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노인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기억과 성공적 노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91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는 나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고, 대상자의 성공적 노화는 기억과 정적관계가 있고,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부적관계가 있었다. 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는 나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고, 대상자의 성공적 노화는 기억과 정적관계가 있고,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부적관계가 있었다.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기억 간에 부적 관계가 있었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노인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스트레스 개입 프로그램의 경험적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social stress, memory, and successful aging of the community-residing elderly. Methods: 152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D area were interviewed, from August 1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social stress, memory, and successful aging of the community-residing elderly.
      Methods: 152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D area were interviewed, from August 1st, 2020 to October 30th, 2020. The outcomes were measured by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PWI), Mini-Memory Test (MiMeT) and successful aging.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memor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successful aging, and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memory. Psychosocial stress was identified as a predictor of successful aging, which explained 26.4% of total variance of successful aging.
      Conclusions: When we prepare intervention programs which improve successful aging for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we need to consider psychosocial stress. In addition, stress management programs for successful aging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current successful ag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연구 방법
      • 연구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연구 방법
      • 연구 결과
      •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11-231, 2008

      2 박한결, "주관적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 양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7 (27): 27-36, 2010

      3 최지혜, "장기요양기관 이용 노인의 인지기능과 죽음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879-894, 2020

      4 김기태, "여성 노인의 부정적인 생활 스트레스와 탄력성과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29) : 71-90, 2005

      5 이나윤,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후마네트 운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45 (45): 121-129, 2020

      6 남기민, "노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85-112, 2012

      7 박종한, "간이기억검사 : 새로운 간편 기억 장애 선별 검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3 (43): 337-344, 2004

      8 Teater B, "What attributes of successful aging are important to older adults? The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59 (59): 161-179, 2020

      9 King F, "Stress=Aging, Eustress=Antiaging" 37 (37): 38-42, 2015

      10 Sapolsky RM, "Stress" Science books 2014

      1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11-231, 2008

      2 박한결, "주관적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 양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7 (27): 27-36, 2010

      3 최지혜, "장기요양기관 이용 노인의 인지기능과 죽음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879-894, 2020

      4 김기태, "여성 노인의 부정적인 생활 스트레스와 탄력성과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29) : 71-90, 2005

      5 이나윤,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후마네트 운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45 (45): 121-129, 2020

      6 남기민, "노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85-112, 2012

      7 박종한, "간이기억검사 : 새로운 간편 기억 장애 선별 검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3 (43): 337-344, 2004

      8 Teater B, "What attributes of successful aging are important to older adults? The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59 (59): 161-179, 2020

      9 King F, "Stress=Aging, Eustress=Antiaging" 37 (37): 38-42, 2015

      10 Sapolsky RM, "Stress" Science books 2014

      11 Faul F,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41 : 1149-1160, 2009

      12 Jang SJ, "Standardization of health statistics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Stress"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92-143, 2000

      13 Santos AT, "Relationship between cortisol reactivity during aging: Impact of age and sex" 18 (18): 169-176, 2018

      14 James KA, "Psychosocial stress associated with memory performance in older South African adults" 27 (27): 553-566, 2020

      15 Palma-Gudiel H, "Psychosocial stress and epigenetic aging" 150 : 107-128, 2020

      16 강상경, "Overall Successful Aging: Its Factorial Structure and Predictive Factors" 한국사회복지학회 2 (2): 61-74, 2008

      17 Lezak F,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Factsheets 2017"

      19 Kim JM, "Intervention effect of optimism and perceived parental sp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tress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21 (21): 203-225, 2014

      20 Park JH,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95-111, 2009

      21 Zannas AS, "Epigenetics as a key link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aging:Concepts, evidence, mechanisms" 21 (21): 389-396, 2019

      22 Jung KH, "Current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s of elderly culture-critical approaches to ‘successful aging’ discours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23 Moore RC, "Complex interplay between health and successful aging:Role of perceived stres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23 (23): 622-632, 2015

      24 Ihle A, "Age benefits in everyday prospective memory: The influence of personal task importance, use of reminders and everyday stress" 19 (19): 84-101, 2012

      25 Loprinzi PD, "Acute exercise, psychologic stress induction, and episodic memory" 43 (43): 1016-1029, 2019

      26 Shin KR,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5 (5): 27-37, 2003

      27 Ahn JS, "A study 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in adult developmental stages" Donga University 2010

      28 Statistics Korea, "2018 statistics of the aged" Statistics Korea Press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8-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6-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지 ->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1-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 ->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 ->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12 2.09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