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급자 인식조사를 통해 본 u-Health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 보건소 근무자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Methods to Invigorate u-Health Services Seen in a Supplier Awareness Survey - Focusing on Health Center Worker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15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Health service which combines medicine with IT adapts to the changing medical paradigm. It is an effective method of providing necessary medical services to medically vulnerable people who could not receive the required medical services due to geographical or time constraints, and reduces medical expenses at the national level to decrease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Economically, it is a promising business which will lead the Korean economy on the 21st century. The government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establish comprehensive measures to promote u-Health services and implement trial service projects, but the outcomes still need improvement to be satisfactory.
      This study focused on the health center workers, who are at the front line with regards to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nd examined the reasons why u-Health services have not been successfully activated despite the government’s efforts, future outlook of u-Health services, effects expected from u-Health service introduction, order of priority for the targets of u-Health service introduction, scope of the targets of u-Health service introduction, optimal medical fees for u-Health services, concerns upon u-Health service introduction and policy directions for u-Health service promot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s of u-Health service invigoration were mostly evaluated positively by the health center workers, who are the suppliers of u-Health services. However, they consider it difficult to expect an active implementation in the near future due to various institutional factors and it appear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mprehensive measures such as clarification of responsibility for medical accidents and health insurance applicability, in order to invigorate u-Health services.
      번역하기

      u-Health service which combines medicine with IT adapts to the changing medical paradigm. It is an effective method of providing necessary medical services to medically vulnerable people who could not receive the required medical services due to geogr...

      u-Health service which combines medicine with IT adapts to the changing medical paradigm. It is an effective method of providing necessary medical services to medically vulnerable people who could not receive the required medical services due to geographical or time constraints, and reduces medical expenses at the national level to decrease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Economically, it is a promising business which will lead the Korean economy on the 21st century. The government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establish comprehensive measures to promote u-Health services and implement trial service projects, but the outcomes still need improvement to be satisfactory.
      This study focused on the health center workers, who are at the front line with regards to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nd examined the reasons why u-Health services have not been successfully activated despite the government’s efforts, future outlook of u-Health services, effects expected from u-Health service introduction, order of priority for the targets of u-Health service introduction, scope of the targets of u-Health service introduction, optimal medical fees for u-Health services, concerns upon u-Health service introduction and policy directions for u-Health service promot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s of u-Health service invigoration were mostly evaluated positively by the health center workers, who are the suppliers of u-Health services. However, they consider it difficult to expect an active implementation in the near future due to various institutional factors and it appear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mprehensive measures such as clarification of responsibility for medical accidents and health insurance applicability, in order to invigorate u-Health ser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IT와 의료가 결합된 u-Health서비스는 변화된 의료 패러다임에 순응하고, 지리적․시간적 제약으로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적시에 적절히 받지 못하던 의료취약계층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적절히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가 전체적으로 의료비용을 절감시켜줌으로써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다. 또한 경제적으로도 21세기 우리경제를 이끌어갈 유망한 산업 분야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도 u-Health 활성화 종합대책의 수립, 시범서비스 사업 시행 등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아직도 그 성과는 미비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제일선에 있는 보건소 근무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u-Health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 u-Health서비스의 향후 전망, u-Health서비스 도입으로 기대되는 효과, u-Health서비스 도입 대상우선순위, u-Health서비스도입 대상 우선순위, u-Health서비스 도입 대상 범위, u-Health서비스 적정 의료 수가, u-Health서비스 도입 시 우려되는 사항, u-Health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u-Health서비스 공급자인 보건소근무자들은 u-Health서비스 활성화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에는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다양한 요인으로 향후 빠른 시간 내에는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u-Health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의료사고 책임소재, 건강보험 적용 등 종합적인 활성화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IT와 의료가 결합된 u-Health서비스는 변화된 의료 패러다임에 순응하고, 지리적․시간적 제약으로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적시에 적절히 받지 못하던 의료취약계층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

      IT와 의료가 결합된 u-Health서비스는 변화된 의료 패러다임에 순응하고, 지리적․시간적 제약으로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적시에 적절히 받지 못하던 의료취약계층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적절히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가 전체적으로 의료비용을 절감시켜줌으로써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다. 또한 경제적으로도 21세기 우리경제를 이끌어갈 유망한 산업 분야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도 u-Health 활성화 종합대책의 수립, 시범서비스 사업 시행 등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아직도 그 성과는 미비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제일선에 있는 보건소 근무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u-Health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 u-Health서비스의 향후 전망, u-Health서비스 도입으로 기대되는 효과, u-Health서비스 도입 대상우선순위, u-Health서비스도입 대상 우선순위, u-Health서비스 도입 대상 범위, u-Health서비스 적정 의료 수가, u-Health서비스 도입 시 우려되는 사항, u-Health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u-Health서비스 공급자인 보건소근무자들은 u-Health서비스 활성화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에는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다양한 요인으로 향후 빠른 시간 내에는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u-Health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의료사고 책임소재, 건강보험 적용 등 종합적인 활성화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취약계층 해소를 위한 u-Health 서비스 도입방안" 2009

