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자”의 주체노선을 재현하는 ‘미덕’의 드라마, 『녀당원』(김보행, 1982) 연구 = A Study on Kim Bo-haeng's Woman Party Member(1982), a Drama of “Virtues” Representing the Juche-Oriented Line Embodied in “Seed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Kim Bo-haeng's Woman Party Member(1982), which is considered a textbook for Partisanship training in the Juche Period.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look into the emotional structure of the Juche Period contained in the “Seed” which aesthetically embodies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in this text. The “Seed The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is a literary theory which emphasizes that only Suryong’s image in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ultimately embodies the Sollen of revolutionary history. Therefore, the North Korean novel in the Juche period, strictly controlled by “Seed”, is a literary form that justifies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The ultimate Sollen of the revolutionary history, embodied in the Suryong’s image of "Seed" is endlessly encouraging the “sub” Sollen embodied in communist people’s image. In revolutionary narratives such as Woman Party Member, the action of the strongly encouraged people builds the probability of the revolutionary history.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revolutionary narrative with little “sudden happening” is to more strongly represent the probability of revolutionary history pursued by the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The problem is that the content of the Sollen embodied in Suryong’s image is actually just a “declaration.” On the other hand, that of Sollen embodied in communist people’s image following Suryong, that is, the “virtues” that they have to endure all the pains and worries of the revolutionary struggle, is substantial enough to be vividly represented in the revolutionary narrative. In the Juche period, the substantial “virtues” of the people’s image make up for the empty “virtues” of Suryong’s image through superhuman efforts. In particular, the efforts of North Korean women to endure the oppression of the patriarchy at the same time are extreme. This article will contemplate the irony of the revolutionary history of the Juche Period, that is, the ironic deep structure of “Se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Woman Party Member, which actually dramatizes the “virtues” of the people’s image.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Kim Bo-haeng's Woman Party Member(1982), which is considered a textbook for Partisanship training in the Juche Period.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look into the emotional structure of the Juche Period containe...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Kim Bo-haeng's Woman Party Member(1982), which is considered a textbook for Partisanship training in the Juche Period.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look into the emotional structure of the Juche Period contained in the “Seed” which aesthetically embodies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in this text. The “Seed The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is a literary theory which emphasizes that only Suryong’s image in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ultimately embodies the Sollen of revolutionary history. Therefore, the North Korean novel in the Juche period, strictly controlled by “Seed”, is a literary form that justifies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The ultimate Sollen of the revolutionary history, embodied in the Suryong’s image of "Seed" is endlessly encouraging the “sub” Sollen embodied in communist people’s image. In revolutionary narratives such as Woman Party Member, the action of the strongly encouraged people builds the probability of the revolutionary history.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revolutionary narrative with little “sudden happening” is to more strongly represent the probability of revolutionary history pursued by the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The problem is that the content of the Sollen embodied in Suryong’s image is actually just a “declaration.” On the other hand, that of Sollen embodied in communist people’s image following Suryong, that is, the “virtues” that they have to endure all the pains and worries of the revolutionary struggle, is substantial enough to be vividly represented in the revolutionary narrative. In the Juche period, the substantial “virtues” of the people’s image make up for the empty “virtues” of Suryong’s image through superhuman efforts. In particular, the efforts of North Korean women to endure the oppression of the patriarchy at the same time are extreme. This article will contemplate the irony of the revolutionary history of the Juche Period, that is, the ironic deep structure of “Se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Woman Party Member, which actually dramatizes the “virtues” of the people’s im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주체시대 당성 단련의 교과서로 여겨지는 김보행의 녀당원(1982)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일지도체계를 심미적으로 체현하는 “종자”에 내포된 주체시대의 감정구조를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종자론”은 결국 유일지도체계 수령형상이 혁명역사의 당위를 궁극적으로 체현한다는 점을 역설한 문학론이다. 그러므로 “종자”가 통어하는 주체시대의 북한소설은 유일지도체계를 정당화하는 문학적 형상이다.
      수령형상의 “종자”가 체현하는 혁명역사의 궁극적인 당위는 이의 ‘아류’인 인민형상이 체현하는 당위를 끝없이 고무한다. 녀당원과 같은 혁명서사에서는 이렇게 고무되는 인민형상이 불굴의 의지로 혁명투쟁을 하는 행동이 강고한 혁명역사의 개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돌발사’가 드문 혁명서사의 구조는 북한체제가 추구하는 혁명역사의 개연성을 한층 강고하게 재현하는 것이다.
      문제는 수령형상이 체현하는 당위의 내용이 사실상 ‘선언’에 불과하다는 데 있다. 반면에 이를 따르는 인민형상이 체현하는 혁명역사의 당위, 즉 그들이 혁명투쟁의 온갖 고통과 심려를 감내해야만 하는 ‘미덕’은 혁명서사에서 핍진하게 재현될 만큼 실질적인 것이다. 주체시대는 인민형상의 실질적인 ‘미덕’이 수령형상의 공소한 ‘미덕’을 초인간적인 노력으로 벌충하는 모습이다. 특히 가부장제의 억압을 동시에 감내해야 하는 북한 여성의 노력은 가장 극한의 노력이다. 이 글은 결국 인민형상의 ‘미덕’을 서사화하는 녀당원의 재현을 통해 이러한 주체시대 혁명역사의 아이러니, 즉 “종자”의 아이러니한 심층구조를 숙고하게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주체시대 당성 단련의 교과서로 여겨지는 김보행의 녀당원(1982)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일지도체계를 심미적으로 체현하는 “종자”에 내포된 주체시대의 감정구조를 ...

