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로콜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White Breads Enhanced with Broccoli (Brassica oleracea L.) Pow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33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white breads enhanced with broccoli powder (BP) (0%, 2.5%, 5.0%, 7.5% and 10.0%). L-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BP, but a- and b-values increased (p<0.05). Baking loss rate, bread volume, and specific volume were reduced with the addition of BP, whereas the pH of the dough and bread weight increased. The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breads with B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breads (p<0.05). Upon sensory evaluation, the 2.5% and 5.0% BP bread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flavor, taste, texture, or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with controls (p<0.05).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read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BP content (p<0.05). Accordingly, bread quality can be improved by the substitution of 5% BP in place of flour.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white breads enhanced with broccoli powder (BP) (0%, 2.5%, 5.0%, 7.5% and 10.0%). L-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BP, but a- and b-values inc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white breads enhanced with broccoli powder (BP) (0%, 2.5%, 5.0%, 7.5% and 10.0%). L-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BP, but a- and b-values increased (p<0.05). Baking loss rate, bread volume, and specific volume were reduced with the addition of BP, whereas the pH of the dough and bread weight increased. The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breads with B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breads (p<0.05). Upon sensory evaluation, the 2.5% and 5.0% BP bread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flavor, taste, texture, or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with controls (p<0.05).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read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BP content (p<0.05). Accordingly, bread quality can be improved by the substitution of 5% BP in place of flou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민우, "추출용매에 따른 브로콜리의 항산화와 항염증에 대한 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461-465, 2012

      2 김민아, "참죽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9 (29): 111-118, 2014

      3 김원모, "찰흑미를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찰흑미를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 13 (13): 178-185, 2007

      4 김지영, "조리된 브로콜리의 항산화 효과 및 Sulforaphane 함량 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564-569, 2009

      5 김영숙, "연근 분말 첨가가 제빵의 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8 (18): 413-425, 2002

      6 배종호, "양파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124-1128, 2003

      7 이선호, "양배추 분말 첨가가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74-680, 2010

      8 정순경, "솔잎 발효액이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154-159, 2007

      9 오유성, "브로콜리잎 분말 첨가 재래식 고추장의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675-681, 2013

      10 임은정, "브로콜리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210-215, 2009

      1 장민우, "추출용매에 따른 브로콜리의 항산화와 항염증에 대한 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461-465, 2012

      2 김민아, "참죽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9 (29): 111-118, 2014

      3 김원모, "찰흑미를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찰흑미를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 13 (13): 178-185, 2007

      4 김지영, "조리된 브로콜리의 항산화 효과 및 Sulforaphane 함량 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564-569, 2009

      5 김영숙, "연근 분말 첨가가 제빵의 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8 (18): 413-425, 2002

      6 배종호, "양파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124-1128, 2003

      7 이선호, "양배추 분말 첨가가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74-680, 2010

      8 정순경, "솔잎 발효액이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154-159, 2007

      9 오유성, "브로콜리잎 분말 첨가 재래식 고추장의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675-681, 2013

      10 임은정, "브로콜리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210-215, 2009

      11 임은정, "브로콜리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873-880, 2010

      12 오재복, "브로콜리 줄기 분말을 혼합한 파운드 케익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24 (24): 567-576, 2011

      13 석대은, "브로콜리 용매추출물의 Bioactive Organosulfur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315-319, 2003

      14 이재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콜레스테롤 저하 및 비만 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309-318, 2009

      15 김찬희, "브로콜리 분말이 첨가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2 (42): 459-467, 2010

      16 김미선, "브로콜리 꽃송이 및 줄기의 항산화, 항균 및 대장암 세포 생육억제효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2 (42): 58-66, 2014

      17 박양원, "고온에서의 브로콜리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759-764, 2005

      18 이혜정, "고수 잎 분말과 브로콜리 줄기 분말을 혼합한 파운드 케이크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5 (25): 436-446, 2012

      19 이선호, "가시오가피 추출액 첨가가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487-493, 2010

      20 Kim MR,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ximate components, minerals, vitamin C cont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juices of kale and broccoli leaves" 28 (28): 1201-1207, 1999

      21 Ludikhuyze L, "The activity of myrosinase from broccoli(Brassica oleracea L. cv. Italica) : Influence of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63 (63): 400-403, 2000

      22 Pyler EJ.,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s.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Vol. II" Sosland Pub. Co. 891-895, 1979

      23 Civille GV, "Guidelines to training a texture profile panel" 4 (4): 204-223, 1973

      24 Yu JH,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Tamgudang Publishing Co. 427-428, 1975

      25 Kim MR, "Effect of processing on the content of sulforaphane of broccoli" 13 (13): 422-426, 1997

      26 Kurilich AC, "Carotene, tocopherol, and ascorbate contents in subspecies of Brassica oleracea" 47 (47): 1576-1581, 1999

      27 Roels SP, "Bread volume potential of variable quality flours with constant protein level as determined by factors governing mixing time and baking absorption levels" 70 (70): 318-323, 1993

      28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29 Yang R, "A study on the amino-carbonyl reaction" 12 (12): 88-96,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4-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KCI등재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6 2.01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