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2017~2018년 러시아사 연구: 양질전화의 도정에서... = The State of Russian Studies in South Korea 2017~2018: From Quantity To Q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56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previous two years (2017~2018), South Korean scholars published a great quantity of studies on Russian history. A total of 102 articles and 60 monographs were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The centenary of the Russian Revolution (2017), to ...

      During the previous two years (2017~2018), South Korean scholars published a great quantity of studies on Russian history. A total of 102 articles and 60 monographs were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The centenary of the Russian Revolution (2017), to some extent, affected the enormous number of publications. However, the publications’ absolute number, excluding research on the revolution, is still continuously increasing. South Korean historians keep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research by exploring new topics, producing new research while extensively using primary sources, and publishing their findings in prestigious international journals. Nonetheless, South Korean scholarship should conserve strict peer-review procedures in order to guarantee a high quality of research. The scholarship of Russian history will need to: first, focus more on the “others,” including Russia’s relations with, and perceptions of, foreign encounters; and second, center on the history of Russian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Russian environment. The goal of these suggested research directions is to understand contemporary Russia’s moves in global geopolitical and geocultural arenas, and to obtain valuable lessons from Russia’s experiences. In addition, other tasks for South Korean historians involve the promotion of collaborations for the publication of a Russian history textbook and a source boo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7~2018년 동안 국내 러시아사 연구자들은 괄목한 성과를 이루어냈다. 총 102편의 논문과 60권의 단행본 발간으로 국내 러시아사 연구 역사상 2년 동안의 연구업적으로서는 최대의 실적을 올...

      2017~2018년 동안 국내 러시아사 연구자들은 괄목한 성과를 이루어냈다. 총 102편의 논문과 60권의 단행본 발간으로 국내 러시아사 연구 역사상 2년 동안의 연구업적으로서는 최대의 실적을 올렸다. 러시아혁명 100주년이 부분적으로 연구업적의 양적 팽창에 영향을 주었지만, 혁명 관련 연구 성과물을 제외한다 해도 그 전해와 비교해 뚜렷한 증가세를 보여주었다. 양적 증가에 이어 연구 성과의 질적 향상도 확인된다. 새로운 연구주제 발굴과 심화 연구, 1차 사료를 꼼꼼히 활용한 연구, 국제 저명 출판매체를 통한 연구 성과 출간 등이 그 예이다. 하지만 성공적인 양질전화를 위해서는 보다 엄격한 논문심사를 통해 연구 결과물의 질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향후 국내 러시아사학계가 더 관심 가져야 할 연구주제는 첫째, 최근 국제무대에서 러시아의 행보와 연관 있는 러시아의 타자 인식과 타자와의 관계, 둘째, 오늘날 일상생활과 밀접히 연관 있는 과학·기술사, 환경사 분야일 것이다. 이에 더해 학문 후속세대를 위한 러시아사 개설서 집필 및 사료집 편찬은 국내 러시아사 연구자가 가까운 시일 내에 수행해야 할 책무일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원용, "회고와 전망: 2015~2016년 러시아사: ‘더 많이 다양하게 쓰기’의 재현" 역사학회 (235) : 329-353, 2017

      2 홍웅호, "홍범도의 중앙아시아에서의 생활" 수선사학회 (61) : 159-182, 2017

      3 윤상원, "홍범도의 러시아 적군 활동과 자유시사변" 한국사연구회 (178) : 233-263, 2017

      4 김상철, "현대 중앙아시아 정착지대 이슬람에 대한 문명사적 접근: 타지키스탄을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 27 (27): 51-78, 2017

      5 파이지스, 올랜도, "혁명의 러시아 1891~1991" 어크로스 2017

      6 레닌, 블라디미르, "혁명의 기술에 대하여" 생각의힘 2017

      7 박원용, "한정숙, 『시베리아 유형의 역사: 격리 형벌, 계몽, 자유』 (민음사, 2017)" 한국서양사학회 (140) : 222-227, 2019

      8 이경완, "한정숙, <시베리아 유형의 역사: 격리 형벌, 계몽, 자유>, 민음사, 2017." 러시아연구소 28 (28): 321-328, 2018

