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학균, "한국 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 변천" 34 (34): 691-696, 2001
2 권철휘, "한국 남해안에서 Cochlodinum적조 확산모델" 한국수산학회 35 (35): 568-577, 2002
3 최현용,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6 (6): 49-62, 2001
4 김형철, "조류성장 잠 재력 시험에 의한 사량도 연안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 조의 제한 영양염" 34 (34): 457-464, 2001
5 양재삼,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5 (5): 16-26, 2000
6 곽승국, "적조원인조류의 광합성과 광 적응" 16 (16): 295-302, 2001
7 이창규,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 염 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 34 (34): 536-544, 2001
8 조은섭,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 14 (14): 177-184, 2005
9 오석진, "[NOTE]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 한국조류학회I 21 (21): 311-316, 2006
10 Ahn, Y. H., "Satellite detection of harmful algal bloom occurrences in Korean waters" 5 : 213-231, 2006
1 김학균, "한국 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 변천" 34 (34): 691-696, 2001
2 권철휘, "한국 남해안에서 Cochlodinum적조 확산모델" 한국수산학회 35 (35): 568-577, 2002
3 최현용,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6 (6): 49-62, 2001
4 김형철, "조류성장 잠 재력 시험에 의한 사량도 연안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 조의 제한 영양염" 34 (34): 457-464, 2001
5 양재삼,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5 (5): 16-26, 2000
6 곽승국, "적조원인조류의 광합성과 광 적응" 16 (16): 295-302, 2001
7 이창규,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 염 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 34 (34): 536-544, 2001
8 조은섭,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 14 (14): 177-184, 2005
9 오석진, "[NOTE]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 한국조류학회I 21 (21): 311-316, 2006
10 Ahn, Y. H., "Satellite detection of harmful algal bloom occurrences in Korean waters" 5 : 213-231, 2006
11 Zhou, M. J, "Responses of a coastal phytoplankton community to increased nutrient input from the Changjiang (Yangtze) River" 2007
12 Kim, D. K., "Possibl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toxicity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a red tide phytoplankton" 132 : 415-423, 2002
13 Kudela, R. M, "Linking the physiology and ecology of Cochlodinium to better understand harmful algal bloom events: A comparative approach" 7 : 278-292, 2008
14 Kim, C. J., "Life cycle of the ichthyotoxic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Korean coastal waters" 6 : 104-111, 2007
15 김진기, "GSIS를 이용한 적조발생지의 공간결정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5 (15): 51-57, 2007
16 Anton, A, "First occurrence of Cochlodinium blooms in Sabah, Malaysia" 7 : 331-336, 2008
17 Lee Y. S., "Factors affecting outbreak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coastal areas of Korea" 52 : 626-634, 2006
18 Lee, S. G., "Effects of oil and dispersanton the red tide organism Cochlodinium polykrikoides" 16 (16): 799-804, 2007
19 이영식,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기작과 대책, 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소멸의 환 경특성" 6 (6): 259-264, 2001
20 Lee, D. K.,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and ecophysical conditions in the South Sea of Korea" 7 : 318-323, 2008
21 이영식,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는 해역에서 호우에 의한 담수 유입 범위와 질소, 인의 농도변동" 한국환경과학회 16 (16): 1119-1125, 2007
22 Gobler, C. J, "Characterization, dynamics, and ecological impacts of harmful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on eastern Long Island, NY, USA" 7 : 293-307, 2008
23 Lee, M. O., "Characteristics of algal bloom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65 (65): 128-147, 2008
24 서영상, "C. polykrikoides 적조의 시공간분포와 중규모 해양환경 변동간의 관계성" 한국지리정보학회 6 (6): 13-150, 2003
25 Kim, C. S., "Biochemical responses of fish exposed to a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254 : 131-141, 2000
26 Azanza, R. V, "An extensive Cochlodinium bloom along the western coast of Palawan, Philippines" 7 : 324-330, 2008
27 정종철, "AVHRR과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적조 패취 관측" 10 (10): 1-8, 2001
28 강양순,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 36 (36): 515-521, 2003
29 임월애, "2000년 여름 남해안에 나타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우점 적조의 발생특성" 한국해양학회 7 (7): 4-77,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