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유아 보육시설과 응급실에서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 현황 =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in Young Children at a Child Care Center and Hospital in Kore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영유아 보육시설에서의 식품 알레르기를 가진 소아의 관리 현황과 식품에 의한 심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영유아의 진단 및 추후 관리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1) 2010...

      목적: 영유아 보육시설에서의 식품 알레르기를 가진 소아의 관리 현황과 식품에 의한 심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영유아의 진단 및 추후 관리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1) 2010년 4월 서울 소재 어린이집 345개소의 보육 교사를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에 연관된 증상들과 관리 사항에 대해 우편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2) 2002년 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과 안산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0-5세 소아 중 혈관 부종 또는 아나필락시스로 진단받은 환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1) 서울지역 어린이집 345개소의 보육교사들이 참여하였다. 보육시설이 보호자에게 등록된 소아의 식품 알레르기 질환 여부를 조사하는 곳은 243개소였고, 식품에 알레르기가 있는 소아는 492명이었다. 어린이집에서 제한식이가 필요한 소아는 207개소에 있는 461명으로 제한식이를 하는 경우 동일한 영양 성분과 양의 대체식만으로 제공하는 곳은 21개소였다. 급식과 관련하여 식품 알레르기에대한 교육을 받은 보육 교사는 145명이었다. 2)고려대 안 암병원과 안산병원에 2002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혈관 부종과 아나필락시스로 진단받은 환자 중 식품 섭취 후 증상을 보인 환자는 105명 중 30명이었고, 증상 호전 후 알레르기 진문의의 진료를 시행하고 진단을 받은 경우는 7명 이었다. 결론: 이 연구는 일반 영유아 보육시설과 응급실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관리 및 현황에 대한 첫 번째 연구로서 집단 급식에서의 식품 알레르기 발생 위험성에 대해 보육시설 교사와 보호자인 부모가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육시설과 보호자는 식품 알레르기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며,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We studied the management of young children with histories of food allergies at child care centers, along with the diagnosis and follow-up management after a visit to a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ED). Methods: 1) The survey was conducted ...

      Purpose: We studied the management of young children with histories of food allergies at child care centers, along with the diagnosis and follow-up management after a visit to a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ED). Methods: 1)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2010 in Seoul, Korea. Three hundred forty-five child care centers caring for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0 and 5 years were contacted by mail.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dentify symptoms and management of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with histories of food allergies. 2) We studie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angioedema or anaphylaxis between January 2002 and August 2010 in the ED of Korea University. Results: 1) According to the 345 collected questionnaires, 243 child care centers asked parents about their children`s allergic diseases and 492 children had food allergies. A reported 461 children from 207 child care centers had food restrictions. Only 21 child care centers supplied substitute foods with the same amounts and types of nutrients. One hundred forty-five teachers had received education about food allergies. 2) Thirty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anaphylaxis or angioedema after food ingestion. Only seven children visited a physician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ED.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a lack of food allergy education at child care centers and in homes. Child care centers need to be equipped with knowledge to prevent severe allergic reactions. Also, parents should know more about the importance of food allergies in their children.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1;21:32-3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