      9 "한국학술정보"

      10 "한국연구자정보"

      1 박원용, "회고와 전망: 2015~2016년 러시아사: ‘더 많이 다양하게 쓰기’의 재현" 역사학회 (235) : 329-353, 2017

      2 홍웅호, "홍범도의 중앙아시아에서의 생활" 수선사학회 (61) : 159-182, 2017

      3 윤상원, "홍범도의 러시아 적군 활동과 자유시사변" 한국사연구회 (178) : 233-263, 2017

      4 김상철, "현대 중앙아시아 정착지대 이슬람에 대한 문명사적 접근: 타지키스탄을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 27 (27): 51-78, 2017

      5 파이지스, 올랜도, "혁명의 러시아 1891~1991" 어크로스 2017

      6 레닌, 블라디미르, "혁명의 기술에 대하여" 생각의힘 2017

      7 박원용, "한정숙, 『시베리아 유형의 역사: 격리 형벌, 계몽, 자유』 (민음사, 2017)" 한국서양사학회 (140) : 222-227, 2019

      8 이경완, "한정숙, <시베리아 유형의 역사: 격리 형벌, 계몽, 자유>, 민음사, 2017." 러시아연구소 28 (28): 321-328, 2018

      9 "한국학술정보"

      10 "한국연구자정보"

      11 김현택, "포시에트에서 아르바트까지"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 2017

      12 라디셰프 알렉산드르, "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로의 여행" 을유문화사 2017

      13 박상철, "파벨 밀류코프의 1916년 11월 1일 국가두마 연설 -혁명의 돌격 신호?-" 한국서양사학회 (137) : 38-71, 2018

      14 클리프, 토니, "트로츠키 1927~1940 고전적 마르크스주의 전통을 사수하다" 책갈피 2017

      15 노경덕, "탈이념화된 기억―러시아혁명 100주년 기념을 돌아보다" 역사문제연구소 (122) : 247-281, 2018

      16 김영순, "카자흐스탄 고려인 생애사 스토리텔링 연구" 북코리아 2018

      17 도이처, "추방된 예언자 트로츠키 1929~1940" 시대의창 2017

      18 석화정, "청일전쟁 전황(戰況)과 ‘조선의 독립’ 문제에 대한 열강의 정책"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2) : 151-186, 2017

      19 로렌, 그레이엄 R, "처형당한 엔지니어의 유령" 역사인 2017

      20 이연식,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 사할린한인 문제를 둘러싼 한러일 3국의 외교협상" 채륜 2018

      21 방일권,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 채륜 2018

      22 정세진, "중앙아시아에서 소비에트의 역사적 유산에 관한 고찰" 한국노어노문학회 29 (29): 235-270, 2017

      23 고가영, "중앙아시아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키르기스스탄" 민속원 2018

      24 고가영, "중앙아시아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카자흐스탄" 민속원 2017

      25 고가영, "중앙아시아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우즈베키스탄" 민속원 2017

      26 채준형, "중국과 소련의 핵 기술 개발 협력 재고, 1945~1960" 대동문화연구원 (98) : 63-90, 2017

      27 김영수, "주한 러시아공사 쉬뻬이에르의 외교활동과 한국정책" 역사학회 (233) : 151-180, 2017

      28 고가영, "주류문화와의 조우로 인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장례문화 변화 양상 : 전통의 고수와 동화 사이의 혼종성" 역사문화연구소 (67) : 79-120, 2018

      29 김종헌, "조선 주재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부임에 관한 외교문서 분석" 국제지역연구센터 20 (20): 145-168, 2017

      30 정세진, "제정러시아의 철도 역사에 관한 소고 :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중앙아시아 철도를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2 (32): 319-352, 2017

      31 양승조, "제정 러시아 시기 프리모리예 지역에서 이주 조건의 변화와 민족별 인구 동향" 한국서양사연구회 (58) : 33-74, 2018

      32 프라샤드, 비자이, "제3세계의 붉은 별: 러시아 혁명은 제3세계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두번째테제 2018

