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양이미지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for Marine Im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7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ocal cultural and tourism products by developing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marine images along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ourists in marine areas. The research steps are as follows. First, collect the marine resource photographs for the design ideas of marine images and survey the trends on fashion accessories and fashion goods. Second, analyze formative features such as color, shape, and texture through collected data for the ocean image. Third, test techniques to reveal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ocean. Fourth, combin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with fashion items to complete the goods.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was carried out in two ways. First, it is a way by combining marine images with fashion techniques.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resources, such as wave, seaweed, clams and octopus, were divided into four images, and each image was extracted with formative features and developed into fashionable cultural products by applying fashion techniques. Second, it is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al products using computer graphics. After developing a textile design by computer graphic techniques for images of sea and waves, digital printed fabrics were applied to various items to complete them as fashion cultural products. This is a meaningful study that can be in line with the Mokpo regional 'New Marine Tourism City Development' policy and als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in the local commun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ocal cultural and tourism products by developing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marine images along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ourists in marine areas. The research step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ocal cultural and tourism products by developing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marine images along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ourists in marine areas. The research steps are as follows. First, collect the marine resource photographs for the design ideas of marine images and survey the trends on fashion accessories and fashion goods. Second, analyze formative features such as color, shape, and texture through collected data for the ocean image. Third, test techniques to reveal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ocean. Fourth, combin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with fashion items to complete the goods.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was carried out in two ways. First, it is a way by combining marine images with fashion techniques.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resources, such as wave, seaweed, clams and octopus, were divided into four images, and each image was extracted with formative features and developed into fashionable cultural products by applying fashion techniques. Second, it is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al products using computer graphics. After developing a textile design by computer graphic techniques for images of sea and waves, digital printed fabrics were applied to various items to complete them as fashion cultural products. This is a meaningful study that can be in line with the Mokpo regional 'New Marine Tourism City Development' policy and als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in the local comm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해양지역의 여행객 증가와 함께 해양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여 지역의 문화관광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다. 연구 추진은 다음 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해양이미지의 디자인 발상이 될 수 있는 해양자원 사진자료들을 수집하고 패션액세서리와 패션소품들에 대한 트렌드를 조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통해 색, 형태, 질감 등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미지화하였다. 해양의 조형적 특징이 잘 드러날 수 있는 기법들을 테스트 한 후, 적절한 효과 기법을 패션아이템과 융합하여 시제품을 완성하였다. 패션문화상품 개발은 두 가지 방법으로 추진하였다. 첫째, 해양이미지를 패션기법과 접목해서 개발하였다. 파도, 미역, 조개, 낙지 등 해양자원들의 특징들을 4개 이미지로 분류하고, 각 이미지별 조형적 특징을 발췌하여 특징들과 잘 어울리는 인터록(Interlock), 턱(Tuck), 타이다이(Tie-dye), 컷워크(Cutwork) 등의 기법을 적용하여 트랜디한 문화상품으로 제작하였다. 둘째,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하여 디지털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바다, 물결·파도의 이미지를 조형화하고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접목해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한 후, 디지털 프린트한 폴리에스테르 원단을 다양한 아이템에 적용하여 패션문화상품으로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해양지역의 독창적인 이미지를 담은 패션문화상품을 개발이라는 점에서 해양지역의 해양관광도시개발 정책에도 부합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관광산업발전에도 함께 동참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해양지역의 여행객 증가와 함께 해양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여 지역의 문화관광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다. 연구 추진은 다음 단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해양지역의 여행객 증가와 함께 해양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여 지역의 문화관광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다. 연구 추진은 다음 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해양이미지의 디자인 발상이 될 수 있는 해양자원 사진자료들을 수집하고 패션액세서리와 패션소품들에 대한 트렌드를 조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통해 색, 형태, 질감 등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미지화하였다. 해양의 조형적 특징이 잘 드러날 수 있는 기법들을 테스트 한 후, 적절한 효과 기법을 패션아이템과 융합하여 시제품을 완성하였다. 패션문화상품 개발은 두 가지 방법으로 추진하였다. 첫째, 해양이미지를 패션기법과 접목해서 개발하였다. 파도, 미역, 조개, 낙지 등 해양자원들의 특징들을 4개 이미지로 분류하고, 각 이미지별 조형적 특징을 발췌하여 특징들과 잘 어울리는 인터록(Interlock), 턱(Tuck), 타이다이(Tie-dye), 컷워크(Cutwork) 등의 기법을 적용하여 트랜디한 문화상품으로 제작하였다. 둘째,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하여 디지털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바다, 물결·파도의 이미지를 조형화하고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접목해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한 후, 디지털 프린트한 폴리에스테르 원단을 다양한 아이템에 적용하여 패션문화상품으로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해양지역의 독창적인 이미지를 담은 패션문화상품을 개발이라는 점에서 해양지역의 해양관광도시개발 정책에도 부합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관광산업발전에도 함께 동참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관순, "한산모시를 중심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I" 한복문화학회 17 (17): 31-40, 2014

