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함경감사가 작성한 감영(순력)일기인 윤양래의 “관북일기”와 “순력일록”, 심수의 “동북안사록” 중 ‘북행일록’, ‘북순일기’를 통해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 노정과 기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27983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4-91(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함경감사가 작성한 감영(순력)일기인 윤양래의 “관북일기”와 “순력일록”, 심수의 “동북안사록” 중 ‘북행일록’, ‘북순일기’를 통해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 노정과 기간,...
본 논문은 함경감사가 작성한 감영(순력)일기인 윤양래의 “관북일기”와 “순력일록”, 심수의 “동북안사록” 중 ‘북행일록’, ‘북순일기’를 통해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 노정과 기간, 순력 중의 주요 업무 및 함경도 순력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은 조선시대 6대로 중의 하나인 경흥로를 거의 그대로 이용하며, 따라서 경흥로 상의 역참이 중요한 경유지가 된다. 대로를 이용한 순력은 산세가 험한 함경도의 지역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감영처 함흥을 중심으로 북순과 남순으로 나누어 시행하는데, 남쪽에 치우친 함흥의 위치로 말미암아 행영과 두만강 하구 관방지역 진, 보에 이르는 북순의 경로가 긴 것에 비하여, 안변에 이르는 남순은 경로와 기간이 짧다. 북순은 관문 취점, 윤조, 길주 별과, 유생백일장과 무사 시사 등이 순력의 주요 업무이며, 남순은 영흥의 준원전, 문천의 숙릉, 안변의 지릉 등 왕실사적과 능침의 봉심이 주요 업무가 된다. 한편 순력 중 경승의 유람을 포함한 행로를 잡기도 하였는데, 북관10경이 유람의 주요한 대상이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outes, periods, and characteristics of Hamkyung-Gamsa"s Sulryeok(巡歷) and his major duties during the Sulryeok. For this purpose, all hitherto known Hamkyung-Gamsa"s official diaries, such as "Gwanbukilgi(關北日記)", "S...
This study examined the routes, periods, and characteristics of Hamkyung-Gamsa"s Sulryeok(巡歷) and his major duties during the Sulryeok. For this purpose, all hitherto known Hamkyung-Gamsa"s official diaries, such as "Gwanbukilgi(關北日記)", "Sunryeokilrok(巡歷日錄)" and "Buksunilgi(北巡日記)", "Bukhaengilrok(北行日錄)" of "Dongbukansarok(東北按使錄)", were investigated closel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Hamkyung-Gamsa"s Sulryeok routes almost took the Gyeongheungro, which was one of the six main roads in the Joseon dynasty. The use of this road as the Sulryeok route was attributed to the rough terrain. 2) The Sulryeok routes were divided into two ways: the north and south routes centering on HamheungGamyoung. As Hamheung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Hamgyeong-do, the northern Sulryeok route, which reached the downstream side of the Tuman River and border defense facilities, was long and took a long period of time. 3) Hamkyung-Gamsa"s major duties during the northern Sulryeok route were to check the border defense facilities and hold literary and archery contests and special state examinations, especially in Gilju. His major duties during the southern Sulryeok route were to inspect and maintain the royal tombs and historical landmarks, such as Junwonjeon, Sukreung, Jireung. 4) Sometimes the routes of Hamkyung-Gamsa"s Sulryeok included some sightseeing spots, which were famous for ten scenic spots of Bukgw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S. J. Yeo, "The Hamgyeong-Gamsa’s Sulrye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42-44, 2015
2 S. J. Yeo, "The Co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Transition of Gaeksa in Joseon Dynast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3 "The Bukdoneungjeonji"
4 Y. R. Yoon, "Sunryeokilrok"
5 Kyung-Ho Shim, "Sanmun Kihaeng" Igaseo 2007
6 "Joseon-Gojeokdobo vol. 11"
7 "Joseon Dynasty Personal Diary 2 - Incheon・Gyeonggi"
8 "Historical Maps and Topographical Landscap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9 Y. R. Yoon, "Gwanbukilgi"
10 S. Shim, "Dongbukansarok"
1 S. J. Yeo, "The Hamgyeong-Gamsa’s Sulrye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42-44, 2015
2 S. J. Yeo, "The Co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Transition of Gaeksa in Joseon Dynast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3 "The Bukdoneungjeonji"
4 Y. R. Yoon, "Sunryeokilrok"
5 Kyung-Ho Shim, "Sanmun Kihaeng" Igaseo 2007
6 "Joseon-Gojeokdobo vol. 11"
7 "Joseon Dynasty Personal Diary 2 - Incheon・Gyeonggi"
8 "Historical Maps and Topographical Landscap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9 Y. R. Yoon, "Gwanbukilgi"
10 S. Shim, "Dongbukansarok"
11 J. A. Park, "A Study on Real-view landscape paintings of Gwanseo and Gwanbuk Region in the Joseon Dynast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46-48, 2010
12 H. K. Lee, "A Study of Local Buling Administration in Later Joseon" Jip-Moon-Dang 1999
13 여상진, "18世紀 忠淸監司의 監營處 및 道內 邑治施設 利用 - 交龜, 巡歷 및 行禮를 中心으로 -" 한국산학기술학회 9 (9): 143-153, 2008
14 여상진, "18C末 황해감사 徐邁修의 집무와 해주목 관영시설의 이용 -“海營日記”(徐邁修)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4244-4252, 2012
탄성지반위에 놓인 비국소 자기-전기-탄성 나노 판의 구조안정해석
와이어 컷 방전가공 시 프레스금형 수명 향상에 대한 고찰
수평파력 발전장치의 진자형 1차 에너지 추출 시스템에 대한 기초 모형실험 및 시뮬레이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