      33 류한수, "제2차 세계대전의 “잊힌 전선”: 한국 사회와 학계의 독소전쟁 인식" 러시아연구소 27 (27): 109-140, 2017

      34 심헌용, "제2차 세계대전기 소련의 대일전 참가를 둘러싼 미·소 군사협력 - 무기대여법과 ‘훌라(Hula) 프로젝트’의 역할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5) : 227-256, 2017

      35 심헌용, "제2차 세계대전 전후 동북아 영토의 귀속에 대한 소련의 입장 : 샌프란시스코 대일평화조약 초안을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4 (24): 123-150, 2018

      36 류한수,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붉은 군대 전투 역량의 실상과 허상" 러시아연구소 33 (33): 31-61, 2017

      37 박상철, "제1차 세계대전기 러시아 우익의 분열과 전제정 옹호 논거의 약화" 한국서양사학회 (134) : 39-72, 2017

      38 최지은,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여성의 군사적 참여: 개별 여성군인과 제1 러시아 여성 결사대대의 사례"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2) : 1-36, 2017

      39 박상철,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금주법의 도입" 호남사학회 (72) : 311-341, 2018

      40 류한수, "제1차 세계대전 시기 교전국 여성 인력의 군사적 활용과 그 의의: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의 사례" 군사편찬연구소 6 : 2017

      41 백승욱, "장기 20세기와 사회주의 역사적 경험의 회고 러시아혁명과 중국혁명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16) : 18-59, 2017

      42 최정현, "이행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공간 진화체로서 17세기 러시아"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17 : 103-124, 2018

      43 레닌, 블라디미르, "이른바 시장 문제에 관하여" 아고라 2018

      44 이정희, "은둔의 나라 러시아 역사 속 민중(상): 깊은 심연을 건너며" 영남대학교출판부 2018

      45 고가영,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중앙아시아 지역의 형성과 역동성" 진인진 2017

      46 반병률,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와 한국독립운동 (1) -대회 개최의 배경과 준비" 역사문화연구소 (65) : 87-134, 2018

      47 최아영, "우즈베키스탄 역사교과서의 이슬람 서술 분석"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2 (32): 437-472, 2017

      48 한국러시아문학회, "예술이 꿈꾼 러시아혁명: 예술가들은 혁명과 어떻게 만났는가" 한길사 2017

      49 김태연, "아스타나 도시풍경에 반영된 포스트소비에트 카자흐스탄 정체성 건설의 딜레마" 도시인문학연구소 9 (9): 91-131, 2017

      50 한정숙, "시베리아 유형의 역사: 격리 형벌, 계몽, 자유" 민음사 2017

      51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시베리아 근대성과 소수민족 담론" 민속원 2017

      52 송준서, "슬라브학 30년사: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로 향하다" 한울 2016

      53 홀레브뉴크, 올레크 V, "스탈린: 독재자의 새로운 얼굴" 삼인 2017

      54 노경덕, "스탈린 외교를 바라보는 한 시각, 1927~1953" 역사문제연구소 (121) : 372-400, 2017

      55 김남섭, "스탈린 대테러의 배경과 원인에 관한 재고찰 James Harris, ed., The Anatomy of Terror: Political Violence under Stali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33 pp. ISBN 978-0-19-965566-3" 한국서양사연구회 (57) : 251-283, 2017

      56 조준배, "스타하노프 운동과 소련 철도, 1935∼1936" 인문학연구원 (68) : 231-259, 2018

      57 최진석, "소비에트 민주주의와 프롤레타리아 독재―러시아 혁명에서의 코뮨과 국가, 마음의 문제" 진보평론 71 : 2017

      58 박원용,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 진인진 2018

      59 김상철, "소련초기 중앙아시아 정착화 정책과 카자흐 및 키르기스 유목민공동체 변화" 중동연구소 36 (36): 73-98, 2018

      60 조준배, "소련의 공업화와 노동자 조직의 혁신, 1929-34" 대구사학회 130 : 417-446, 2018

      61 세마쉬코, N.A, "소련의 건강 보장" 건강미디어협동조합 2017

      62 김동혁, "소련 사회성격논쟁 재평가: 관리주의적 해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14 (14): 175-199, 2017

