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후생노동성 코로나19 지침과 영유아교육기관 대응 사례 = COVID-19 Guideline of Japanes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and Cases of Responses by Early-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6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는 정치·경제·사회·문화뿐 아니라, 일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교육 분야 변화는 전 계층과 세대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대학을 비롯하여 초․중․고생은 비대면 교육�...

      코로나19는 정치·경제·사회·문화뿐 아니라, 일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교육 분야 변화는 전 계층과 세대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대학을 비롯하여 초․중․고생은 비대면 교육이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영유아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위생을 중시하는 일본 후생노동성 코로나19 지침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영유아교육 기관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이 연구목적이다. 연구방법은 관련 지침과 영유아교육 기관 사례 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결과 후생노동성 코로나19 지침의 시사점은 크게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1월 31일 ‘보육소 등에 있어서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대응에 대해서’의 통지 중, 관련자에게 현재 파악한 정보를 토대로 신형 바이러스에 관한 적절한 지도를 하고,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를 이유로 편견이 생겨나지 않도록 하는 등 영유아의 인권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둘째, 2020년 2월 25일의 ‘보육소 등에 있어서 어린이 등에게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발생했을 때에 대해서’ 통지에서, ‘의료직 등 사회적 요청이 강한 직업 등에 종사하는 부모의 영유아에게 방문형 일시 보육, 보육교사 방문에 의한 보육, 아이 돌봄 활동 등을 고려하고, 각 시구정촌에서 필요에 따라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한편, 영유아교육기관 사례를 통한 시사점은 영유아의 연령과 각 기관의 설립 목적을 고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사회와 보호자의 요구를 반영한 보육을 하고 있다는 점과 신체활동, 물감들이기 등 영유아의 발달을 최우선으로 하는 보육의 본질을 놓치지 않고 있다는 점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VID-19 brought drastic changes not only i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but also in daily lives. Especially, the educational field experiences even bigger changes as COVID-19 affects the entire generations and social classes. Though non-fa...

      COVID-19 brought drastic changes not only i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but also in daily lives. Especially, the educational field experiences even bigger changes as COVID-19 affects the entire generations and social classes. Though non-face-to-face education may be offered to college as well as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it is truly difficult to engage in non-face-to-face operations for young children. Hence, this study examines responsive measures against COVID-19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overseeing preschools and nurseries in Japan, and it presents implications that may impose upon Korea. The research method used relevant guidelines and analysis methods for infant and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The COVID-19 Guideline of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jor implications. First, from the notice during the early days of COVID-19, titled ‘About Responses by Child Care Center against New Coronavirus’ dated on January 31st, it stated, “Be sure to provide related people, including children, appropriate guidance on the new virus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us far, and take full consideration of the children’s civil rights through the above by not incurring any bias based on the new virus.” Second, the Ministry announced another notice titled ‘About Cases When New Coronavirus Manifests in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 (Second Notice).’ It stated that door-to-door temporary child care, child care service through visits by nursing teachers and babysitter activities may be considered for young children of the parents whose occupation demands strong social needs, such as medical professionals, and it also urged each city, town and village to take necessary measures accordingly. Implications learned from the cas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arly-childhood include that child care services need to be offered through reflection of the demands from the society and guardians even during the COVID-19 crises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age of young children and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each institution and that the essential elements of child care regarding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uch as physical activities and playing with color paints, should not be ignored under any circumsta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코로나19에 관한 후생노동성 지침과 논의점 Ⅲ. 후생노동성 코로나19 지침에 관한 영유아교육기관 대응 사례 Ⅳ. 결론 및 시사점
      • Ⅰ. 서 론 Ⅱ. 코로나19에 관한 후생노동성 지침과 논의점 Ⅲ. 후생노동성 코로나19 지침에 관한 영유아교육기관 대응 사례 Ⅳ. 결론 및 시사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외 감염병 NOW"

      2 "한국 확진자 날짜별 확인하기"

      3 최순자, "아이가 보내는 신호들" 씽크스마트 2015

      4 "세계보건기구"

      5 內閣府, "認定こども園"

      6 內閣府, "新型コロナウイルス対応に係る子育て支援について"

      7 わかくさ保育所, "新型コロナウィルス感染拡大防止対策"

      8 厚生労働省, "保育所等における新型コロナウイルスへの対応について"

      9 厚生労働省, "保育所等における感染拡大防止のための留意点について"

      10 厚生労働省, "保育所等において子ども等に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が発生した場合の対応について (第二 報)"

      1 "해외 감염병 NOW"

      2 "한국 확진자 날짜별 확인하기"

      3 최순자, "아이가 보내는 신호들" 씽크스마트 2015

      4 "세계보건기구"

      5 內閣府, "認定こども園"

      6 內閣府, "新型コロナウイルス対応に係る子育て支援について"

      7 わかくさ保育所, "新型コロナウィルス感染拡大防止対策"

      8 厚生労働省, "保育所等における新型コロナウイルスへの対応について"

      9 厚生労働省, "保育所等における感染拡大防止のための留意点について"

      10 厚生労働省, "保育所等において子ども等に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が発生した場合の対応について (第二 報)"

      11 厚生労働省, "保育所における差別・偏見の禁止に関する政府広報について"

      12 齋藤正典, "コロナ禍の相模女子大学幼稚部の対応"

      13 遠藤香織, "コロナ禍の幼稚園の対応"

      14 永井由利子, "コロナ禍の保育所の対応"

      15 小野貴之, "コロナ禍における動画配信の効果-附属幼稚園の事例から-" 6 (6): 347-356,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7 0.78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