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연길 도보관광객의 체험경제요소가 감정적 애착과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친환경 정체성 조절효과 = Effects of Experiential Economic Factors on Emotional Attachment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Among Nature-based Walking Tourist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Environmental Ident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83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자연길 도보관광객의 걷기 체험과 주변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 및 행동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자연길 도보관광객의 네 가지 체험경제요소(교육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일탈적 체험)가 감정적 애착과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친환경 정체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자료수집은 2023년 3월, 온라인 전문 설문조사 업체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최근 1년 이내 자연자원을 기반으로 한 걷기여행길에서 1시간 이상 걷기 체험을 한 도보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53부의 유효표본을 수집하여, SPSS 26.0 및 AMOS 26.0를 활용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체험경제 요인(교육적, 심미적, 일탈적)은 감정적 애착에 유의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 확인되었다. 둘째, 감정적 애착은 친환경 행동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친환경 정체성은 감정적 애착과 친환경 행동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학술적 시사점은 체험경제 요인을 도보관광분야로 적용하여 도보관광객의 친환경행동에 관한 학문적 범위를 확대하였고, 특히, 도보관광객의 친환경 정체성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규명한 점이다. 또한, 관계 기관 및 지방정부 실무자들이 관광정책을 수립할 때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자연길 도보관광객의 걷기 체험과 주변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 및 행동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자연길 도보관광객의 네 가지 체험경제요...

      이 연구는 자연길 도보관광객의 걷기 체험과 주변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 및 행동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자연길 도보관광객의 네 가지 체험경제요소(교육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일탈적 체험)가 감정적 애착과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친환경 정체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자료수집은 2023년 3월, 온라인 전문 설문조사 업체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최근 1년 이내 자연자원을 기반으로 한 걷기여행길에서 1시간 이상 걷기 체험을 한 도보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53부의 유효표본을 수집하여, SPSS 26.0 및 AMOS 26.0를 활용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체험경제 요인(교육적, 심미적, 일탈적)은 감정적 애착에 유의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 확인되었다. 둘째, 감정적 애착은 친환경 행동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친환경 정체성은 감정적 애착과 친환경 행동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학술적 시사점은 체험경제 요인을 도보관광분야로 적용하여 도보관광객의 친환경행동에 관한 학문적 범위를 확대하였고, 특히, 도보관광객의 친환경 정체성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규명한 점이다. 또한, 관계 기관 및 지방정부 실무자들이 관광정책을 수립할 때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alking experiences of nature-based walking tourists and their perceptions and behaviors regarding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Specifically,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we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experiential economy factors(education, entertainment, esthetic, and escapism) of nature-based walking tourists and their emotional attachment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in particula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environmental ident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March 2023 through an online survey company, targeting nature-based walking tourists who had traveled on nature-based trails for at least an hour within the past year. A total of 353 vali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experiential economy factors (education, aesthetic, and escapism) were confirmed as antecedent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emotional attachment. Second, emotional attachment was confirmed to enhance pro-environmental behavior. Third, pro-environmental identity was found to be a crucial factor in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ttachment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cademic implication is that the academic scope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walking tourists was expanded by applying the experiential economy factor to the field of walking tourism,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ro-environmental identity of walking tourists has a moderating effect. In addition,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local government practition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developing tourism polici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alking experiences of nature-based walking tourists and their perceptions and behaviors regarding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Specifically,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we aimed to identify the 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alking experiences of nature-based walking tourists and their perceptions and behaviors regarding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Specifically,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we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experiential economy factors(education, entertainment, esthetic, and escapism) of nature-based walking tourists and their emotional attachment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in particula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environmental ident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March 2023 through an online survey company, targeting nature-based walking tourists who had traveled on nature-based trails for at least an hour within the past year. A total of 353 vali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experiential economy factors (education, aesthetic, and escapism) were confirmed as antecedent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emotional attachment. Second, emotional attachment was confirmed to enhance pro-environmental behavior. Third, pro-environmental identity was found to be a crucial factor in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ttachment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cademic implication is that the academic scope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walking tourists was expanded by applying the experiential economy factor to the field of walking tourism,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ro-environmental identity of walking tourists has a moderating effect. In addition,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local government practition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developing tourism polic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