      63 김동혁, "소련 경제학계의 ‘리베르만 논쟁’과 그 결과" 역사학회 (236) : 413-450, 2017

      64 김용환, "세르게이 우바로프와 러시아 검열" 국제지역연구센터 22 (22): 113-134, 2018

      65 한정숙, "세계사 속의 러시아혁명" 한중관계연구원 4 (4): 47-79, 2018

      66 노경덕, "서기국과 스탈린의 권력 장악 문제 -비판적 재검토, 1922-1927-" 역사연구소 (90) : 187-220, 2017

      67 김동혁,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이론의 소비에트적 변용-과학이론에서 사회관리담론으로-" 역사연구소 (91) : 349-388, 2017

      68 도이처, "비무장의 예언자 트로츠키:1921~1929" 시대의창 2017

      69 박원용, "블라디슬라프 M. 주보크, 김남섭 역, 『실패한 제국』 (아카넷, 2016)" 한국서양사학회 (133) : 232-239, 2017

      70 킹스베리, 존 아담스, "붉은 의료. 소련의 사회화한 건강" 건강미디어협동조합 2017

      71 김태연, "분쟁 이후 도시에서 기억의 실행: 키르기스스탄 오쉬의 기념물을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소 10 (10): 153-185, 2018

      72 정세진, "북카프카스 지역의 피의 복수와 아다트 관습법" 아태지역연구센터 42 (42): 201-233, 2018

      73 정세진, "북카프카스 소수민족의 ‘피의 복수’: 용서와 화해의 변증적 방식을 중심으로" 러시아연구소 27 (27): 331-354, 2017

      74 기계형, "변화와 새로운 모색" 역사학회 (219) : 277-304, 2013

      75 남영호, "변방에서 문화로: 소련의 도시화와 도시공간의 성격" 라움 2017

      76 뜨로츠키, 레온, "배반당한 혁명: 소련은 무엇이며 어디로 가고 있는가" 갈무리 2018

      77 류한수, "발트해, 바이킹의 바다, 북유럽의 숨겨진 보석" 바다위의 정원 2017

      78 조호연, "박지배, 『근대세계체제에서 러시아와 영국의 무역』 (신서원, 2017)" 한국서양사학회 (136) : 190-197, 2018

      79 도이처, 아이작, "무장한 예언자 트로츠키 1879~1921" 시대의창 2017

      80 이문영, "몽골의 체제전환과 러시아 요소: 러⋅몽 관계사를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3 (33): 29-64, 2018

      81 박지배, "모스크바국의 역사 편찬과 ‘러시아’ 만들기: 종교·문화적 충돌의 관점에서" 역사문화연구소 (67) : 41-78, 2018

      82 황영삼, "모스크바 러시아의 팽창과 정교회 수도원: 16‐17세기 볼가 지역의 관리기관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2 (32): 555-584, 2017

      83 차혜영, "모스크바 극동피압박민족회의 참가기를 통해 본 혁명의 기억 ― 김단야, 여운형의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8 (18): 67-107, 2017

      84 김영수, "명례궁약정과 한러비밀협정을 통해본 모스크바대관식(1896)" 한국역사연구회 (106) : 291-323, 2017

      85 양승조, "마슬레니차 (Масленица) 전통신앙의 봄 축제와 그리스도교의 사육제(謝肉祭) 사이에서"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7 : 2018

      86 송준서, "로버트 서비스 (김남섭 역), 『레닌』 (교양인, 2017)" 한국서양사학회 (138) : 304-309, 2018

      87 서비스, 로버트, "레닌" 교양인 2017

      88 조호연, "러일전쟁의 원인과 베조브라조프 일파" 인문과학연구소 44 : 53-79, 2017

      89 최덕규, "러일전쟁과 청국의 전시 중립" 한국세계문화사학회 (49) : 61-109, 2018

      90 박원용, "러시아혁명을 바라보는 두 시각―E.H. 카와 쉴라 피츠패트릭의 『러시아혁명』" 역사비평사 124 : 2018

      91 최일붕, "러시아혁명: 희망과 좌절" 책갈피 2017

      92 노동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회, "러시아혁명: 인류의 도약" 노사과연 2017