      이 글은 주체시대 당성 단련의 교과서로 여겨지는 김보행의 녀당원(1982)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일지도체계를 심미적으로 체현하는 “종자”에 내포된 주체시대의 감정구조를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종자론”은 결국 유일지도체계 수령형상이 혁명역사의 당위를 궁극적으로 체현한다는 점을 역설한 문학론이다. 그러므로 “종자”가 통어하는 주체시대의 북한소설은 유일지도체계를 정당화하는 문학적 형상이다.
      수령형상의 “종자”가 체현하는 혁명역사의 궁극적인 당위는 이의 ‘아류’인 인민형상이 체현하는 당위를 끝없이 고무한다. 녀당원과 같은 혁명서사에서는 이렇게 고무되는 인민형상이 불굴의 의지로 혁명투쟁을 하는 행동이 강고한 혁명역사의 개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돌발사’가 드문 혁명서사의 구조는 북한체제가 추구하는 혁명역사의 개연성을 한층 강고하게 재현하는 것이다.
      문제는 수령형상이 체현하는 당위의 내용이 사실상 ‘선언’에 불과하다는 데 있다. 반면에 이를 따르는 인민형상이 체현하는 혁명역사의 당위, 즉 그들이 혁명투쟁의 온갖 고통과 심려를 감내해야만 하는 ‘미덕’은 혁명서사에서 핍진하게 재현될 만큼 실질적인 것이다. 주체시대는 인민형상의 실질적인 ‘미덕’이 수령형상의 공소한 ‘미덕’을 초인간적인 노력으로 벌충하는 모습이다. 특히 가부장제의 억압을 동시에 감내해야 하는 북한 여성의 노력은 가장 극한의 노력이다. 이 글은 결국 인민형상의 ‘미덕’을 서사화하는 녀당원의 재현을 통해 이러한 주체시대 혁명역사의 아이러니, 즉 “종자”의 아이러니한 심층구조를 숙고하게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형준, "혁명적 랑만성의 풍만한 구현을 위하여" 54-67, 1964

      2 김재하, "혁명가요에서의 혁명적랑만성" 63-68, 1967

      3 김정애, "충성의 한길로 이끌어주는 장편소설 녀당원" 54-55, 1990

      4 오창은, "주체의 환영: 북한 문예이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 경진 15-42, 2011

      5 한중모, "주체의 문예리론 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83

      6 김정웅, "종자와 작품창작" 사회과학출판사 1987

      7 리동원, "작품의 주인공" 문예출판사 1990

      8 신구현, "우리의 혁명문학은 공산주의 인간학으로 되어야 한다" 97-99, 1974

      9 박춘택, "우리 식 소설의 특징적면모를 과시한 장편소설 녀당원" 42-46, 1990

      10 김정일, "영화예술론" 문예출판사 1973

      1 장형준, "혁명적 랑만성의 풍만한 구현을 위하여" 54-67, 1964

      2 김재하, "혁명가요에서의 혁명적랑만성" 63-68, 1967

      3 김정애, "충성의 한길로 이끌어주는 장편소설 녀당원" 54-55, 1990

      4 오창은, "주체의 환영: 북한 문예이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 경진 15-42, 2011

      5 한중모, "주체의 문예리론 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83

      6 김정웅, "종자와 작품창작" 사회과학출판사 1987

      7 리동원, "작품의 주인공" 문예출판사 1990

      8 신구현, "우리의 혁명문학은 공산주의 인간학으로 되어야 한다" 97-99, 1974

      9 박춘택, "우리 식 소설의 특징적면모를 과시한 장편소설 녀당원" 42-46, 1990

      10 김정일, "영화예술론" 문예출판사 1973

      11 장문정, "여성성, 그 타자성의 역사 ―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계보학" 대동철학회 (20) : 11-258, 2003

      12 윤기덕, "수령에 대한 충실성을 인생관화한 참된 당원의 빛나는 형상 장편소설 녀당원 에 대하여" 74-79, 1990

      1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과학원, "북한의 문예이론 :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이론" 인동 1989

      14 심영희, "북한여성의 인권: 실태와 요인" 아시아여성연구원 45 (45): 148-194, 2006

      15 이상화, "북한여성의 윤리 : 집단주의 윤리관과 북한여성의 삶" 한국여성학회 13 (13): 147-175, 1997

      16 이인표, "북한소설의 구조 연구 김병훈의 소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20

      17 신형기, "북한문학사 : 항일혁명문학에서 주체문학까지" 평민사 2000

      18 김려숙, "당성단련을 위한 교과서 장편소설 녀당원" 44-46, 1999

      19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20"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20 이태섭, "김일성 리더십 연구" 들녘 2001

      21 김선려, "고결한 신념, 불굴의 의지를 지닌 녀당원의 형상 장편소설 녀당원 에 대하여" 24-, 2008

      22 김석향, "“남녀평등”과 “여성의 권리”에 대한 북한당국의 공식담론 변화: 1950년 이전과 1979년 이후 조선녀성기사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0 (10): 25-50, 2006

      23 김재용, "[단행본] 북한 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지성사; 서울 1994

      24 Peter Brooks,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 Balzac, Henry James, melodrama, and the mode of excess" Yale University Press 1976

      25 Seymour Chatman, "Story and discourse :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

      26 Max Pensky, "Melancholy dialectics : Walter Benjamin and the play of mourning"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93

      27 Judith Butler, "Gender trouble :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1999

      28 김정일, "(김정일)주체문학론 : 1992년 1월 20일" 조선로동당출판사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6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