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치매환자와 주 부양자의 관계에 따른 돌봄 부담 요인 = Effect of the Burden of Ca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with Dementia and Main Caregiv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4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주 부양자의 특성별 맞춤형 프로그램과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치매정책 사업지침 내 가족지원사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주 부양자의 특성별 맞춤형 프로그램과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치매정책 사업지침 내 가족지원사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의 주 부양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우울의 정도와 치매태도, 부양부담, 치매환자의 정신행동증상 여부를 포함한 자가기입 돌봄부담 분석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각각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와 Dementia Attitude Scale: DAS, Short Zarit Burden Inventory: S-ZBI로 평가하였고, 치매환자의 정신행동증상 여부는 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NPI-Q를 통해 치매환자의 심한정도 및 보호자의 고통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치매안심센터 내 가족지원사업의 서비스 요구도를 5가지 명목척도로 조사 하였다. 연구조사 방법은 우편 및 대면 설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대한 설명 및 동의를 포함한 설문지를 총 423부를 배부하여 이 중 152부를 회수하였고, 응답에 충실하지 못한 41부를 제외하여 최종 111부룰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치매환자와 주 부양자의 관계에 따른 돌봄부담을 비교한 결과 환자의 정신행동증상여부 (p<.05)에서 배우자 외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매환자의 특성과 부양자의 돌봄 부담에 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환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환자의 연령과 부양자 간의 관계가 치매태도에 있어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치매안심센터 내 가족지원사업 운영 추진 시 주 부양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환자와의 관계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necessary to propose customized programs and support plans for each characteristic of the Caregiver s who use the Center for dementia. Methods : The subjects were the Caregiver of dementia...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necessary to propose customized programs and support plans for each characteristic of the Caregiver s who use the Center for dementia. Methods : The subjects were the Caregiver of dementia patients registered at the Center for dementia at the public health cent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of the subjects were evaluated a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Dementia Attitude Scale: DAS, and the Caregiver’s support burden was evaluated as Short Zarit Burden Inventory: S-ZBI, and whethe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Scale (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NPI-Q)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dementia patients and the degree of pain of caregiver.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rvice needs of the family support project of the Center for Dementia,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mail and face-to-face interviews. A total of 423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52 of them were recovered, and the final 111 cop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excluding 41 copies that were not faithful to the survey. Results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urden of car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p<.05). In addi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patien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 burden of dependents and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patient s age. Conclusion : The Center for dementia needs to organize a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 of dementia patients, and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should be conside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승진, "한글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불안의학회 6 (6): 119-124, 2010

      2 오병훈, "한국판 Neuropsychiatric Inventory로 본 치매 단계에 따른 행동 · 정신증상 특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3 (43): 596-602, 2004

      3 김재민, "치매환자 부양자의 부양부담 결정인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1106-1113, 2001

      4 오병훈, "치매의 행동•정신 증상 진단 및 관리" 대한의사협회 52 (52): 1048-1054, 2009

      5 권애령, "치매안심센터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주부양자의 스트레스와 만족도 :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628-636, 2020

      6 손정아, "치매노인 배우자의 적응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가정간호학회 25 (25): 184-196, 2018

      7 신혜리, "치매 경험, 사회적 지지가 치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건강정보 이해능력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701-714, 2020

      8 이은자, "지역주민의 치매 인식도, 치매 태도 및 우울에 대한 조사연구" 동서간호학연구소 23 (23): 180-189, 2017

      9 이혜경,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6 (36): 1373-1384, 2019

      10 유봉구, "노인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 증상과 부양부담과의 관계" 대한치매학회 7 (7): 1-9, 2008

      1 박승진, "한글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불안의학회 6 (6): 119-124, 2010

      2 오병훈, "한국판 Neuropsychiatric Inventory로 본 치매 단계에 따른 행동 · 정신증상 특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3 (43): 596-602, 2004

      3 김재민, "치매환자 부양자의 부양부담 결정인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1106-1113, 2001

      4 오병훈, "치매의 행동•정신 증상 진단 및 관리" 대한의사협회 52 (52): 1048-1054, 2009

      5 권애령, "치매안심센터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주부양자의 스트레스와 만족도 :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628-636, 2020

      6 손정아, "치매노인 배우자의 적응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가정간호학회 25 (25): 184-196, 2018

      7 신혜리, "치매 경험, 사회적 지지가 치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건강정보 이해능력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701-714, 2020

      8 이은자, "지역주민의 치매 인식도, 치매 태도 및 우울에 대한 조사연구" 동서간호학연구소 23 (23): 180-189, 2017

      9 이혜경,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6 (36): 1373-1384, 2019

      10 유봉구, "노인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 증상과 부양부담과의 관계" 대한치매학회 7 (7): 1-9, 2008

      11 Hong, S. H., "The impact of care burden on depression symptom in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aekseok University 2017

      12 Gwon, Y. J., "The cognitive state & Behavioraland Psychological symptoms and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Dementia :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 giver’s dementia attitud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9

      13 Choi, S. N., "The burden according to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giver attitudes to dementia symptoms" Hayang University 2019

      14 Oh, M. S., "The Satisfaction of Dementia senior citizens' dependents using Day⋅Night Care Center"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18

      15 Kim, B. Y., "The Factors Influencing on Caregivers Burden by severity of Dementia" The Catholic University 2019

      16 Kang, S, H., "The Effect of Caregiving on Suicidal Thoughts among Primary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2020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4th (‘21~’25)Korean national dementia plans" 2020

      18 Kyung-Yeon Park, "Reliability, Validi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7 (7): 71-78, 2017

      19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 Kyung Choon Lim, "Influencing Factors on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for Elders with Dementia: Focusing on Family Caregivers using a Support Center for Dementia"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5 (25): 136-147, 2019

      21 Doo, N. H., "Factors influencing caregivers burden as spous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Sahmyook University 2018

      22 Gwak, J. S., "Depression of dementia family member by generation composition" Yonsei University 2020

      23 Korea Dementia Association., "Dementia A Clincal Approach" ACADEMYA 2011

      24 Jang, Y. J., "Correlation between the acceptance of medicalized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9

      25 Ryu, Y. T., "A Study about Caregiving Burden and Depression of Dementia Caregivers :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7

      26 Jo, H. Y., "A Qualitative Study on Daughter-inlaw’s Experience of Care Process for Parents-in-law with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Sahmyook University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