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성취목적과 학습전략에 관한 조사 연구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비교 - = A Study on Science-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rategy - Comparison between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6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인이 과제를 수행하는 이유와 의도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초점을 맞춘 성취목적 이론에 비추어 과학영재 학생들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학습에 임하는지 그것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인이 과제를 수행하는 이유와 의도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초점을 맞춘 성취목적 이론에 비추어 과학영재 학생들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학습에 임하는지 그것을 위해서 어떤 학습전략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과학영재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성취목적에서는 과제지향과 수행지향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습전략 면에서는 심층적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 학생들의 성취목적 중 과제 지향, 수행회피 목적과 학습전략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 학생들의 성취목적 중 과제지향, 수행지향이 학습전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과학영재 학생들은 과제지향, 수행지향 목적 모두 높은 집단, 과제지향 목적만 높은 집단, 과제지향, 수행지향, 수행회피 목적이 보통인 집단으로 복합적인 성취목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과제 지향, 수행지향 목적 모두 높은 집단, 과제지향 목적만 높은 집단에 포함된 과학영재 학생들은 다른 한 집단보다 심층적 학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Science-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rategy - Comparison betwwen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 Choi, Chui-Im Chun, Mi-ran Choe, Seng-Urn Jeong, Dae-H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

      A Study on Science-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rategy
      - Comparison betwwen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

      Choi, Chui-Im
      Chun, Mi-ran
      Choe, Seng-Urn
      Jeong, Dae-H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goals science gifted students have when they face on learning and what learning strategies they use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achievement goals. For the achievement goals, the science-gifted students were compared to non-gifte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of task and performance goal. For the learning strategies, they were found to use in-depth leaning strategies. Task and performance avoided goal among science-gifted students'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rateg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lso task and performance goal among non-gifted students'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rateg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Science-gifted students had different kinds of compound achievement goals: high task-high performance goal(cluster 1), high task goal(cluster 2), average task, performance, performance avoided goal(cluster 3). Science-gifted students who belong to cluster 1 and cluster 2 were found to use in-depth learning strategies more than science-gifted students who belong to cluster 3.

      Key Words: science-gifted, achievement goals, learning strateg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1" 한국과학교육학회 21 (21): 122-134, 2001

      2 "중학교 과학영재 및 일반 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2000

      3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지향성,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문제 연구소 10 (10): 227-253, 1998

      4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 19 (19): 79-101, 2000

      5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한국초등교육학회 14 (14): 181-197, 2000

      6 "영재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2003

      7 "성취목표지향성에 관한 연구결과와 그 교육적 시사" 대구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 (19): 281-299, 2003

      8 "생물분야 과학영재들의 학습양식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2 (32): 267-275, 2004

      9 "군집 분석을 이용한 학생들의 성취 목적 양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321-326,

      10 "교실맥락 지각과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관련 도움요청 행동 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3 (13): 177-199, 1999

      1 "중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1" 한국과학교육학회 21 (21): 122-134, 2001

      2 "중학교 과학영재 및 일반 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2000

      3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지향성,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문제 연구소 10 (10): 227-253, 1998

      4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 19 (19): 79-101, 2000

      5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한국초등교육학회 14 (14): 181-197, 2000

      6 "영재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2003

      7 "성취목표지향성에 관한 연구결과와 그 교육적 시사" 대구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 (19): 281-299, 2003

      8 "생물분야 과학영재들의 학습양식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2 (32): 267-275, 2004

      9 "군집 분석을 이용한 학생들의 성취 목적 양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321-326,

      10 "교실맥락 지각과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관련 도움요청 행동 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3 (13): 177-199, 1999

      11 "과학영재가 선호하는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조사를 통한 수업 전략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31 (31): 16-23, 2003

      12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성취목적에 대한 이해" 서울대학교 2005

      13 "과학 고등학교의 과학영재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6 (26): 1-15, 1995

      14 "Theories of intelligence, achievement goals and learning strategies of Chinese students" 405-531, 1996

      15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the change in their misunderstandings during a high school chemistry course" (7) : 687-699, 1992

      16 "Students' help seeking during problem solving" 90 (90): 644-658, 1998

      17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14-523, 1988

      18 "Reasons for studying:Motivational orientations and study strategies" 5 (5): 269-287, 1988

      19 "Person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 on students' beliefs about effective study strategies" 116-130, 1990

      20 "Multiple-goal pursuit and its relation to cognitive, self-regulatory, and motivational strategies" 71 (71): 561-572, 2001

      21 "Meaningful learning, reasoning ability, and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of topics in genetics" 33 (33): 625-656, 1996

      22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 261-271, 1992

      23 "Intrinsic Motivation in the classroom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In C Academic Press 73-105, 1989

      2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 domain goal orientation instrument" 57 (57): 995-1015, 1997

      25 "Competition and the adjustment of gifted children" 22 (22): 212-216, 2000

      26 "Avoiding the demonsstration of lack of ability" 89 (89): 710-718, 1997

      27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s" 34 : 169-189, 1999

      28 "Adolescents' theories of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 683-692, 1985

      29 "Achievement goals and student well-being" 24 : 330-358, 1999

      30 "A structural model of task values, goals orientations, and lear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 065-655, 2001

      31 "A developmental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combined learning and performance goals and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68 (68): 309-318, 1998

      32 "A Pattern analysis of students' achievement goa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 582-590,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