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창업 교과목 운영 사례 : 사회적 기업가정신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University Start-up Course : Focusing on Social Entrepreneurship Start-up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59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 정규 창업 교육과정 내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해 창업 교육방법과 창업 교과목의 실천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의 수업전략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업 전과 후에 자기평가식 설문조사, 수업 후 성찰보고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과 중요 사건을 중심으로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설문조사 결과, 기업가정신의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모든 요인에서 창업 교과목 수업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성과 진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친사회성의 공동체의식, 공감, 돕기 모든 요인에서 창업 교과목 수업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체의식과 공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후 성찰보고서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참여 중심의 실천적 교수전략의 긍정적 효과는 팀활동을 통한 기업가정신 발현 활동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학습활동 참여 효과, 진로의 선택지로서 창업에 대한 인식 제고, 교수자의 팀활동 퍼실리테이션과 학습 코칭 효과로 나타났으며, 애로사항으로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철학에 맞는 창업 아이디어 도출 및 개발 과정의 어려움과 팀원 모두의 적극적 참여에 대한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학습자의 협력적 참여 중심 실천적 교수전략을 제안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창업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지원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학 정규 창업 교육과정 내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해 창업 교육방법과 창업 교과목의 실천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

      본 연구에서는 대학 정규 창업 교육과정 내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해 창업 교육방법과 창업 교과목의 실천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의 수업전략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업 전과 후에 자기평가식 설문조사, 수업 후 성찰보고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과 중요 사건을 중심으로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설문조사 결과, 기업가정신의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모든 요인에서 창업 교과목 수업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성과 진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친사회성의 공동체의식, 공감, 돕기 모든 요인에서 창업 교과목 수업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체의식과 공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후 성찰보고서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참여 중심의 실천적 교수전략의 긍정적 효과는 팀활동을 통한 기업가정신 발현 활동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학습활동 참여 효과, 진로의 선택지로서 창업에 대한 인식 제고, 교수자의 팀활동 퍼실리테이션과 학습 코칭 효과로 나타났으며, 애로사항으로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철학에 맞는 창업 아이디어 도출 및 개발 과정의 어려움과 팀원 모두의 적극적 참여에 대한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학습자의 협력적 참여 중심 실천적 교수전략을 제안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창업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지원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tart-up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art-up courses through the oper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in the university's regular start-up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operate,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surveys and post-class reflection repor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important events. First,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l factors of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taking in entrepreneurship increased after the start-up course class, and innovation and initiativ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empathy, and help in prosociality increased after the start-up subject clas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empath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in the post-class reflection report, the positive effects of learners' cooperative participation-oriented practical teaching strategies were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results through team activities, raising awareness of start-ups as career options, and difficulties in the start-up idea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 strategy centered on the coopera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vidence for supporting effectiv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tart-up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art-up courses through the oper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in the university's regular start-up curriculum. In order to d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tart-up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art-up courses through the oper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in the university's regular start-up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operate,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surveys and post-class reflection repor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important events. First,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l factors of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taking in entrepreneurship increased after the start-up course class, and innovation and initiativ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empathy, and help in prosociality increased after the start-up subject clas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empath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in the post-class reflection report, the positive effects of learners' cooperative participation-oriented practical teaching strategies were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results through team activities, raising awareness of start-ups as career options, and difficulties in the start-up idea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 strategy centered on the coopera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vidence for supporting effectiv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기돈, "한국 청년창업의 현실에 기초한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 연구" 지역개발연구소 51 (51): 55-80, 2019

      2 김인숙, "학습자중심 혁신교수법의 협력적 수업코칭 사례연구"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5 (5): 47-62, 2021

      3 김영신, "원격수업에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PBL기반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19-537, 2021

      4 공혜원,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개인특성 관점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한국경영학회 23 (23): 127-152, 2019

      5 최윤미 ; 류정현 ; 이상훈 ; 박한림 ; 오헌석,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와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189-221, 2015

      6 문남희 ; 김명소, "사회적기업가정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9 (9): 3-30, 2016

      7 강민정, "사회적 기업가 육성 방법론 연구 -카이스트 사회적 기업가 MBA의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191-225, 2017

      8 김인숙,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창의융합 프로젝트 사례 연구"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6 (6): 23-37, 2022

      9 이승원, "리빙랩을 활용한 대학의 지역사회 연계 교과목 운영사례 : 대학교 기술교육과 ‘A’ 교양수업 적용 사례 중심으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41 (41): 301-312, 2023

      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학창업지원모델 고도화 연구보고서"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2017

      1 안기돈, "한국 청년창업의 현실에 기초한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 연구" 지역개발연구소 51 (51): 55-80, 2019