      93 박환, "러시아혁명 이후 블라디보스토크 조선인거류민회의 조직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0) : 121-170, 2017

      94 김영수, "러시아함정 야꾸트호의 울릉도 조사의 과정과 내용(1903)"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9) : 1-32, 2018

      95 정세진, "러시아제국의 권력에 맞선 저항의 이데올로기 - 19세기 북카프카스의 이슬람 지도자인이맘 샤밀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3 (33): 65-100, 2018

      96 민경현, "러시아정교회의 분열과 한국 러시아정교회" 역사연구소 (92) : 361-384, 2017

      97 황성우, "러시아의 폴란드 병탄 과정(1772~1795)" 동유럽발칸연구소 41 (41): 215-245, 2017

      98 박종효, "러시아연방의 고려인 역사" 선인 2018

      99 김학준, "러시아사" 단국대학교출판부 2018

      100 러시아연방국방부중앙문서보관소, "러시아문서 번역집 34" 선인 2018

      101 러시아연방국방부중앙문서보관소, "러시아문서 번역집 33" 선인 2018

      102 러시아연방국방부중앙문서보관소, "러시아문서 번역집 32" 선인 2018

      103 러시아연방국방부중앙문서보관소, "러시아문서 번역집 31" 선인 2017

      104 러시아국립사회정치사문서보관소, "러시아문서 번역집 30" 선인 2017

      105 러시아연방대외정책문서보관소, "러시아문서 번역집 29" 선인 2017

      106 러시아연방국방부중앙문서보관소, "러시아문서 번역집 28" 선인 2017

      107 러시아연방국방부중앙문서보관소, "러시아문서 번역집 27" 선인 2017

      108 러시아연방국방부중앙문서보관소, "러시아문서 번역집 26" 선인 2017

      109 박태성, "러시아는 어떤 나라인가: 러시아의 지역사정과 문화" 신아사 2018

      110 황동하, "러시아, 그 경계를 넘어" 역사학회 (211) : 265-285, 2011

      111 정재원, "러시아 혁명의 현재적 의의―잊혀진 혁명의 교훈 복원을 위한 시론" 진보평론 73 : 2017

      112 류한수, "러시아 혁명의 한복판에 섰던 한국인들―러시아 혁명 발발 100주년에 부쳐" 대우재단 22 : 2017

      113 이정구, "러시아 혁명사 저술에서 무엇을 알 수 있을까?" 책갈피 18 : 2017

      114 박노자, "러시아 혁명사 강의: 다른 미래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나무연필 2018

      115 트로츠키, 레온, "러시아 혁명사" 아고라 2017

      116 노경덕, "러시아 혁명과 민주주의 외교: 평화포고에서 브레스트리토프스크까지" 사회과학연구원 14 (14): 150-174, 2017

      117 피츠패트릭, 쉴라, "러시아 혁명 1917~1938" 사계절 2017

      118 카, E.H, "러시아 혁명 1917~1929" 이데아 2017

      119 박원용, "러시아 혁명 100주년, 어떻게 보아왔고 어떻게 볼 것인가" 내일을 여는 역사 67 : 2017

      120 러시아과학아카데미 극동분소 역사고고학민속학 연구소, "러시아 연해주와 극동의 선사시대" 서경문화사 2017

      121 송준서, "러시아 역사교과서에 묘사된 제2차 세계대전의 ‘어두운 역사’: 옐친과 푸틴 시기 교과서 비교" 아태지역연구센터 41 (41): 329-370, 2017

      122 이창호, "러시아 사할린 지역의 북한 노동자" 통일연구원 2017

      123 심헌용, "러시아 민족정책과 강제이주: 한인 등 소수민족 집단 강제이주의 기원, 경과, 명예회복 그리고 민족운동의 원리 규명" 선인 2017

      124 두다료노크, S.M, "러시아 극동지역의 역사" 진인진 2018

      125 김용환, "러시아 국가검열체계의 변천, 1804~1865" 러시아연구소 34 (34): 1-29, 2018

      126 이정희, "러시아 구교도 상인의 영적 세계와 문화적 함의" 러시아연구소 33 (33): 25-64, 2017

      127 조미경, "데카브리스트들이 시베리아 지역에 미친 문화적 영향 ‐ 교육, 농업, 의료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2 (32): 449-482, 2017

