent moments for learning how to appreciate and evaluate arts, although several efforts are made to integrate fine arts into real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The year of grade 3 is contemplate as an first moment for appreciation study, because in this period young learners develop a wide-ranging sight for fine arts, sense of beauty, particularly of shape, creative and logical thinking and a low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부자, "초등미술교육 I" 예경 1999

      2 류시천, "정보디자인 유형과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2004

      3 임남숙, "시각 디자인교육 감상학습을 위한 T.V. 광고 활용의 콘텐츠(contens) 연구" 21 (21): 2007

      4 Arthur Asa Berger,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Seeing is Believing)" 미진사 2001

      5 교육 인적 자원부, "미술 3. 교사용 지도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b

      6 교육 인적 자원부, "미술 3"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a

      7 김진규, "문자도의 표현 내용과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001

      8 김성재, "매체미학" 나남 1998

      9 조영제, "디자인사전" 안그라피스 2000

      10 존 A. 워커, "대중 매체 시대의 예술" 열화당 1996

      1 노부자, "초등미술교육 I" 예경 1999

      2 류시천, "정보디자인 유형과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2004

      3 임남숙, "시각 디자인교육 감상학습을 위한 T.V. 광고 활용의 콘텐츠(contens) 연구" 21 (21): 2007

      4 Arthur Asa Berger,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Seeing is Believing)" 미진사 2001

      5 교육 인적 자원부, "미술 3. 교사용 지도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b

      6 교육 인적 자원부, "미술 3"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a

      7 김진규, "문자도의 표현 내용과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001

      8 김성재, "매체미학" 나남 1998

      9 조영제, "디자인사전" 안그라피스 2000

      10 존 A. 워커, "대중 매체 시대의 예술" 열화당 1996

      11 김민수, "김민수의 문화디자인" 다우 2002

      12 안상수, "글자 디자인" 안그라픽스 1986

      13 Philip Duchastel, "Knowledge Interfacing in cyberspace" 1998

      14 Im, Nam-Sook, "Automobilwerbung in zwei Kulturen" Braunschweig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