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건강성과 우울의 관계에 인지된 장애 수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장애인의 삶 패널조사(1차~4차)중 4...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21286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37-344(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건강성과 우울의 관계에 인지된 장애 수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장애인의 삶 패널조사(1차~4차)중 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건강성과 우울의 관계에 인지된 장애 수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장애인의 삶 패널조사(1차~4차)중 4차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설문조사에 참여한 장애인의 비장애 형제자매 중 조건에 부합하는 284명을 최종 선정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모형 검증에는 Process Macro 4.2버전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은 우울에 부적인 유의성을 보였다. 둘째, 가족건강성은 비장애 형제자매가 인지하는 장애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지된 장애수용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된 장애수용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진다. 이를 토대로 장애인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형제자매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심리적 지원의 필요성, 장애인 가정의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 등의 정책적,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cceptance of disabi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depression in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o examine this, data from the 4th w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cceptance of disabi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depression in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o examine this, data from the 4th wave of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were used, and 284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y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trength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depression. Second, concerning the impact of perceived acceptance on depression, it was discovered that perceived acceptance to disability has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this effect remains significant even after accounting for family strength. Third, this study proposes plans to strengthen perceived acceptance to disability and family strength as a means to prevent depression among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to support the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law and policies should involve the non-disabled sibling’s supporting program such as consultation. Furthermore, to increase the empowerment and strength perspective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not only for non-disabled siblings but also whole family members.
AI기반 휴먼포즈 인식을 통한 기능움직임평가의 디지털전환
용인시대상 세계보건기구 고령친화도시 사회참여 지표의 중요도-수행도 분석
신문 기사를 통해 본 장애인스포츠와 무도 -1990년~2023년까지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