      2 삼성경제연구소, "유헬스(u-health)의 경제적 효과와 성장전략" 2007

      3 강성욱, "유헬스(u-health) 시대의 도래" 삼성경제연구소 (502) : 2007

      4 김승환, "유헬스 서비스를 위한 개인 건강기기 표준화 동향" 한국정보과학회 29 (29): 31-37, 2011

      5 박주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개인 건강기기를 위한 원격 관리 시스템 구축" 한국정보과학회 29 (29): 72-82, 2011

      6 황희정, "유-헬스 서비스의 상호 운용성 향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한국정보기술학회 8 (8): 111-118, 2010

      7 한영오, "산소 포화도의 무선 전송을 위한 통신모듈 및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 개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1 (11): 279-284, 2010

      8 김성우, "국내외 u-헬스 산업 최근 동향" KT경제경영연구소 1-18, 2009

      9 이준영, "국내 u-Health 시범사업 추진현황 및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 (20): 25-44, 2008

      10 권성미, "공공부문의 u-Health 도입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8 (18): 19-45, 2006

      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취약계층 해소를 위한 u-Health 서비스 도입방안" 2009

      2 삼성경제연구소, "유헬스(u-health)의 경제적 효과와 성장전략" 2007

      3 강성욱, "유헬스(u-health) 시대의 도래" 삼성경제연구소 (502) : 2007

      4 김승환, "유헬스 서비스를 위한 개인 건강기기 표준화 동향" 한국정보과학회 29 (29): 31-37, 2011

      5 박주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개인 건강기기를 위한 원격 관리 시스템 구축" 한국정보과학회 29 (29): 72-82, 2011

      6 황희정, "유-헬스 서비스의 상호 운용성 향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한국정보기술학회 8 (8): 111-118, 2010

      7 한영오, "산소 포화도의 무선 전송을 위한 통신모듈 및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 개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1 (11): 279-284, 2010

      8 김성우, "국내외 u-헬스 산업 최근 동향" KT경제경영연구소 1-18, 2009

      9 이준영, "국내 u-Health 시범사업 추진현황 및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 (20): 25-44, 2008

      10 권성미, "공공부문의 u-Health 도입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8 (18): 19-45, 2006

      1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건강관리서비스 및 u-Healthcare 시장규모 추계" 2009

      12 최명식, "u-헬스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경희대학교 (11) : 161-192, 2007

      13 한국정보사회진흥원, "u-서비스 추진 관련 법적 쟁점 및 이슈" 한국전산원 2007

      14 산업연구원, "u-health서비스 수요분석 및 시장 활성화 방안" 2010

      1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u-health 환경에서 보건-의료 서비스 공급자의 이슈" 2005

      16 지경용, "u-health 수요전망과 정책과제"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10 : 38-42, 2006

      17 이종화, "u-health 동향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0

      18 강성욱, "u-health 도래와 의료기관의 역할" ITMG 2007

      19 조형원, "u-Health의 현황과 법적문제" 대한의료법학회 17 (17): 137-175, 2006

      20 김경호, "u-Health와 최근 기술 동향" 한국정보과학회 29 (29): 15-23, 2011

      21 김시연, "u-Healthcare의 개념 및 보건의료서비스에의 적용" 한국IT서비스학회 379-382, 2008

      2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u-Healthcare 활성화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2008

      23 송태민, "u-Healthcare 이슈 및 연구동향" 보건사회연구원 70-86, 2011

      24 보건복지가족부, "u-Healthcare 실태조사" 2008

      25 임용묵, "u-Health 환경을 위한 질환판별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한국정보기술학회 8 (8): 101-107, 2010

      26 한국보건산업진흥원, "u-Health 신산업 창출을 위한 사업화 전략연구" 2010

      27 김봉찬, "u-Health 시스템을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심전도 전송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37 (37): 332-336, 2010

      2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u-Health 수요전망과 시장개발 방향" (1231) : 2006

      29 정상중, "u-Health 서비스 지원을 위한 착용형 옥시미터를 이용한 맥파 분석 시스템" 한국센서학회 19 (19): 17-24, 2010

      30 김홍진, "u-Health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Value-Chain을 중심으로, 정보와 통신" 한국통신학회 26 (26): 24-28, 2009

      3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u-Health 보험급여 적용방안" 2010

      32 Della, MV, "What is e-health(2): The death of telemedicine" 3 (3): e22-, 2001

      33 "WHO"

      34 신재완, "U-Health 응용을 위한 저전력 휴대폰 클라이언트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36 (36): 40-45, 2009

      3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Health 비즈니스 전망 및 시장 활성화 방안" 2005

      36 Bashshur R, "Telemedicine theory and practice" Springfield, IL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2 0.96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