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가계소비 규모와 증가율의 추정 = Estimating China’s Household Consumption Size and Its Growth R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40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중국의 가계소비 규모를 다양한 방식으로 추정하고, 이를 미국, 한국 등과 비교하여 그 규모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가계소비는 어떤 방식으로 추정하든 세계 2위의 규모이지만, 추정 방식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명목 환율 기준 평가에 따르면 미국 가계소비 규모의 30%에 불과하지만, 구매력평가 기준에 따르면 51%에 달한다.
      또한 이 논문은 2000∼2013년 기간에 대하여 명목 가계소비 금액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통계를 이용하여 가계소비의 실질증가율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에 따르면 2008년 이전에는 가계소비 실질 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낮았지만 그 이후에는 2010년을 제외하고 매년 반대의 결과가 관찰되었다. 이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가계소비가 중국의 경제성장을 견인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만 가계소비의 증가 속도가 아직은 그리 빠르지 않아서 성장의 핵심 엔진으로 작용하는 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2015년을 포함하여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부동산 부문의 침체와 더불어 계속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소비의 증가가 가속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결국 중국정부는 소규모의 제한적 경기부양과 개혁을 통한 신 성장 동력 확보를 추진하면서 성장과 구조 전환을 동시에 도모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중국의 가계소비 규모를 다양한 방식으로 추정하고, 이를 미국, 한국 등과 비교하여 그 규모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가계소비는 어떤 방식으로 추정하든 세계 2...

      이 논문은 중국의 가계소비 규모를 다양한 방식으로 추정하고, 이를 미국, 한국 등과 비교하여 그 규모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가계소비는 어떤 방식으로 추정하든 세계 2위의 규모이지만, 추정 방식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명목 환율 기준 평가에 따르면 미국 가계소비 규모의 30%에 불과하지만, 구매력평가 기준에 따르면 51%에 달한다.
      또한 이 논문은 2000∼2013년 기간에 대하여 명목 가계소비 금액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통계를 이용하여 가계소비의 실질증가율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에 따르면 2008년 이전에는 가계소비 실질 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낮았지만 그 이후에는 2010년을 제외하고 매년 반대의 결과가 관찰되었다. 이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가계소비가 중국의 경제성장을 견인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만 가계소비의 증가 속도가 아직은 그리 빠르지 않아서 성장의 핵심 엔진으로 작용하는 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2015년을 포함하여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부동산 부문의 침체와 더불어 계속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소비의 증가가 가속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결국 중국정부는 소규모의 제한적 경기부양과 개혁을 통한 신 성장 동력 확보를 추진하면서 성장과 구조 전환을 동시에 도모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stimate the size of China’s household consumption using various methods, comparing it with that of the U.S. and Korea. The results shows that the size of China’s consumption is big enough to become the second largest in the world. However, the estimates are quite diverse depending on the method of estimation, with the minimum of 30% of the U.S and the more appropriate estimate of 51% of the U.S..
      Then, this paper estimate the real growth rate of household consumption for the peirod of 2000∼2013, using the nominal amount of household consumption and consumer price index. The outcome of the estimation shows that the real growth rate of household consumption was lower than the GDP growth rate until 2008, while the opposite case is observed for 2009∼2013, except just 2010. The finding suggests that household consumption began to contribute more to the growth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However, the degree of increase in household consumption has been rather too small for consumption to become a new major engine of growth in China.
      This situation is likely to continue in foreseeable future including 2015. While growth rate continues to decline with substantial cooling-off of the real estate sector, the growth rate of household consumption cannot accelerate for the time being. In this context, Chinese government will be forced to muddle through the situation with small scale stimulation and continued implementation of diverse reform measures.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estimate the size of China’s household consumption using various methods, comparing it with that of the U.S. and Korea. The results shows that the size of China’s consumption is big enough to become the second largest in t...

      This paper attempts to estimate the size of China’s household consumption using various methods, comparing it with that of the U.S. and Korea. The results shows that the size of China’s consumption is big enough to become the second largest in the world. However, the estimates are quite diverse depending on the method of estimation, with the minimum of 30% of the U.S and the more appropriate estimate of 51% of the U.S..
      Then, this paper estimate the real growth rate of household consumption for the peirod of 2000∼2013, using the nominal amount of household consumption and consumer price index. The outcome of the estimation shows that the real growth rate of household consumption was lower than the GDP growth rate until 2008, while the opposite case is observed for 2009∼2013, except just 2010. The finding suggests that household consumption began to contribute more to the growth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However, the degree of increase in household consumption has been rather too small for consumption to become a new major engine of growth in China.
      This situation is likely to continue in foreseeable future including 2015. While growth rate continues to decline with substantial cooling-off of the real estate sector, the growth rate of household consumption cannot accelerate for the time being. In this context, Chinese government will be forced to muddle through the situation with small scale stimulation and continued implementation of diverse reform meas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연구의 의의
      • Ⅱ. 중국의 총수요 구조의 변화 추이
      • Ⅲ. 중국의 가계소비 규모의 추정
      • Ⅳ. 중국의 가계소비 증가율의 추정
      • Ⅴ. 결어 : 소비의 성장 동력화 가능성 평가
      • Ⅰ. 서론 : 연구의 의의
      • Ⅱ. 중국의 총수요 구조의 변화 추이
      • Ⅲ. 중국의 가계소비 규모의 추정
      • Ⅳ. 중국의 가계소비 증가율의 추정
      • Ⅴ. 결어 : 소비의 성장 동력화 가능성 평가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평섭, "중국 경기부양 조치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9 (9): 2009

      2 이정진, "중 가계의 음성소득 규모와 시사점" 국제금융센터 2010

      3 김시중, "새 지도부의 등장과 중국경제 - 평가와 전망" 현대중국학회 14 (14): 1-42, 2013

      4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국민계정 (2010년 기준)"

      5 王小魯, "灰色收入與國民收入分配" 48 : 2010

      6 "中央經濟工作會議在北京擧行"

      7 中國國家統計局, "中國統計年鑑" 中國統計出版社 2012

      8 "中國國家統計局 웹사이트"

      9 IMF,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10 "World Bank Database"

      1 양평섭, "중국 경기부양 조치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9 (9): 2009

      2 이정진, "중 가계의 음성소득 규모와 시사점" 국제금융센터 2010

      3 김시중, "새 지도부의 등장과 중국경제 - 평가와 전망" 현대중국학회 14 (14): 1-42, 2013

      4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국민계정 (2010년 기준)"

      5 王小魯, "灰色收入與國民收入分配" 48 : 2010

      6 "中央經濟工作會議在北京擧行"

      7 中國國家統計局, "中國統計年鑑" 中國統計出版社 2012

      8 "中國國家統計局 웹사이트"

      9 IMF,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10 "World Bank Database"

      11 "OICA (Organisation Internationale Constructeurs d’Automobil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Motor Vehicle Manufacturers, Paris)"

      12 "Bureau of Economic Analysis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13 이승신, "2011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11 (11): 2011

      14 지만수, "17기 5중전회를 통해본 중국 12차 5개년 계획의 주요 내용과 의미" 10 (1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China and Sonology -> China and Sinolog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9-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中國과 中國學 -> 중국과 중국학
      외국어명 : China and Sinology -> China and So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785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