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U의 농촌개발사업 평가체계와 시사점-농촌마을사업 선정⋅평가를 중심으로- = EU Rural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and Implication for Rural Development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78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n inescapable requirement in public policy to provide evidence.
      For the evaluation of the EU Rural Development Policy, the EuropeanCommission has designed a Common Monitoring and EvaluationFramework(CMEF). The principal objectives of evaluations are to improvedecision-making, resource allocation and accountability.
      In Korea, howerver, the opinion-based policy by expert is still rural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It does not provide the objectivequantitative indicators for impac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to this, the budget-making body (parliament, government, etc.) havequestioned the effectiveness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ruraldevelopment projects often reduced or changed. To improve theaccountability of rural development policy, it is necessary to build a reliable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evidence. First, ruraldevelopment evaluation indicators should be considered the multipul goalof rural development, namely economic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Second,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is necessary to be designed for thelearning rather than reward. Third, the participation by local residentsshould be strengthened in evaluation process. Finally, it is necessary toestablish rural development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such asCMEF of the EU (CMEF).
      번역하기

      There is an inescapable requirement in public policy to provide evidence. For the evaluation of the EU Rural Development Policy, the EuropeanCommission has designed a Common Monitoring and EvaluationFramework(CMEF). The principal objectives of evalua...

      There is an inescapable requirement in public policy to provide evidence.
      For the evaluation of the EU Rural Development Policy, the EuropeanCommission has designed a Common Monitoring and EvaluationFramework(CMEF). The principal objectives of evaluations are to improvedecision-making, resource allocation and accountability.
      In Korea, howerver, the opinion-based policy by expert is still rural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It does not provide the objectivequantitative indicators for impac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to this, the budget-making body (parliament, government, etc.) havequestioned the effectiveness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ruraldevelopment projects often reduced or changed. To improve theaccountability of rural development policy, it is necessary to build a reliable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evidence. First, ruraldevelopment evaluation indicators should be considered the multipul goalof rural development, namely economic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Second,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is necessary to be designed for thelearning rather than reward. Third, the participation by local residentsshould be strengthened in evaluation process. Finally, it is necessary toestablish rural development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such asCMEF of the EU (CMEF).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제 침체로 인한 예산부족으로 공공정책이 증거(evidence)에 기반해야 한다는 요구는점점 증대되고 있다. 선진국 특히 EU의 경우 농촌개발사업의 석명성(accountability)을확보하기 위해 1980년대부터 체계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여 왔다. 그러나 국내 농촌개발사업 평가체계는 대부분 전문가의 의견을 중심으로 한 평가에 의존하는 초보적인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개발 정책들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있는 예산결정기구(의회, 정부부처 등) 담당자들에게 해당 정책사업의 수행실적이나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정량적 지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사업이 자주 축소 혹은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농촌개발분야 공공예산 집행에 대한 석명성과 사업수행과정에서의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사업계획의수립과 함께, 사실과 증거에 근거한 사업수행 및 수정을 위한 신뢰성있는 모니터링및 평가체계구축이 필요하다. 첫째, 경제개발과 함께 사회개발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평가지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의 사후 목적이 상벌보다는 교육적목적이 우선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농촌마을사업이 ‘선택과 집중모델’에서 ‘확산 모델’로 정책방향을 변경해야 한다. 셋째, 사업선정과 평가에 지역주민참여를 통한 민주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넸째, EU의 공통모니터링 및 평가틀(CMEF)와 같은 농촌개발 모니터링 및 평가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경제 침체로 인한 예산부족으로 공공정책이 증거(evidence)에 기반해야 한다는 요구는점점 증대되고 있다. 선진국 특히 EU의 경우 농촌개발사업의 석명성(accountability)을확보하기 위해 1980년대...

