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 피하지방분포와 최대산소섭취량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fold Distribution and Vo2 Max of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123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피하지방분포와 최대산소섭취량간의 상관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 대상은 체육대학 1학년 남녀학생 각각 15명, 총 30명이다. 측정항목은 체격...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피하지방분포와 최대산소섭취량간의 상관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 대상은 체육대학 1학년 남녀학생 각각 15명, 총 30명이다. 측정항목은 체격에서 신장, 체중 2개 항목이며, 피하지방은 상완이두피지후, 상완삼두피지후, 견갑골하부피지후, 복부피지후, 전장골능상부피지후, 견갑골하부피지후+전장골능상부피지후+복부피지후등 6개 항목이며, 체지방량 1항목과 지수(index)와 비(比 : ratio)는 원추지수(conicity index : CI),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복위/둔위비(waist-hip ratio)등 3개항목으로 총 12항목이다.
      측정방법은 신장는 신장계, 체중은 체중계로 측정으며, 피하지방은 Lange skinfold caliper(Model, DT-8)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체지방량은 Nagamine 와 Suzuki의 공식에 의해 체밀도를 구하여 Brozek 등의 공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원추지수, 체질량지수, 복위와 둔위비는 공식에 의해 각각 산출하였다.
      최대산소섭취량 측정은 가스자동분석기(QMC 430, 1995, USA)와 Treadmill(Quenton 4300)을 이용하여 Bruce Protocol을 사용하여 all out 상태까지의 산소섭취량 중에서 최고값을 최대 산소섭취량으로 하였다.
      자료처리 측정항목에 대하여 상관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독립 t-test를 p<.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피하지방 분포는 남녀간 차이가 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았다.
      2. 대학생의 둘레비는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았다.
      3. 대학생의 피하지방 몇 지수와 최대산소섭취량간에는 최대산소섭취량과 남학생의 경우 상완이두피지후와 원추지수, 여학생의 경우 체질량지수와 상관이 높았다.
      따라서 피하지방분포와 지수 및 둘레비와 최대산소섭취량간의 상관에서 최대산소섭취량과 가장 상관이 높은 피하지방과 지수항목은 남학생의 경우 상완이두피지후와 원추지수이고, 여학생은 체질량지수로 라는 결론을 얻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level of correlation exists between skinfold distribution and Vo_2 max of university students. Thirty students including 15 male and 15 female from the physical education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level of correlation exists between skinfold distribution and Vo_2 max of university students. Thirty students including 15 male and 15 female from the physical education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asuring items are as follow: physique has two items such as height and weight, skinfold has six items such as biceps, triceps, subscapular, abdominal, supraspinale and sum of subscapular, abdominal and supraspinale, fat have fat of body, Index and ratio has three items such as BMI, IC and WHR, physical fitness have Vo_2 max,
      It used heightmeter for height, weight gauge for weight and skinfold for Lange skinfold caliper. It used QMC and treadmill for measurement of Vo_2 max.
      In order to find relationship from test variables, t-test(p<.05),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appli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
      1. There is significantly difference skinfold distribution according to sex, Female has higher than male.
      2. There is significantly difference girth ratio according to sex. Male has higher than Female.
      3. There is significantly difference Vo_2 max according to sex, Female has higher than male.
      4.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skinfold, ratio and Vo_2 max, in the case of male, Vo_2 max is related to both biceps and CI, female, BMI.
      In conclusion, at the university, there is significantly difference skinfold distribution ratio and Vo_2 max according to sex. Vo_2 max is related to biceps and CI for male, BMI for fema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