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中 神仙說話의 探索 -시간과 공간에 주목하여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6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본 연구는 韓․中 신선설화에 대하여 시간과 공간이라는 Code를 중심으로 기록된 문자 이면의 의미를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새롭게 시도하고자 하였다. 한국 최초의 야담집이자 후대 본격적인 야담문학을 선도했던 ꡔ於于野譚ꡕ과 중국 소설의 바다로 불리워지는 ꡔ太平廣記ꡕ를 텍스트로 설정하여 한국과 중국의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재현된 문화담론체로써의 신선설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국과 한국 신선설화의 문학적 위상을 살펴본 결과, 리얼리티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확장시켜주며 환상서사의 가치를 환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중 신선설화와 시간성에 관한 고찰에서 시간은 물리적이고 객관적인 시간이 아닌 심리적이고 주관적인 時間價로 표현되어 있음을, 시간의 소멸성보다는 재생성과 순환성이 두드러진 구조임을 밝힐 수 있었다. 한중 신선설화와 공간성에 대한 고찰에서 선계는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공간이 아니라 문학적 상상력에 의해 존재하는 심리적, 허구적 공간임을 가시적으로 실재하는 공간이 아닌 이상향에 도달하고픈 인간의 노력과 심리적 과정 속에 존재하는 초현실적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신선설화에 대한 연구는 바로 인간의 근원적 내면의식과 그를 둘러싸고 있는 문화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韓․中 신선설화에 대하여 시간과 공간이라는 Code를 중심으로 기록...

      본 연구는 韓․中 신선설화에 대하여 시간과 공간이라는 Code를 중심으로 기록된 문자 이면의 의미를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새롭게 시도하고자 하였다. 한국 최초의 야담집이자 후대 본격적인 야담문학을 선도했던 ꡔ於于野譚ꡕ과 중국 소설의 바다로 불리워지는 ꡔ太平廣記ꡕ를 텍스트로 설정하여 한국과 중국의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재현된 문화담론체로써의 신선설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국과 한국 신선설화의 문학적 위상을 살펴본 결과, 리얼리티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확장시켜주며 환상서사의 가치를 환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중 신선설화와 시간성에 관한 고찰에서 시간은 물리적이고 객관적인 시간이 아닌 심리적이고 주관적인 時間價로 표현되어 있음을, 시간의 소멸성보다는 재생성과 순환성이 두드러진 구조임을 밝힐 수 있었다. 한중 신선설화와 공간성에 대한 고찰에서 선계는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공간이 아니라 문학적 상상력에 의해 존재하는 심리적, 허구적 공간임을 가시적으로 실재하는 공간이 아닌 이상향에 도달하고픈 인간의 노력과 심리적 과정 속에 존재하는 초현실적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신선설화에 대한 연구는 바로 인간의 근원적 내면의식과 그를 둘러싸고 있는 문화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for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and Chinese tales on the immortals, not only in the literal sense of the word but also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based on the code of time and space. We select ꡔAWOOYADAMꡕ, the first historical-story book written by Yoo Mong-In whose nickname is Awoodang which preceded full-fledged historical-story literature in Korea and ꡔTAEPYUNGKWANGKIꡕ which is called as sea of Chinese novels as major texts for this paper.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 two books and cultural contexts,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tales on the immortals are a cultural discourse reproduced continuously in Korean and Chinese history. We also present many common factors of East Asian cultures extracted from our research.
      In the first place, the 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tales on the immortals in literature places high values on fantasy literature and they enlarge our perception of what reality is. The investigations on time in Korean and Chinese tales on the immortals lead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The time in them is described not as a physical and objective one but as a mental and subjective one. The time in the tales on the immortals also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rebirth and recycle contrary to the extinction of time. The investigations on space in Korean and Chinese tales on the immortals lead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The space of the immortals is not a physically existent one but a mental and fictitious one. It is not a real existent space to be perceived by man. However, it is a surrealistic space existing in man's mind in his efforts of quest for a Utopia.
      In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study on the tales of the immortals is the study on subconsciousness and culture of human beings.
      번역하기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for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and Chinese tales on the immortals, not only in the literal sense of the word but also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based on the code of time and space. We select ꡔAWOOYADAM&#...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for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and Chinese tales on the immortals, not only in the literal sense of the word but also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based on the code of time and space. We select ꡔAWOOYADAMꡕ, the first historical-story book written by Yoo Mong-In whose nickname is Awoodang which preceded full-fledged historical-story literature in Korea and ꡔTAEPYUNGKWANGKIꡕ which is called as sea of Chinese novels as major texts for this paper.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 two books and cultural contexts,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tales on the immortals are a cultural discourse reproduced continuously in Korean and Chinese history. We also present many common factors of East Asian cultures extracted from our research.
      In the first place, the 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tales on the immortals in literature places high values on fantasy literature and they enlarge our perception of what reality is. The investigations on time in Korean and Chinese tales on the immortals lead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The time in them is described not as a physical and objective one but as a mental and subjective one. The time in the tales on the immortals also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rebirth and recycle contrary to the extinction of time. The investigations on space in Korean and Chinese tales on the immortals lead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The space of the immortals is not a physically existent one but a mental and fictitious one. It is not a real existent space to be perceived by man. However, it is a surrealistic space existing in man's mind in his efforts of quest for a Utopia.
      In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study on the tales of the immortals is the study on subconsciousness and culture of human being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