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해역인 노로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 = Marine Environments in the Neighborhood of the Narodo as the First Outbreak Region of Cochlodinium polyktikoides Blo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74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have analyzed a long term data of marine environments, red tide information and meteorology acquired by NFRDI and KM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s in the Narodo coastal waters which is known to be the first outbreak reg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During the period of from 1992 to 2007,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have first occurred more often in August. However, the outbreak time of the blooms tended to be earlier annually, and in addition, the surface salinity also had a tendency to increase. Consequently, it suggested that there might be a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ition of the outbreak time of the blooms and salinity. On the other hand, insolation was relatively rich but precipitation was relatively scarce in Gohung Province, compared to Yeosu or Tongyeong, where Gamak and Jinhae bays when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first occur in Narodo coastal waters. Averag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August in Narodo coastal waters were all higher than those in Gamak and Jinhae bays, suggesting that Narodo coastal waters are a region of relatively high water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Also, concentrations of nutrients and chlorophyll_a were significantly low than those in Jinhae Bay, which is known to be a eutrophicated region, while the overall water quality seemed to be similar to Gamak Bay. The results of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roved that insolation and water temperatur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outbreak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Narodo coastal waters while concentrations of COD and dissolved oxygen are secondly important. Furthermore, typhoons also appeared to be one of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outbreak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번역하기

      We have analyzed a long term data of marine environments, red tide information and meteorology acquired by NFRDI and KM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s in the Narodo coastal waters which is known to be the first out...

      We have analyzed a long term data of marine environments, red tide information and meteorology acquired by NFRDI and KM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s in the Narodo coastal waters which is known to be the first outbreak reg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During the period of from 1992 to 2007,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have first occurred more often in August. However, the outbreak time of the blooms tended to be earlier annually, and in addition, the surface salinity also had a tendency to increase. Consequently, it suggested that there might be a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ition of the outbreak time of the blooms and salinity. On the other hand, insolation was relatively rich but precipitation was relatively scarce in Gohung Province, compared to Yeosu or Tongyeong, where Gamak and Jinhae bays when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first occur in Narodo coastal waters. Averag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August in Narodo coastal waters were all higher than those in Gamak and Jinhae bays, suggesting that Narodo coastal waters are a region of relatively high water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Also, concentrations of nutrients and chlorophyll_a were significantly low than those in Jinhae Bay, which is known to be a eutrophicated region, while the overall water quality seemed to be similar to Gamak Bay. The results of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roved that insolation and water temperatur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outbreak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Narodo coastal waters while concentrations of COD and dissolved oxygen are secondly important. Furthermore, typhoons also appeared to be one of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outbreak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독성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해역으로 알려져 있는 나로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적 특징을 조사하기 위해서 1992년부터 2007년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이 실시한 해양환경측정망 자료 및 적조정보자료와 고흥 지방의 기후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8월에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최초로 발생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발생시기는 해마다 빨라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의 표층 염분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기의 빨라짐과의 어떤 관련성을 시사하였다. 한편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최초로 발생할 때는 동일한 시기의 가막만 또는 진해만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사량은 많았고 강수량은 적었다. 8월의 나로도 주변 해역의 평균 수온 및 염분은 동일한 시기의 가막만 및 진해만에 비하여 평균 수온은 0.2~0.6℃, 염분은 1.84~3.91 psu 각각 더 높았으며, 두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 고염을 나타내었다. 또한 나로도 주변 해역은 부영양화 해역으로 알려진 진해만에 비해서는 영양염이나 식물플랑크톤의 농도가 현저히 낮았으나, 전체적인 수질환경은 가막만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성분 분석결과,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최초로 발생하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요인으로서는 기상인자와 물리적 환경인자인 일사량과 수온이 가장 중요하며, 부차적으로 수질요소인 COD와 용존산소의 농도가 여기에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태풍 또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에 있어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번역하기

      유독성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해역으로 알려져 있는 나로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적 특징을 조사하기 위해서 1992년부터 2007년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이 실시한 해양환경측정망 ...

      유독성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해역으로 알려져 있는 나로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적 특징을 조사하기 위해서 1992년부터 2007년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이 실시한 해양환경측정망 자료 및 적조정보자료와 고흥 지방의 기후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8월에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최초로 발생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발생시기는 해마다 빨라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의 표층 염분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기의 빨라짐과의 어떤 관련성을 시사하였다. 한편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최초로 발생할 때는 동일한 시기의 가막만 또는 진해만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사량은 많았고 강수량은 적었다. 8월의 나로도 주변 해역의 평균 수온 및 염분은 동일한 시기의 가막만 및 진해만에 비하여 평균 수온은 0.2~0.6℃, 염분은 1.84~3.91 psu 각각 더 높았으며, 두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 고염을 나타내었다. 또한 나로도 주변 해역은 부영양화 해역으로 알려진 진해만에 비해서는 영양염이나 식물플랑크톤의 농도가 현저히 낮았으나, 전체적인 수질환경은 가막만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성분 분석결과,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최초로 발생하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요인으로서는 기상인자와 물리적 환경인자인 일사량과 수온이 가장 중요하며, 부차적으로 수질요소인 COD와 용존산소의 농도가 여기에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태풍 또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에 있어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학균, "한국 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 변천" 34 (34): 691-696, 2001

