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여성의 근대화와 기독교의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91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통과 기독교의 만남을 시작으로 기독교가 선교 방편으로 사용하였던 교육과 의료를 통하여 전근대 사회를 근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서양 선교사들이 들어왔을 당시의 기록으로 본 조선 여성의 억압적 현실로부터 여성해방적 메시지로 기독교는 여성을 가정에서 사회로 이끌어내는 선구적 역할을 하게 되었음을 통하여, 기독교 정신에 의한 근대화 작업이라는 역사적 과정을 검토하고자 한다. 전통사회에서의 여성의 삶으로 당시 사회를 조명하면서, 이에 대한 기독교의 생명력과 동시에 가독교의 여성관을 분석하고, 한국 여성의 근대화에 기독교가 끼친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동시에 당대의 시대적, 장소적 한계를 완전히 넘어설 수 없었던 기독교의 한계도 지적하고자 한다. 이러한 한계에 대한 인식과 분석을 통하여 21세기 미래 사회를 향한 기독교의 새로운 비전이 제시되고, 19세기말 완전히 이루지 못한 채 역사의 저변으로 미루어져 있었던 근대화의 완성이라는 오래된 목표가 완결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근대성과 기독교, 그리고 페미니즘이 공유하는 것이 있다면 모든 인간의 존엄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인간의 개별성에 대한 인정과 그 동등성에 대한 인식을 사상적 전제로 하고 있다. 인류의 역사에서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는 운동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차별과 배제로부터 차이와 공존으로의 움직임일 것이다. 차별적 가치와 사회구조를 넘어서 보편적 해방의 지평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로 기독교와 근대성, 그리고 페미니즘이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는 목표라고 하겠다. 기독교가 진정으로 예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차별도 모두 제거되어야 한다. 한국 기독교에서 진정한 근대화의 완성은 여성적 차별의 완벽한 제거에 있다고 보는 근거가 바로 여기에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전통과 기독교의 만남을 시작으로 기독교가 선교 방편으로 사용하였던 교육과 의료를 통하여 전근대 사회를 근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서양 선...

      본 연구는 전통과 기독교의 만남을 시작으로 기독교가 선교 방편으로 사용하였던 교육과 의료를 통하여 전근대 사회를 근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서양 선교사들이 들어왔을 당시의 기록으로 본 조선 여성의 억압적 현실로부터 여성해방적 메시지로 기독교는 여성을 가정에서 사회로 이끌어내는 선구적 역할을 하게 되었음을 통하여, 기독교 정신에 의한 근대화 작업이라는 역사적 과정을 검토하고자 한다. 전통사회에서의 여성의 삶으로 당시 사회를 조명하면서, 이에 대한 기독교의 생명력과 동시에 가독교의 여성관을 분석하고, 한국 여성의 근대화에 기독교가 끼친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동시에 당대의 시대적, 장소적 한계를 완전히 넘어설 수 없었던 기독교의 한계도 지적하고자 한다. 이러한 한계에 대한 인식과 분석을 통하여 21세기 미래 사회를 향한 기독교의 새로운 비전이 제시되고, 19세기말 완전히 이루지 못한 채 역사의 저변으로 미루어져 있었던 근대화의 완성이라는 오래된 목표가 완결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근대성과 기독교, 그리고 페미니즘이 공유하는 것이 있다면 모든 인간의 존엄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인간의 개별성에 대한 인정과 그 동등성에 대한 인식을 사상적 전제로 하고 있다. 인류의 역사에서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는 운동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차별과 배제로부터 차이와 공존으로의 움직임일 것이다. 차별적 가치와 사회구조를 넘어서 보편적 해방의 지평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로 기독교와 근대성, 그리고 페미니즘이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는 목표라고 하겠다. 기독교가 진정으로 예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차별도 모두 제거되어야 한다. 한국 기독교에서 진정한 근대화의 완성은 여성적 차별의 완벽한 제거에 있다고 보는 근거가 바로 여기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that Christian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odernizing pre-modem societies through the educational and medical institutions. Christianity played an advanced role to pull out women from domestic sphere to society with its liberal message. It is well written in the personal record by the Christian missionaries. This study will examine this historical process of modernization by Christian spirit. It also analyzes Christian view of women with its social and political power. With this analysis. I will also point out the fact that Christianity could not overcome its own limitation in terms of time and space. Only with the recognition and analysis on this limitation, we can view the new vision of Christianity toward the 21st century and simultaneously we can also give a final touch for completing the modernization which has been put behind for a long time since the 19th century. Human dignity is an important factor found in common in modernity, Christianity and feminism. Recognition of individuality and equality in every human being is the precondition for human dignity. Movement from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o difference and coexistence is continuing in our human history. The common object of modernity, Christianity and feminism will be the very movement toward the universal liberation overcoming discriminative values and distorted social structure. With total elimination of any kind of discrimination, Christianity will complete the ideal society Jesus presented. This is the reason why we can claim the completion of modernization only with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on women.
      번역하기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that Christian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odernizing pre-modem societies through the educational and medical institutions. Christianity played an advanced role to pull out women from domestic sphere to socie...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that Christian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odernizing pre-modem societies through the educational and medical institutions. Christianity played an advanced role to pull out women from domestic sphere to society with its liberal message. It is well written in the personal record by the Christian missionaries. This study will examine this historical process of modernization by Christian spirit. It also analyzes Christian view of women with its social and political power. With this analysis. I will also point out the fact that Christianity could not overcome its own limitation in terms of time and space. Only with the recognition and analysis on this limitation, we can view the new vision of Christianity toward the 21st century and simultaneously we can also give a final touch for completing the modernization which has been put behind for a long time since the 19th century. Human dignity is an important factor found in common in modernity, Christianity and feminism. Recognition of individuality and equality in every human being is the precondition for human dignity. Movement from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o difference and coexistence is continuing in our human history. The common object of modernity, Christianity and feminism will be the very movement toward the universal liberation overcoming discriminative values and distorted social structure. With total elimination of any kind of discrimination, Christianity will complete the ideal society Jesus presented. This is the reason why we can claim the completion of modernization only with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on wom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여는 글 Ⅱ. 기독교와 전통, 그리고 근대화 Ⅲ. 전통사회와 여성 Ⅳ. 기독교와 한국 여성의 근대화 Ⅴ. 닫는 글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 Ⅰ. 여는 글 Ⅱ. 기독교와 전통, 그리고 근대화 Ⅲ. 전통사회와 여성 Ⅳ. 기독교와 한국 여성의 근대화 Ⅴ. 닫는 글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