      128 김남섭, "더 많이 더 다양하게 쓰기" 역사학회 (227) : 293-324, 2015

      129 노경덕, "다시 돌아보는 러시아 혁명 1 00년" 문학과지성사 2017

      130 "누리미디어"

      131 황동하, "냉전에 대한 러시아의 반응 - ‘평화’를 투쟁의 언어로 만들기" 역사학연구소 (34) : 217-248, 2018

      132 황동하, "냉전 초(1947~1953년) 소련 포스터에 나타난 ‘평화’ 이미지" 역사학회 (238) : 67-102, 2018

      133 송준서, "기억과 망각 사이에서: 현대 러시아의 1917년 10월 혁명 기억" 한국서양사학회 (137) : 72-109, 2018

      134 박지배, "근대세계체제에서 러시아와 영국의 무역" 신서원 2017

      135 신동혁, "근대 초 러시아에서 국가와 교회: 수도원 프리카즈를 중심으로" 한국러시아문학회 (58) : 235-262, 2017

      136 기계형, "그리고리 알렉산드로프의 영화 ‘빛나는 길’에 재현된 스타하노브카" 한국노어노문학회 29 (29): 135-164, 2017

      137 조준배, "고려인 강제이주와 기억의 정치학" 수선사학회 (64) : 155-188, 2018

      138 노경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러시아 및 소련 역사 재현" 역사교육연구회 (142) : 135-157, 2017

      139 김용환, "계몽의 반계몽화: 알렉산드르 2세 통치기의‘인민을 위한 도서’출판 정책" 국제지역연구센터 22 (22): 75-96, 2018

      140 박태성, "게오르기 베르낫스키, 김세웅 역, 『몽골제국과 러시아』" 한국서양사학회 (134) : 319-325, 2017

      141 이정하, "【書評】Kyung Deok Roh, Stalin’s Economic Advisors: The Varga Institute and the Making of Soviet Foreign Policy, London: I.B. Tauris, 2018." 이화사학연구소 (57) : 243-247, 2018

      142 최덕규, "『朝鮮策略』과 고종정부의 북방정책 : 러시아 레솝스키 함대의 극동원정(1880-1881)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8) : 271-308, 2018

      143 류한수, "“진흙 발의 거상”인가? “붉은” 스팀롤러인가?: 러시아/소련 군대에 관한 서방 세계의 편견과 실상" 아태지역연구센터 41 (41): 293-322, 2017

      144 류한수, "“8월의 폭풍”에서 “사막의 폭풍”으로: 냉전 시기 미육군의 소련군 작전술 이론의 연구와 수용 과정"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5) : 189-226, 2017

      145 강인욱, "‘벨레스서’로 본 러시아의 위서와 21세기 유라시아 역사분쟁" 역사문제연구소 (118) : 74-97, 2017

      146 기계형, "‘동원’과 ‘자기실현’ 사이에서 - 1930년대 스탈린체제 하의 스타하노브카 여성의 현실 -" 한국서양사학회 (132) : 109-140, 2017

      147 김용환, "‘검열 테러 시대’의 검열: 비상검열위원회를 중심으로" 러시아연구소 33 (33): 1-29, 2017

      148 박지배, "Российский экспорт в Великобританию в 1760—1825 гг.: кому было выгоднее?" Сочи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2 : 2017

      149 조준배, "Реорганизация советских профсоюзов в 1928~1931 гг" Издательство Пресса 8 : 2018

      150 정세진, "Причины и ход Кавказской войны в XIX в" Издател ьство Пресса 7 : 2017

      151 민경현, "Освещение Сухопутной операции Советских войск в Север ной Корее в Августе 1945" Издательство Пресса 3 : 2018

      152 최정현, "Об одном молоизвестном князе в истории сесерской земли Киевской Руси конца XII-начала XIII в" Издательство Пресса 8 : 2017

      153 정세진, "Историография Кавказской войны с дореволюционного времени до 1990-х гг" Издательство Пресса 7 : 2018

      154 정세진, "Два аспекта Кавказской войны: Генерал Ермолов и Газават" Издательство пресса 11 : 2018

