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기 수행자신감,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84171
2023
Korean
505
KCI등재
학술저널
300-308(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기 수행자신감,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기 수행자신감,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2년 9월 1일부터 10월 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D 광역시 1개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에 참여한 36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핵심간호술기 수행자신감, 의사소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하브루타 학습 전·후 차이는 Paired t-test로 검증하였다. 기본간호학실습 전공 수업에서 하브루타 학습법을 4주간 2차시(100분)를 진행한 결과, 수업 참여 전보다 수업 참여 후에 핵심간호술기 수행자신감(t=-3.53, p =.001), 의사소통능력(t=-2.79, p =.008), 학업적 자기효능감(t=-2.70, p =.010)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브루타 기반 학습법은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기 수행자신감,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로 다양한 학년과 다양한 간호학 전공교과목에서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on confidence to perform, communication skills,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O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on confidence to perform, communication skills,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7, 2022. The subjects were 3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lass in the 2nd year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D College in D City.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as applied for 4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OVA, and the paired t-test on the SPSS 23.0 softwar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dence to perform (t = -3.53, p = .001), communication ability (t = -2.79, p = .008), and academic self-efficacy (t = -2.70, p = .010).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nfidence to perform, communication skills,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to various grades and major subjects in nursing studies.
목차 (Table of Contents)
SOPTD 프로세스의 외란억제용 IMC 기반 2 DOF PIDC 제어기 설계
빅데이터 기반 고속도로 휴게소 및 졸음쉼터 분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How to Improve Your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Speaking, Vocabulary and Grammar
한서대학교 Shaneil DipasupilEngineering Diploma: Communication Skills
Teachers TV Teachers TVSpecial Schools: Communication Skills
Teachers TV Teachers TVHair and Beauty Diploma: Communication Skills
Teachers TV Teachers TV여성건강간호학2
강서대학교 주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