      2 김인숙, "학습자중심 혁신교수법의 협력적 수업코칭 사례연구"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5 (5): 47-62, 2021

      3 김영신, "원격수업에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PBL기반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19-537, 2021

      4 공혜원,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개인특성 관점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한국경영학회 23 (23): 127-152, 2019

      5 최윤미 ; 류정현 ; 이상훈 ; 박한림 ; 오헌석,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와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189-221, 2015

      6 문남희 ; 김명소, "사회적기업가정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9 (9): 3-30, 2016

      7 강민정, "사회적 기업가 육성 방법론 연구 -카이스트 사회적 기업가 MBA의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191-225, 2017

      8 김인숙,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창의융합 프로젝트 사례 연구"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6 (6): 23-37, 2022

      9 이승원, "리빙랩을 활용한 대학의 지역사회 연계 교과목 운영사례 : 대학교 기술교육과 ‘A’ 교양수업 적용 사례 중심으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41 (41): 301-312, 2023

      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학창업지원모델 고도화 연구보고서"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2017

      11 유영철 ; 이원일,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8 (18): 187-200, 2023

      12 김정곤 ; 양동우,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공모전 참여동기를 매개변수로 -"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77-487, 2016

      13 황윤자 ; 김인숙 ; 서윤경, "대학생 역량강화를 위한 학습분석학 기반 교수자 대시보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 A대학교 공학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5 (5): 55-74, 2021

      14 김인숙, "대학교수자의 학습자중심 교수법 교육요구도 분석과 지원방안"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14 (14): 97-117, 2021

      15 박미정 ; 서철승 ; 이철규,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의 기업가정신 교육 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38 (38): 93-119, 2023

      16 이완형,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개념 통합에 관한 연구: 16세기 종교개혁정신 관점에서 재조명"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4 (14): 115-134, 2016

      17 남정민, "기업가정신 온라인교육의 효과성 검증: 플립러닝 및 PBL 기반 기업가정신교육 적용 사례"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31-40, 2017

      18 이우진 ; 심호식, "기업가정신 교육의 변화과정과 교육자들의 역할에 대한 이해" 기업가정신학회 3 (3): 129-150, 2022

      19 이윤석 ; 이철규, "기업가적 역량과 기업가적 태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 한국비교정부학회 26 (26): 137-162, 2022

      20 이선희 ; 신효진 ; 이상윤, "국내 사회적기업가정신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 한국전략경영학회 24 (24): 145-172, 2021

      21 윤석철, "국내 대학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의 현황분석 및 그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35 (35): 141-173, 2021

      22 국가통계포털,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23 Hota, P. K., "Tracing the intellectual evolu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research: Past advances,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182 (182): 637-659, 2023

      24 Leadbeater, C., "The socially entrepreneurial city, Social entrepreneurship: new models of sustainable social change"

      25 Morris, M. H.,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marketing in established firms" 2 (2): 247-259, 1987

      26 Saebi, T., "Social entrepreneurship research: Past achievements and future promises" 45 (45): 70-95, 2019

      27 Dees, J. G., "Social entrepreneurship is about innovation and impact, not income" 1-, 2003

      28 Chandra, Y., "Social entrepreneurship in the context of disaster recovery: Organizing for public value creation" 23 (23): 1856-1877, 2021

      29 Kimakwa, S., "Social entrepreneur servant leadership and social venture performance: how are they related?" 182 (182): 95-118, 2023

      30 Oviatt, B. M.,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World encyclopedia of entrepreneurship"

      31 Ghatak, A., "Intention towards digital social entrepreneurship: An integrated model" 14 (14): 131-151, 2023

      32 Sousa, A. M. R.,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i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13 : e0434-, 2023

      33 Tien, N. H., "Green entrepreneurship: a game changer in Vietnam business landscape" 48 (48): 408-431, 2023

      34 Randerson, K., "Family entrepreneurship as a field of research: Exploring its ontours and contents" 6 (6): 143-154, 2015

      35 남승완 ; 이종현 ; 이창수 ; 김경민 ; 이선영 ; 김승철, "ESG와 기업가정신을 접목한 교육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초·중·고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中心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7 (17): 117-132, 2022

      36 이선영 ; 김승철, "ESG기업가정신교육과 참여적 학습 방식이 ‘창의적 문제해결’ 및 ‘사회적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8 (18): 201-219, 2023

      37 Lumpkin, G. T.,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21 (21): 135-172, 1996

      38 Kuratko, D. F., "Clarifying the Domain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9 (9): 323-335, 2013

      39 Marti, I., "Bringing change into the lives of the poor: Entrepreneurship outside traditional boundaries, Institutional work: Actors and agency in institutional studies of organiza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