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한중경협단지는 중국과 한국 두 나라가 공동으로 개발 조성하는 경제 협력 프로젝트로 중국과 한국 간 보다 심도 깊은 경제협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40901
2015
Chinese
KCI등재
학술저널
1-22(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새만금 한중경협단지는 중국과 한국 두 나라가 공동으로 개발 조성하는 경제 협력 프로젝트로 중국과 한국 간 보다 심도 깊은 경제협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
새만금 한중경협단지는 중국과 한국 두 나라가 공동으로 개발 조성하는 경제 협력 프로젝트로 중국과 한국 간 보다 심도 깊은 경제협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은 2006년 말부터 해외경협단지 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왔고 2012년 7월 말 현재 13개 국가의 총 19개 경협단지를 조성하였다. 그에 따라 중국기업의 해외진출도 한층 가속화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해외경협단지 개발 현황과 특징 그리고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만금 한중경협단지 개발방식 모색과 그 정책적 제안에 있다.
현행의 중국의 해외 경협단지가 직면한 문제점은 아래와 같다. 즉 비즈니스 모델이 단순하고, 단지조성 자금이 부족함에 따라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이 힘들다. 단지조성의 기획 목표와 포지셔닝이 명확하지 않다. 단지 관리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정책적 지원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투자 리스크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새만금 한중경협 단지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였다. 양국 정부 차원의 정책지원이 뒷받침되는 가운데 양국이 가지고 있는 비교우위를 잘 발휘할 수 있는 산업을 선택하고 여기에 해당하는 기업들이 그 운영 주체가 되어야 함을 지적했다. 또한 경협 단지의 투융자,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성과 그 선택이 매우 중요함을 지적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