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들어가며 : 서사 능력을 상실하고 있는가?
- II. 서사적 자아이론(narrative self)
- 1. 주요 개념들 : 서사, 자기-서사
- 2. 서사적 자아이론(narrative self)과 반대입장
- III. 서사적 자아 개념에 대한 반대 논의 : 거짓된 서사로 자신을 정체화 하는 것의 문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15045
2025
Korean
105
학술저널
47-57(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타자공백’ 현상에 따른 자아성과 교우관계 혼란상의 고찰 : 하버마스와 콜버그를 근거로
철학적 탐구공동체 특징과 도덕교육적 시사점 : 앤 샤프의 논의를 중심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 『인간과 철학』의 교육과정[목표 & 내용체계] 및 교과서 [해냄] 소개
2022개정 교육과정 『인간과 철학』 성취기준 설계 및 교재 구성안(천재교과서)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