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 수준의 향상과 의식수준의 변화로 인해 삶이 양적인 향상보다는 질적인 방향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과학 및 의학기술의 발달로 보건의료의 개념이 질병치료에서 예방 차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804533
200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과 의식수준의 변화로 인해 삶이 양적인 향상보다는 질적인 방향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과학 및 의학기술의 발달로 보건의료의 개념이 질병치료에서 예방 차원...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과 의식수준의 변화로 인해 삶이 양적인 향상보다는 질적인 방향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과학 및 의학기술의 발달로 보건의료의 개념이 질병치료에서 예방 차원인 건강증진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삶의 질(Quality of Life)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과 삶의 질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문헌검토를 통해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6개로 분류하여 총 37문항고 삶의 질을 조사하기 위해 총 26문항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설문분석에 선행하여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특성을 분석하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두 집단 이상의 차이를 검증하는 분산분석(ANOVA), 각 변수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회귀분석(Regression)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삶의 질 특성분석결과는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실행정도는 식습관, 운동습관, 건강관심도는 낮은 수준이었으며, 스트레스 인지도, 자아인지도, 개인의 외적요인에 대한 인지도 등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삶의 질의 만족도는 개인여건만족도가 높은 수준이며, 사회여건만족도, 조직여건만족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즈진 생활양식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성별에 따른 건가즈진 생활양식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연령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에서는 식습관과 건강관심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구학적 특성과 삶의 질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가족사항에 따른 삶의 질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삶의 질에서도 조직여건만족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삶의 질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중에서 자아인지도, 개인의 외적요인은 개인여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여건만족도를 53.4%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건강증진 생활양식 중에서 개인의 외적요인은 조직여건만족도와 사회여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여건만족도를 27.1%를 설명하고, 사회여건만족도를 29.1%를 설명하고 있다.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에서는 운동습관, 스트레스 인지도, 자아인지도, 건강관심도, 개인의 외적요인 등은 삶의 질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지만, 식습관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해 낼 수 있는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증진을 할 수 있도록 개인의 능력 및 역량을 개발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직장 및 지역사회의 활동을 강화한다.
둘째, 건강증진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셋째,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공정책을 수립하고, 보건의료서비스를 건강증진에 적합하도록 방향을 재 설정한다. 사회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충족을 위해 보건의료서비스와 복지서비스의 지속적인 연계로 복지적인 측면과 정책적인 측면이 함께 제공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대상과 객관적인 변수, 변수에 대한 대표성 부여를 통해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면 보다 나은 연구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출처: 국회도서관 원문)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자는 본 자료에서 사용된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설문 요소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개인여건 만족도, ...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자는 본 자료에서 사용된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설문 요소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개인여건 만족도, 조직여건 만족도, 사회여건 만족도로 세분화하여 25문항의 설문항목 구성에 사용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사업전공 2000 목차와 주초록 국회도서관 학술논문 원문파일을 토대로 직접 작성되었습니다.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사업전공 2000
목차와 주초록 국회도서관 학술논문 원문파일을 토대로 직접 작성되었습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문제 - 1 제2절 연구목적 - 2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 2 1. 연구범위 - 2 2. 연구방법 - 3 제2장 문헌적 고찰 - 4 제1절 건강증진의 요인 - 4 1. ...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문제 - 1
제2절 연구목적 - 2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 2
1. 연구범위 - 2
2. 연구방법 - 3
제2장 문헌적 고찰 - 4
제1절 건강증진의 요인 - 4
1. 건강관련행위 및 자원동원성의 개념 - 4
2. 건강중진 생활양식의 의의와 특징 - 7
3. 건강증진의 제이론 - 8
제2절 삶의 질 - 12
1. 삶의 질 개념 - 12
2. 삶의 질 영향요인 - 14
제3절 건강증진과 삶의 질에 관한 기존 연구 - 17
1. 건강증진 연구 - 17
2. 삶의 질 연구 - 20
제3장 개념적 준거틀 모형과 가설설정 - 22
제1절 개념적 정의 - 22
1. 건강증진 생활양식 - 22
2. 삶의 질 - 22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 23
1. 건강증진 생활양식 - 23
2. 삶의 질 - 23
3. 인구학적 특성 - 24
제3절 연구모형 - 26
제4절 가설의 설정 - 27
제4장 조사방법 - 29
제1절 조사설계 - 29
제2절 표본추출 및 자료수집 - 29
1. 표본추출 - 29
2. 자료수집 - 30
제3절 측정도구 및 척도구성 - 30
1. 건강증진 생활양식 - 30
2. 삶의 질 - 32
3. 인구학적 특성 - 33
제4절 자료분석 방법 - 33
제5장 분석 및 결과의 해석 - 37
제1절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 37
1.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 - 37
2. 요인분석에 의한 타당도 검증 - 38
제2절 분포특성분석 - 44
1. 인구학적 특성 - 44
2. 건강증진 생활양식 - 46
3. 삶의 질 - 55
제3절 가설검증 - 61
1.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 61
2. 인구학적 특성과 삶의 질 - 69
3.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삶의 질 - 77
4.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종합 검증 - 83
제4절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삶의 질 해석 - 87
제6장 결론 - 90
제1절 연구의 요약 - 90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91
참고문헌 - 94
부록
1.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 - 99
2. 설문지 - 101
(출처: 국회도서관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