      2 이미숙, "한국의 패션문화상품 구매행동에 연구" 42-, 2020

      3 이진화, "한국 패션 문화 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 연구" 한국의류학회 29 (29): 968-977, 2005

      4 현선희,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준영,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 집-업 셔츠 와 에코백 디자인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8) : 441-454, 2015

      6 한성지,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2016

      7 한재휘, "통영누비 기법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8 장애란, "제주효제문자도를 응용한 디지로그 패션문화상품개발 - <효(孝)>자도를 중심으로 -" 한복문화학회 20 (20): 71-90, 2017

      9 인터넷 블로그, "제10회 강릉관광기념품 공모전 개최 및 시상식"

      10 김기훈, "전주 한옥마을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디지털 프린팅 넥타이를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21 (21): 348-360, 2013

      1 유관순, "한산모시를 중심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I" 한복문화학회 17 (17): 31-40, 2014

      2 이미숙, "한국의 패션문화상품 구매행동에 연구" 42-, 2020

      3 이진화, "한국 패션 문화 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 연구" 한국의류학회 29 (29): 968-977, 2005

      4 현선희,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준영,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 집-업 셔츠 와 에코백 디자인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8) : 441-454, 2015

      6 한성지,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2016

      7 한재휘, "통영누비 기법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8 장애란, "제주효제문자도를 응용한 디지로그 패션문화상품개발 - <효(孝)>자도를 중심으로 -" 한복문화학회 20 (20): 71-90, 2017

      9 인터넷 블로그, "제10회 강릉관광기념품 공모전 개최 및 시상식"

      10 김기훈, "전주 한옥마을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디지털 프린팅 넥타이를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21 (21): 348-360, 2013

      11 정온슬기, "우리나라 관광쇼핑상품의 시장현황과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1 (1): 187-208, 2001

      12 김선영, "여수세계박람회와 지역문화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개발" 한국복식학회 61 (61): 58-68, 2011

      13 Lau, John, "액세서리디자인" 교문사 2014

      14 인터넷 블로그, "아기자기 여수 기념품과 선물사기 좋은 곳, 여수시 관광기념품판매점+여수 짐보관"

      15 조진옥, "부산의 상징 이미지를 활용한 섬유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시화(市花) 동백꽃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8 (18): 11-26, 2015

      16 김선영, "별전(別錢) 모티브와 융합된 패턴 디자인과 패션 문화상품 개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8 (38): 37-50, 2020

      17 한국관광공사, "방한관광상품 현황분석" 한국관광공사 2008

      18 김평수, "문화산업의 기초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9 정경희,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20 강경미, "문화관광상품으로서의 넥타이 개발 - 공예염색과 DTP기법 효과를 통한 해양이미지 표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55-74, 2010

      21 부자동네타임즈, "목포전국해양문화관광상품 공모전 성료"

      22 전남일보, "목포시 ‘3+1’날개달고 경제·문화관광도시 도약 다짐"

      23 데일리스포츠한국, "목포 지역문화상품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에서 판매한다"

      24 정상미, "대한민국 서남해안권 ‘관광거점’ 목포" 42 : 37-48, 2020

      25 김은실, "광주지역 패션문화상품의 전략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120-128, 2010

      26 이태희, "관광상품 기획론" 백산출판사 2000

      27 권진, "강릉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방안 연구" 복식문화학회 26 (26): 233-250, 2018

      28 석정원, "“예향 광주”를 모티브로 한 주얼리 디자인 개발"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9 (19): 9-26, 2016

      29 Orsech, Gabriele, "Next Look: Trendbook Style & Colour, Spring/Summer 2021" Mode information Gmbh 2021

      30 Gartner, W.C., "Image Formation process" 2 (2): 1993

      31 Calasibetta, Charlotte M., "Dictionary of Fashion" Fairchild Publications, Inc 2003

      32 박재휘, "B.E.T.W.E.E.N. 코로나시대 관광…‘불안과 기대’ 사이에서" 한국관광공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