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담임교사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Counseling Experience of Lower Grade Student’s Parents with Class Teacher in Prim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2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unseling experience of lower grades student’s parents with class teacher in primary school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method. Total 10 par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validated by concensus team and supervisor. As a result, 7 domains
      and 24 subdomains were extracted.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were motivated to attend counseling by announcement of school or teacher, and by curiosity about teacher and child’s school life. Second, teachers and parents felt tension each other in counseling session. Third, parents became to look at their children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the counseling with teacher. Forth, counseling made parents find useful ways to solve problems of their child. Fifth, parents felt accommodated by the teacher in an equal position. Sixth, parents considered counseling was superficial and uncommunicative. Seventh, parents presumed the informal images of teacher beyond
      counseling setting.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emonstrated on these resul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unseling experience of lower grades student’s parents with class teacher in primary school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method. Total 10 par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llected data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unseling experience of lower grades student’s parents with class teacher in primary school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method. Total 10 par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validated by concensus team and supervisor. As a result, 7 domains
      and 24 subdomains were extracted.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were motivated to attend counseling by announcement of school or teacher, and by curiosity about teacher and child’s school life. Second, teachers and parents felt tension each other in counseling session. Third, parents became to look at their children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the counseling with teacher. Forth, counseling made parents find useful ways to solve problems of their child. Fifth, parents felt accommodated by the teacher in an equal position. Sixth, parents considered counseling was superficial and uncommunicative. Seventh, parents presumed the informal images of teacher beyond
      counseling setting.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emonstrated on these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담임교사 상담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서 합의적질적연구방법(CQR)으로 실시되었다. 담임교사와 대면상담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합의팀을 구성하여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감수자로부터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검토 받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7개의 영역과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상담을 실시하게 된 동기로 학교나 교사의 상담공지와 교사의 스타일과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다. 둘째, 학부모와 교사는 상담상황에 대해 상호간에 긴장감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교사와의 상담을 통해 자녀의 모습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었다. 넷째, 자녀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실질적인 방안을 파악하였다. 다섯째, 교사로부터 동등한 입장에서 수용 받는다고 느끼기도 하였다. 여섯째, 충분히 소통이 되지 않는 피상적인 상담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일곱째, 상담에서 보는 교사 너머의 모습을 가늠하고 추측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담임교사 상담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서 합의적질적연구방법(CQR)으로 실시되었다. 담임교사와 대면상담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 10...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담임교사 상담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서 합의적질적연구방법(CQR)으로 실시되었다. 담임교사와 대면상담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합의팀을 구성하여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감수자로부터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검토 받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7개의 영역과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상담을 실시하게 된 동기로 학교나 교사의 상담공지와 교사의 스타일과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다. 둘째, 학부모와 교사는 상담상황에 대해 상호간에 긴장감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교사와의 상담을 통해 자녀의 모습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었다. 넷째, 자녀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실질적인 방안을 파악하였다. 다섯째, 교사로부터 동등한 입장에서 수용 받는다고 느끼기도 하였다. 여섯째, 충분히 소통이 되지 않는 피상적인 상담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일곱째, 상담에서 보는 교사 너머의 모습을 가늠하고 추측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옥선화, "학부모와 학교의 소통 활성화 방안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 학부모정책연구센터 2012

      2 홍은영, "학부모상담 시 초등교사의 체험 내용 분석"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3 (13): 349-377, 2014

      3 서현석, "학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 증진을 위한 교사 연수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83-307, 2015

      4 이세용, "학부모 학교참여가 학교 및 교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85-208, 2003

      5 박준희,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가 지각한 부모효능감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임수연,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의 담임교사 상담과 양육효능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김선경,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효과적인 학부모 상담 전략" 한국상담학회 16 (16): 323-338, 2015

      8 윤기영,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17 : 379-404, 2000

      9 박자영, "아동상담자가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0 손인숙, "부모와 교사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9) : 111-128, 2004

      1 옥선화, "학부모와 학교의 소통 활성화 방안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 학부모정책연구센터 2012

      2 홍은영, "학부모상담 시 초등교사의 체험 내용 분석"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3 (13): 349-377, 2014

      3 서현석, "학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 증진을 위한 교사 연수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83-307, 2015

      4 이세용, "학부모 학교참여가 학교 및 교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85-208, 2003

      5 박준희,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가 지각한 부모효능감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임수연,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의 담임교사 상담과 양육효능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김선경,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효과적인 학부모 상담 전략" 한국상담학회 16 (16): 323-338, 2015

      8 윤기영,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17 : 379-404, 2000

      9 박자영, "아동상담자가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0 손인숙, "부모와 교사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9) : 111-128, 2004

      11 최서윤, "부모 상담을 병행한 사회적 기술 훈련이 사회적 기술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5 (15): 359-375, 2012

      12 김광웅, "놀이치료에서의 부모상담 실태조사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12 (12): 47-63, 2009

      13 강은주, "놀이치료에서 부모의 상담욕구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13 (13): 59-74, 2010

      14 기채영, "놀이치료에서 부모상담의 치료성과요인 및 과정에 대한 질적분석" 한국놀이치료학회 9 (9): 41-58, 2006

      15 이은경, "교사의 상담자 자질에 대한 학부모 지각과 상담 만족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6 정영수, "교사와 교육" 문음사 1998

      17 김혜숙, "교사를 위한 학부모상담 길잡이" 학지사 2013

      18 문화일보, "“교권침해 더 못참아”… 교사들 뿔났다"

      19 Gerich, M., "Using Simulated Parent-Teacher Talks to Assess and Improve Prospective Teachers' Counseling Competence" 5 (5): 285-301, 2016

      20 Cox, E., "The value of openness in e-relationships : using Nonviolent Communication to guide online coaching and mentoring" 3 (3): 39-51, 2005

      21 Kindsvatter, A., "Structural techniques for engaging reluctant parents in counseling" 16 (16): 204-211, 2008

      22 O'Connor Kevin J., "Play therapy : Theory and practice" Wiley 1997

      23 Hill, N. E., "Parental involvement in middle school : a meta-analytic assessment of the strategies that promote achievement" 45 (45): 740-, 2009

      24 McGuire, D. K., "Linking parents to play therapy: A practical guide ith applications, interventions, and case studies" Brunner-Routledge 2008

      25 Minuchin, S., "Family therapy techniqu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26 Cox, D, D., "Evidence‐based interventions using home–school collaboration" 20 (20): 473-497, 2005

      27 Swap, S. M., "Developing home–school partnerships: From concepts to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1993

      28 Hill, C. 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20, 2012

      29 Hill, C. 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An update" 52 (52): 196-, 2005

      30 Touliatos, J., "Congruence of parents' and teachers' ratings of children's behavior problems" 9 (9): 347-354, 1981

      31 Michigan State University, "Best Practice Briefs No.30-R. 2004. Outreach & Engagement Partnerships"

      32 Hill, C. E.,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5 (25): 517-572, 1997

      33 이종각, "2차 교육혁명기의 교사-학부모 관계구조 변혁의 과제" 3 : 1-22, 2016

      34 이강이, "2012년 학부모의 자녀교육 및 학교 참여 실태조사 연구" 서울대 학부모정책연구센터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