      2 권철휘, "한국 남해안에서 Cochlodinum적조 확산모델" 한국수산학회 35 (35): 568-577, 2002

      3 최현용,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6 (6): 49-62, 2001

      4 김형철, "조류성장 잠 재력 시험에 의한 사량도 연안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 조의 제한 영양염" 34 (34): 457-464, 2001

      5 양재삼,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5 (5): 16-26, 2000

      6 곽승국, "적조원인조류의 광합성과 광 적응" 16 (16): 295-302, 2001

      7 이창규,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 염 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 34 (34): 536-544, 2001

      8 조은섭,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 14 (14): 177-184, 2005

      9 오석진, "[NOTE]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 한국조류학회I 21 (21): 311-316, 2006

      10 Ahn, Y. H., "Satellite detection of harmful algal bloom occurrences in Korean waters" 5 : 213-231, 2006

      1 김학균, "한국 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 변천" 34 (34): 691-696, 2001

      2 권철휘, "한국 남해안에서 Cochlodinum적조 확산모델" 한국수산학회 35 (35): 568-577, 2002

      3 최현용,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6 (6): 49-62, 2001

      4 김형철, "조류성장 잠 재력 시험에 의한 사량도 연안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 조의 제한 영양염" 34 (34): 457-464, 2001

      5 양재삼,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5 (5): 16-26, 2000

      6 곽승국, "적조원인조류의 광합성과 광 적응" 16 (16): 295-302, 2001

      7 이창규,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 염 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 34 (34): 536-544, 2001

      8 조은섭,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 14 (14): 177-184, 2005

      9 오석진, "[NOTE]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 한국조류학회I 21 (21): 311-316, 2006

      10 Ahn, Y. H., "Satellite detection of harmful algal bloom occurrences in Korean waters" 5 : 213-231, 2006

      11 Zhou, M. J, "Responses of a coastal phytoplankton community to increased nutrient input from the Changjiang (Yangtze) River" 2007

      12 Kim, D. K., "Possibl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toxicity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a red tide phytoplankton" 132 : 415-423, 2002

      13 Kudela, R. M, "Linking the physiology and ecology of Cochlodinium to better understand harmful algal bloom events: A comparative approach" 7 : 278-292, 2008

      14 Kim, C. J., "Life cycle of the ichthyotoxic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Korean coastal waters" 6 : 104-111, 2007

      15 김진기, "GSIS를 이용한 적조발생지의 공간결정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5 (15): 51-57, 2007

      16 Anton, A, "First occurrence of Cochlodinium blooms in Sabah, Malaysia" 7 : 331-336, 2008

      17 Lee Y. S., "Factors affecting outbreak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coastal areas of Korea" 52 : 626-634, 2006

      18 Lee, S. G., "Effects of oil and dispersanton the red tide organism Cochlodinium polykrikoides" 16 (16): 799-804, 2007

      19 이영식,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기작과 대책, 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소멸의 환 경특성" 6 (6): 259-264, 2001

      20 Lee, D. K.,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and ecophysical conditions in the South Sea of Korea" 7 : 318-323, 2008

      21 이영식,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는 해역에서 호우에 의한 담수 유입 범위와 질소, 인의 농도변동" 한국환경과학회 16 (16): 1119-1125, 2007

      22 Gobler, C. J, "Characterization, dynamics, and ecological impacts of harmful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on eastern Long Island, NY, USA" 7 : 293-307, 2008

      23 Lee, M. O., "Characteristics of algal bloom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65 (65): 128-147, 2008

      24 서영상, "C. polykrikoides 적조의 시공간분포와 중규모 해양환경 변동간의 관계성" 한국지리정보학회 6 (6): 13-150, 2003

      25 Kim, C. S., "Biochemical responses of fish exposed to a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254 : 131-141, 2000

      26 Azanza, R. V, "An extensive Cochlodinium bloom along the western coast of Palawan, Philippines" 7 : 324-330, 2008

      27 정종철, "AVHRR과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적조 패취 관측" 10 (10): 1-8, 2001

      28 강양순,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 36 (36): 515-521, 2003

      29 임월애, "2000년 여름 남해안에 나타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우점 적조의 발생특성" 한국해양학회 7 (7): 4-77,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12-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환경공학회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KCI등재
      2012-12-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4 0.8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