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옥선화, "학부모와 학교의 소통 활성화 방안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 학부모정책연구센터 2012
2 홍은영, "학부모상담 시 초등교사의 체험 내용 분석"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3 (13): 349-377, 2014
3 서현석, "학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 증진을 위한 교사 연수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83-307, 2015
4 이세용, "학부모 학교참여가 학교 및 교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85-208, 2003
5 박준희,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가 지각한 부모효능감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임수연,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의 담임교사 상담과 양육효능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김선경,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효과적인 학부모 상담 전략" 한국상담학회 16 (16): 323-338, 2015
8 윤기영,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17 : 379-404, 2000
9 박자영, "아동상담자가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0 손인숙, "부모와 교사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9) : 111-128, 2004
1 옥선화, "학부모와 학교의 소통 활성화 방안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 학부모정책연구센터 2012
2 홍은영, "학부모상담 시 초등교사의 체험 내용 분석"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3 (13): 349-377, 2014
3 서현석, "학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 증진을 위한 교사 연수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83-307, 2015
4 이세용, "학부모 학교참여가 학교 및 교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85-208, 2003
5 박준희,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가 지각한 부모효능감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임수연,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의 담임교사 상담과 양육효능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김선경,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효과적인 학부모 상담 전략" 한국상담학회 16 (16): 323-338, 2015
8 윤기영,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17 : 379-404, 2000
9 박자영, "아동상담자가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0 손인숙, "부모와 교사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9) : 111-128, 2004
11 최서윤, "부모 상담을 병행한 사회적 기술 훈련이 사회적 기술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5 (15): 359-375, 2012
12 김광웅, "놀이치료에서의 부모상담 실태조사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12 (12): 47-63, 2009
13 강은주, "놀이치료에서 부모의 상담욕구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13 (13): 59-74, 2010
14 기채영, "놀이치료에서 부모상담의 치료성과요인 및 과정에 대한 질적분석" 한국놀이치료학회 9 (9): 41-58, 2006
15 이은경, "교사의 상담자 자질에 대한 학부모 지각과 상담 만족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6 정영수, "교사와 교육" 문음사 1998
17 김혜숙, "교사를 위한 학부모상담 길잡이" 학지사 2013
18 문화일보, "“교권침해 더 못참아”… 교사들 뿔났다"
19 Gerich, M., "Using Simulated Parent-Teacher Talks to Assess and Improve Prospective Teachers' Counseling Competence" 5 (5): 285-301, 2016
20 Cox, E., "The value of openness in e-relationships : using Nonviolent Communication to guide online coaching and mentoring" 3 (3): 39-51, 2005
21 Kindsvatter, A., "Structural techniques for engaging reluctant parents in counseling" 16 (16): 204-211, 2008
22 O'Connor Kevin J., "Play therapy : Theory and practice" Wiley 1997
23 Hill, N. E., "Parental involvement in middle school : a meta-analytic assessment of the strategies that promote achievement" 45 (45): 740-, 2009
24 McGuire, D. K., "Linking parents to play therapy: A practical guide ith applications, interventions, and case studies" Brunner-Routledge 2008
25 Minuchin, S., "Family therapy techniqu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26 Cox, D, D., "Evidence‐based interventions using home–school collaboration" 20 (20): 473-497, 2005
27 Swap, S. M., "Developing home–school partnerships: From concepts to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1993
28 Hill, C. 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20, 2012
29 Hill, C. 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An update" 52 (52): 196-, 2005
30 Touliatos, J., "Congruence of parents' and teachers' ratings of children's behavior problems" 9 (9): 347-354, 1981
31 Michigan State University, "Best Practice Briefs No.30-R. 2004. Outreach & Engagement Partnerships"
32 Hill, C. E.,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5 (25): 517-572, 1997
33 이종각, "2차 교육혁명기의 교사-학부모 관계구조 변혁의 과제" 3 : 1-22, 2016
34 이강이, "2012년 학부모의 자녀교육 및 학교 참여 실태조사 연구" 서울대 학부모정책연구센터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