      경제 침체로 인한 예산부족으로 공공정책이 증거(evidence)에 기반해야 한다는 요구는점점 증대되고 있다. 선진국 특히 EU의 경우 농촌개발사업의 석명성(accountability)을확보하기 위해 1980년대부터 체계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여 왔다. 그러나 국내 농촌개발사업 평가체계는 대부분 전문가의 의견을 중심으로 한 평가에 의존하는 초보적인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개발 정책들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있는 예산결정기구(의회, 정부부처 등) 담당자들에게 해당 정책사업의 수행실적이나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정량적 지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사업이 자주 축소 혹은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농촌개발분야 공공예산 집행에 대한 석명성과 사업수행과정에서의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사업계획의수립과 함께, 사실과 증거에 근거한 사업수행 및 수정을 위한 신뢰성있는 모니터링및 평가체계구축이 필요하다. 첫째, 경제개발과 함께 사회개발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평가지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의 사후 목적이 상벌보다는 교육적목적이 우선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농촌마을사업이 ‘선택과 집중모델’에서 ‘확산 모델’로 정책방향을 변경해야 한다. 셋째, 사업선정과 평가에 지역주민참여를 통한 민주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넸째, EU의 공통모니터링 및 평가틀(CMEF)와 같은 농촌개발 모니터링 및 평가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섭, "농촌개발사업 실행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역량강화의 관점에서"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103-122, 2009

      2 Davies, H. T. O., "What works? Evidence-based policy and practice in public services" Policy Press 2000

      3 Dwyer, J., "Towards an enhanced evaluation of European rural development policy – Reflections on United Kingdom experience" 307 : 53-79, 2008

      4 Hill, B., "The power of evaluation" 7 (7): 4-5, 2008

      5 Cavazzani, A,, "The Practice of Rural Development Partnerships in Europe: 24 Case Studies in Six European Countries" 2001

      6 Bradley, D. Dwyer, J., "The Evaluation of Rural Development Policy in the EU" 9 (9): 15-20, 2010

      7 CEC(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The Communication on Evaluation (SEC(2000) 1051)"

      8 Farrell, G., "Social capital and rural development: From win– lose to win–win with the LEADER initiative" Aldershot, Ashgate 281-298, 2005

      9 Dwyer, J., "Rural development policies in the EU and their evaluation" 2009

      10 CEC(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Rural Development 2007–2013: Handbook on Common Monitoring and Evaluation Framework" Directorate General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2006

      1 김정섭, "농촌개발사업 실행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역량강화의 관점에서"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103-122, 2009

      2 Davies, H. T. O., "What works? Evidence-based policy and practice in public services" Policy Press 2000

      3 Dwyer, J., "Towards an enhanced evaluation of European rural development policy – Reflections on United Kingdom experience" 307 : 53-79, 2008

      4 Hill, B., "The power of evaluation" 7 (7): 4-5, 2008

      5 Cavazzani, A,, "The Practice of Rural Development Partnerships in Europe: 24 Case Studies in Six European Countries" 2001

      6 Bradley, D. Dwyer, J., "The Evaluation of Rural Development Policy in the EU" 9 (9): 15-20, 2010

      7 CEC(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The Communication on Evaluation (SEC(2000) 1051)"

      8 Farrell, G., "Social capital and rural development: From win– lose to win–win with the LEADER initiative" Aldershot, Ashgate 281-298, 2005

      9 Dwyer, J., "Rural development policies in the EU and their evaluation" 2009

      10 CEC(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Rural Development 2007–2013: Handbook on Common Monitoring and Evaluation Framework" Directorate General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2006

      11 CEC(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Responding to Strategic Needs: Reinforcing the use of evaluation" 2007

      12 Midmore, P., "Qualitative Evaluation of European Rural Development Policy: Evidence from comparative case studies" 2008

      13 Bergschmidt, A., "Powerless evaluation" 8 (8): 41-46, 2009

      14 GAO (U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Evaluation" 2005

      15 Edwards, B., "Partnership working in rural regeneration: Governance and empowerment?" The Policy Press 2000

      16 Dargan, L., "LEADER and innovation" 48 (48): 274-291, 2008

      17 Blandford, D., "Improving the Evaluation of Rural Development Policy" 9 (9): 4-9, 2010

      18 Dwyer, J., "Human and social capital in rural development – EU and US perspectives" 7 (7): 38-45, 2008

      19 Dietz, M-A., "Evaluating new regional policies: Reviewing the theory and practice" 8 (8): 285-305, 2002

      20 CEC(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Evaluating EU Activities – A Practical Guide for the Commission Services" DG Budget Evaluation Unit 2004

      21 박덕병, "EU의 농촌개발정책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123-162, 2009

      22 OECD., "Coverning regional development Policy; The use of performance indicato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xtension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6 1.05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