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경영향평가 검토지원을 위한 생성형 AI의 시범적용과 확대 방향 = Pilot Application and Expansion Direction of Generative AI for the Review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21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환경영향평가서 검토는 환경영향평가 내용 및 절차의 전문성, 객관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1997년 환경영향평가법 개정 이후 최근까지 법적 근거에 따라 단일의 국책연구기관이 독립적이며 독점적으로 그 역할을 지원해 왔다. 이와 관련하여 2021년에는 다양한 검토의견 확보 차원에서 검토기관의 분산화 및다원화가 진행되었으나, 검토의견의 독립성 및 일관성에 한계가 상존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다른 한편으로2022년 11월에OpenAI의 ChatGPT가 소개되면서 생성형 AI의 활용이 증가해 왔으며 최근에는 일상, 업무, 그리고 연구에까지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그간의 환경영향평가서 검토 역량 활용과 최근 분산/다원화된 기관들의검토의견 균형성 확보 목적으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영향평가서 검토지원을 위한 생성형 AI의 시범적인 구축과 향후 방법론적 제도적 확대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환경영향평가 제도 내에서 운영되는 건강영향평가 관련 내용의 검토지원을 위한 생성형 AI 시스템을시범적으로 구축하여 활용 사항을 정리하였다. 이와 더불어 환경영향평가서 검토의 절차, 내용, 이해관계자 등을 구체화하여 방법론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에서 도입 시 고려사항을 검토하여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환경영향평가서 검토는 환경영향평가 내용 및 절차의 전문성, 객관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1997년 환경영향평가법 개정 이후 최근까지 법적 근거에 따라 단일의 국책연구기...

      환경영향평가서 검토는 환경영향평가 내용 및 절차의 전문성, 객관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1997년 환경영향평가법 개정 이후 최근까지 법적 근거에 따라 단일의 국책연구기관이 독립적이며 독점적으로 그 역할을 지원해 왔다. 이와 관련하여 2021년에는 다양한 검토의견 확보 차원에서 검토기관의 분산화 및다원화가 진행되었으나, 검토의견의 독립성 및 일관성에 한계가 상존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다른 한편으로2022년 11월에OpenAI의 ChatGPT가 소개되면서 생성형 AI의 활용이 증가해 왔으며 최근에는 일상, 업무, 그리고 연구에까지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그간의 환경영향평가서 검토 역량 활용과 최근 분산/다원화된 기관들의검토의견 균형성 확보 목적으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영향평가서 검토지원을 위한 생성형 AI의 시범적인 구축과 향후 방법론적 제도적 확대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환경영향평가 제도 내에서 운영되는 건강영향평가 관련 내용의 검토지원을 위한 생성형 AI 시스템을시범적으로 구축하여 활용 사항을 정리하였다. 이와 더불어 환경영향평가서 검토의 절차, 내용, 이해관계자 등을 구체화하여 방법론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에서 도입 시 고려사항을 검토하여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view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is a crucial process to ensure the expertise and objectivity of the content and procedur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Since the amend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in 1997, a singl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has independently and exclusively supported this role based on legal grounds. In 2021, in an effort to secure a more diverse range of review opinions, there was a movement towards decentr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review institutions.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limitations in the independence and consistency of these review opinions. Meanwhile, with the introduction of OpenAI’s ChatGPT in November 2022, the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increased, becoming common in daily life, work, and research. This has led to discussions about the potential use of generative AI to leverage existing EIA review capabilities and ensure a balanced range of opinions from the recently decentralized and diversified institu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ilot implementation and future methodological and institutional expansion of generative AI to support the review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To achieve this, a generative AI system was initially developed and tested to support the review of content related to Health Impact Assessment within the EIA framework.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this pilot system were documented. Additionally, by specifying the procedures, content, and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EIA review process, this paper suggests considerations for its expansion from both methodologic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번역하기

      The review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is a crucial process to ensure the expertise and objectivity of the content and procedur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Since the amend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i...

      The review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is a crucial process to ensure the expertise and objectivity of the content and procedur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Since the amend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in 1997, a singl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has independently and exclusively supported this role based on legal grounds. In 2021, in an effort to secure a more diverse range of review opinions, there was a movement towards decentr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review institutions.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limitations in the independence and consistency of these review opinions. Meanwhile, with the introduction of OpenAI’s ChatGPT in November 2022, the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increased, becoming common in daily life, work, and research. This has led to discussions about the potential use of generative AI to leverage existing EIA review capabilities and ensure a balanced range of opinions from the recently decentralized and diversified institu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ilot implementation and future methodological and institutional expansion of generative AI to support the review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To achieve this, a generative AI system was initially developed and tested to support the review of content related to Health Impact Assessment within the EIA framework.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this pilot system were documented. Additionally, by specifying the procedures, content, and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EIA review process, this paper suggests considerations for its expansion from both methodologic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