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평가체형과 체력수준 및 운동빈도가 중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ubjective Physique, Fitness Level & Exercise Frequency on Social Physique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806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ubjective physique, fitness level and exercise frequency have effects on the social physique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410 subjects (male: 194, female: 216) participated in the study by completing the relevant questionnaires. Data analyses were done by independent t-test or MANOVA using PASW 18.0 Statistics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the social physique anxi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gender ( p<.001), the RBW ( p<.001), the degree of physique misconception ( p<.01), the subjective physique ( p<.001), the fitness level ( p<.01), and the exercise frequency ( p<.01). It was concluded that a new educational program which can improve students` body image positively and reduce social physique anxiety must b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ubjective physique, fitness level and exercise frequency have effects on the social physique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410 subjects (male: 194, female: 216) participated in the study by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ubjective physique, fitness level and exercise frequency have effects on the social physique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410 subjects (male: 194, female: 216) participated in the study by completing the relevant questionnaires. Data analyses were done by independent t-test or MANOVA using PASW 18.0 Statistics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the social physique anxi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gender ( p<.001), the RBW ( p<.001), the degree of physique misconception ( p<.01), the subjective physique ( p<.001), the fitness level ( p<.01), and the exercise frequency ( p<.01). It was concluded that a new educational program which can improve students` body image positively and reduce social physique anxiety must b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봉순, "한․일 여대생의 자기 체형인식 및 체형 불안도에 관한 비교 연구" 15 (15): 435-442, 2000

      2 천경민, "청소년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 운동지능과 운동지속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9 (49): 309-319, 2010

      3 표내숙, "청소년기 여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상과 스포츠 자신감" 교과교육연구소 13 (13): 197-212, 2009

      4 김현숙, "직업무용수의 신체상 자기지각차이가 사회적 체형불안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68 (68): 67-86, 2011

      5 최영준, "자기평가체형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51-62, 2003

      6 허은실, "일부 청소년의 체중조절과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 , 신체만족도 및 중요도 , 신체적 특성과 체형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8 (8): 658-666, 2003

      7 구본칠, "운동선수와 일반대학생의 사회적 체형 불안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499-508, 2004

      8 배윤정, "여중생의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만족도, 식습관, 비만관련스트레스 그리고 운동습관에 대한 조사"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881-890, 2004

      9 조성은, "여자 청소년들의 비만도,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5 (5): 129-140, 2004

      10 한태준, "여성무용수의 무용 활동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과 정서" 한국체육학회 47 (47): 365-375, 2008

      1 최봉순, "한․일 여대생의 자기 체형인식 및 체형 불안도에 관한 비교 연구" 15 (15): 435-442, 2000

      2 천경민, "청소년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 운동지능과 운동지속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9 (49): 309-319, 2010

      3 표내숙, "청소년기 여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상과 스포츠 자신감" 교과교육연구소 13 (13): 197-212, 2009

      4 김현숙, "직업무용수의 신체상 자기지각차이가 사회적 체형불안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68 (68): 67-86, 2011

      5 최영준, "자기평가체형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51-62, 2003

      6 허은실, "일부 청소년의 체중조절과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 , 신체만족도 및 중요도 , 신체적 특성과 체형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8 (8): 658-666, 2003

      7 구본칠, "운동선수와 일반대학생의 사회적 체형 불안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499-508, 2004

      8 배윤정, "여중생의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만족도, 식습관, 비만관련스트레스 그리고 운동습관에 대한 조사"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881-890, 2004

      9 조성은, "여자 청소년들의 비만도,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5 (5): 129-140, 2004

      10 한태준, "여성무용수의 무용 활동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과 정서" 한국체육학회 47 (47): 365-375, 2008

      11 정덕조, "여대생들의 비만정도가 체중조절 행위, 신체상, 자기 효능감, 건강증진 행위 및 정신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5 (15): 365-376, 2006

      12 박지은, "여고생의 BMI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폭식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175-181, 2009

      13 보건복지부, "비만은 체질이 아니라 질병이다" 2006

      14 김옥경, "무용활동이 자아개념 및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7

      15 백혜원, "무용전공 여대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 자기 신체평가·자기-존중심·정신건강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16 이진희, "무용수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내재화가 대상화된 신체의식, 사회적 체형불안 및 섭식장애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81-91, 2009

      17 정용민, "대학생의 지각된 신체상 불일치에 따른 신체불만족과 사회적 체형불안" 한국체육과학회 20 (20): 423-437, 2011

      18 정용민, "대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객체화된 신체의식, 사회적 체형 불안이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3) : 959-971, 2011

      19 이영돈, "논리로 풀다 21회(다이어트중독의 불편한 진실)"

      20 김정순, "남녀 중학생의 체형인식 및 식생활 태도와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23-139, 2009

      21 이정숙, "경남지역 중학생의 체형에 따른 식생활태도 ,식이자기효능감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8 (8): 171-180, 2003

      22 Motl, R. W., "Validity and factorial invariance of the social physique anxiety scale" 32 (32): 1007-1017, 2000

      23 Hart, E. A., "The measurement of socialphysique anxiety" 11 : 94-104, 1989

      24 Fox, K. R., "The effects of exercise on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In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outhledge & Kegan Paul 88-118, 2000

      25 Lindwall. M., "The effects of a 6-month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on physical self-perceptions and social physique anxiety in non-physically active adolescent Swedish girls" 6 : 643-658, 2005

      26 Sorensen, T. I., "The accuracyof reports of weight : children's recall oftheir parents weights 15years earlier" 7 (7): 115-122, 1983

      27 Angela, M. T., "The Relationship of social physique anxiety to risk for developing an eating disorder in young females" 31 : 83-95, 2002

      28 이미숙, "TV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0

      29 Hausenblas, H. A., "Self-presentation and exercise" 16 : 3-18, 2004

      30 Fox, K. R., "Self-esteem, self-perceptions, and exercise" 31 : 228-240, 2000

      31 Brown, E., "Self-concept change in the exercise of personal agency" 2 : 128-163, 1982

      32 Sohn, S. K.,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self-esteem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8 (8): 160-171, 2001

      33 Ryu, H. Y., "Relations of perception of obesity and experiences of weight control and body image in high school students" 3 (3): 202-209, 1998

      34 Braet, C., "Psychological aspects ofchildhood obesity : A controlled studyin a clinical and nonclinical sample" 22 (22): 59-71, 1997

      35 Thomas, D. R,, "Mediators of affective responses to acute exercise among women with high social physique anxiety" 10 : 573-578, 2009

      36 Bartlewski, P. P.,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the social physique anxiety and body esteem of female college students" 5 : 49-62, 1996

      37 McCreary, D. R., "Drive for muscularity, body comparison, and social physique anxiety in men and women" 6 : 24-30, 2009

      38 Hausenblas, H. A., "Comparison of body image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 A meta-analytic review" 13 : 323-339, 2001

      39 질병관리본부, "2007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 도표" 2007

      40 보건복지부, "2005 청소년건강행태조사보고서" 질병관리본부 2006

      41 한소연,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중년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건강관련체력 및 사회적 체형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8 1.732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