      155 조준배, "The Palgrave Handbook of Women and Gender in Twentieth-Century Russia and the Soviet Union" Palgrave 2017

      156 송준서, "Symbolic Politics and Wartime Front Regional Identity: ‘The City of Military Glory’ Project in the Smolensk Region" Routledge 70 : 2018

      157 노경덕, "Stalin’s Economic Advisors: The Varga Institute and the Making of Soviet Foreign Policy" I.B. Tauris 2018

      158 송준서, "Branding Local Towns in Post-Soviet Russia through Reinventing Local Symbols" University of Tyumen 2 : 2018

      159 고가영, "2차 대전이 ‘중앙아시아 무슬림종무원 (САДУМ)'의 설립과 활동에 미친 영향"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2 (32): 1-34, 2017

      160 오두영, "20세기 초 모스크바의 외국인들: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을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41 (41): 223-256, 2018

      161 한국서양사학회, "2018년 회원 연구업적 목록" 한국서양사학회 (140) : 2019

      162 한국서양사학회, "2017년 회원 연구업적 목록" 한국서양사학회 (136) : 2018

      163 박상철, "2007~08년 러시아사 연구 동향 : 연구주제의 확대와 심화" 역사학회 (203) : 203-215, 2009

      164 양승조, "19세기 후반 조선인 북방 월경이주(越境移住)의 장기적 조건으로서의 인구요소" 아태지역연구센터 42 (42): 355-394, 2018

      165 기계형, "19세기 중엽 중앙아시아 여행기에 나타난 러시아의 타자 인식 -표트르 세묘노프의 『천산(天山)으로의 여행』-" 인문학연구원 (65) : 321-362, 2017

      166 오두영, "19세기 전반기 러시아 대학의 '교육감독관'(Попечитель)" 숭실사학회 (39) : 349-381, 2017

      167 정세진, "19세기 북카프카스의 평화와 공존에 관한 연구: 쿤타 하지의 삶과 이슬람 이념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3 (33): 281-316, 2018

      168 제성훈, "19세기 말 만주·한반도에서 러시아 대외정책의 지정학적 목표와 시사점"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3 (33): 101-128, 2018

      169 오두영, "19세기 말 ~ 20세기 초 러시아의 신문광고" 아태지역연구센터 40 (40): 279-309, 2017

      170 김동혁, "1968년 체코 ‘프라하의 봄’에 대한 소련 지도부의 대응" 역사연구소 (95) : 285-320, 2018

      171 김동혁, "1955-1965년 소련 경제관리체계의 고도화와 중앙 경제연구소 -과학적경제조사연구소(НИЭИ)를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135) : 9-36, 2017

      172 라비노비치, 알렉산더, "1917년 러시아 혁명: 노동계급이 권력을 잡다" 책갈피 2018

      173 캘리니코스 A, "1917년 10월 러시아 혁명과 그 유산" 책갈피 2018

      174 황동하, "1905년과 1917년 페트로그라드 - ‘혁명의 거리’, ‘광장의 정치’" 역사학연구소 (35) : 281-316, 2018

      175 박 벨라 보리소브나, "1901~1905년 러시아 제국 주재 대한제국 외교 공관: 정확한 소재지 파악에 관한 연구" 외교부 2018

      176 양승조, "18세기 말‐19세기 중반 제정 러시아의 대 카자흐 정책과 이슬람‐ 오렌부르크이슬람종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2 (32): 275-312, 2017

      177 최정현, "17세기와 18세기, 중세와 근세의 간(間)문화적 상징으로서의 「슬라브-그리스-라틴 아카데미」 탐구: 초기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3 (33): 235-264, 2018

      178 박지배, "17세기 중반 러시아의 동북아진출과 ‘나선정벌’의 의미" 역사학회 (240) : 637-672, 2018

      179 구자정, "16세기 말 17세기 초 자포로지예 카자크 집단을 통해 본 우크라이나 역사의 카자크적 기원과 루스(Rus’) 정체성" 러시아연구소 33 (33): 1-37, 2017

      180 트로츠키, 레온, "10월 혁명" 아고라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