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생명과학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유전학의 교육과정 및 교과 내용 요소의 구성 방안을 탐색하는 데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공 수준의 유전학 내용 요소를 파악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80865
2022년
Korean
생명과학 교육과정 ; 유전학 ; 교과 내용 구성 방안
300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명과학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유전학의 교육과정 및 교과 내용 요소의 구성 방안을 탐색하는 데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공 수준의 유전학 내용 요소를 파악하...
본 연구는 생명과학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유전학의 교육과정 및 교과 내용 요소의 구성 방안을 탐색하는 데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공 수준의 유전학 내용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내용 요소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유전학 전문가들에게 정규 교육과정의 교과목과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교과목인 고시 외 과목의 구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내용 요소를 비교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전반적으로 다양한 유전학 분야에 해당하는 내용 요소들을 다루고 있었지만, 각 분야별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유전학의 주요 핵심 개념들 중 다루고 있지 않는 부분들이 다수 존재하였다.
한편, 유전학 전문가들로부터 교과 내용 요소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결과, 정규 교육과정에서 다룰 필요가 있는 내용 요소에 대해서는 핵심 개념의 완결성을 보충하는 내용 요소가 필요하며, 실생활과 깊은 관련성을 띄는 내용 요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교과목은 정규 교육과정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내용 요소와 기존 학습 내용의 심화적 개념을 추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및 교과 내용 구성의 방향성과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해 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